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박정희가 비밀 독립군? 이것 때문에 국정교과서를 강행 했나?
게시물ID : sisa_76839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바람처럼9
추천 : 20
조회수 : 725회
댓글수 : 31개
등록시간 : 2016/10/24 19:40:35
옵션
  • 펌글

국방부 "박정희, 광복군으로 활약", 친일미화 파문

다음달 28일 국정교과서 공개, 친일독재 미화 파문 크게 일듯

2016-10-24 16:27:00
확대 축소
국방부가 24일 고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 "1944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45년 광복군에서 활동했다"고 주장, 역사왜곡 파문이 재연됐다.

국방부는 이날 오는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고 박정희 대통령 37주기 추모식'이 거행된다고 알리며 그의 약력을 이같이 기술했다.

기자들이 이에 박 전 대통령이 일본 만주군관학교를 가기 전 혈서를 쓴 것은 <만주신보>에도 나와 있다고 반박하자,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사실 관계를 확인해 알아보겠다"고 답을 피했다.

국방부의 이같은 주장은 육군본부가 발간한 <창군전사> 265쪽에 "만주 장교 중 그만들의 비밀조직이 있었고, 광복군으로 가서 거사 직전 해방을 맞았다"고 적시한 대목에 근거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세계일보> 탐문 취재 결과 이는 1967년 박영만 소설가가 쓴 소설 <광복군>의 내용으로, 말 그대로 '소설'이다.

그러나 친박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지난해 10월20일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교과서를 밀어붙여 국민적 저항을 살 때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은 백강 조경환 선생님께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을 독립군을 도운 군인으로 기억했다는 증언도 있다"며 박정희를 '비밀독립군'이라 주장했다.

이 주장은 이기청 의병정신선양회 사무총장(방송인)이 지난 2004년 7월23일자 <세계일보> 독자 투고란에 기고한 글에 기초한다. 이 글은 지난 2012년 대선당시 박 전 대통령의 친일행각이 논란이 됐을 때도 박근혜 후보측의 반박자료로 사용된 바 있다.

하지만 <민족문제연구소>는 일제강점기였던 1939년에 박정희의 만주군관학교 '혈서 지원'을 미담으로 소개한 <만주신문>의 그해 3월 31일자 기사를 2009년 일본국회도서관에서 찾아내 그해 11월 발간된 <친일인명사전> 박정희 항목에 이 내용을 수록했고, 이에 이에 박정희 전 대통령 아들인 박지만씨는 게시 및 배포금지가처분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이유 없다”며 박씨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바 있다.

이처럼 역사학계와 법원 등에서 박정희 독립군설은 사실무근으로 판정났음에도 불구하고 국방부가 또다시 박정희가 광복군이라고 주장하고 나섬에 따라, 일각에서는 다음달 28일 일반에 공개될 국정교과서에도 유사한 내용이 실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정진형 기자
 
http://www.viewsnnews.com/article?q=137284
 
 
백강 조경환 선생의 외손자 이자 독립운동사 연구가인 심정섭씨는 “명백한 거짓”이라고 반박했다. 백강 선생의 외손자이자 독립운동사 연구가인 심정섭(72)씨는 “박정희가 우리 외조부를 찾아온 것은 맞다. 그러나 당시 박정희는 외조부께 오히려 자신의 친일 행적을 고백했다”고 주장했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14216.html#csidx3215ab355c6de908107fe1cc65843b1
 
 
박정희는 박영만이가 독립군설을 소설로 써서 바치자 왜 이따위 말도 안되는 거짓말을 쓰냐고 하면서 책을 던졌다고 합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