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문제
1장 l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자화상
1. 참여와 대표의 위기
2. 보수적 민주주의의 사회적 결과
3.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2부 보수적 민주주의의 기원
2장 l 국가 형성과 조숙한 민주주의
1. 민중 동원의 사회와 강력한 국가의 탄생
2. 이념적 양극화에 따른 정치적 대립 축의 전치
3. 권력의 중앙 집중화와 관료 국가
4. 이념적으로 협애한 정당 체제의 형성
5. 한국의 ‘세자리즘’과 일본의 ‘55년 체제’
6. 조숙한 민주주의의 효과
7. 냉전 반공주의와 한국 민주주의
3장 l 권위주의적 산업화와 운동에 의한 민주화
1. 박정희식 발전 모델의 특성은 무엇인가?
2. 박정희 정권의 사회적 지지 세력은 누구인가?
3. 민주주의를 위한 공간을 여는 문제
4장 l 민주화 이행의 보수적 종결과 지역 정당 체제
1. 한국에서의 민주화 이행의 특징
2. ‘협약’에 의한 민주화와 지역 정당 체제의 형성
3. 민주화가 보수적으로 종결된 이유
3부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구조와 변화
5장 l 민주화 이후의 국가
1. 민주화 이후 강력한 국가, 무력한 정부의 문제
2. 무력한 정부와 관료제의 문제
3. 민주화와 대통령제의 문제
4. 민주화와 중앙집권화의 문제
6장 l 민주화 이후의 시장
1. 민주화와 시장의 개혁
2. 민주화는 권위주의 시장구조를 변화시켰는가?
3. IMF 세계화와 경제개혁
7장 l 민주화 이후의 시민사회
1. 한국의 시민사회는 어떤 맥락에서 어떤 내용으로 형성되었나
2. ‘국가에 반하는 시민사회’ 테제에 관하여
3. ‘시민사회 대 시민사회’ 테제의 제기
4. 시민사회의 약화와 한국 민주주의
4부 결론
8장 l 민주주의의 민주화
1. 보수적 민주화
2. 갈등의 억압과 대안의 배제
3. 갈등의 사유화에서 갈등의 사회화로
4. 유권자 편성 구조의 변화와 경직된 정당 체제
5. 신자유주의적 민주주의로의 쇠퇴
6. 슈퍼 재벌의 등장과 민주주의의 변형
7. 제도 문제,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 그리고 헌정주의
8. 민주주의도 능력 있는 정부를 필요로 하는 이유
9.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에 관하여
필자는 최장집 교수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동시에, 한국에서 최장집 교수만큼의 민주주의 이론을 정립한 대학자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분명 최장집 교수는 민주주의 이론에 대해서만큼은 뛰어난 학자이며 훌륭한 자유주의자이다. 그의 민주주의 이론은 눈여겨볼만한 대목이 충분하다. 이 책은 한국의 민주주의 현실을 "나는 한국 사회가 민주화 이후 질적으로 후퇴했다고 본다."라는 다분히 도발적인 문구로 시작하는데, 이 문구에 담긴 의미를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우리의 민주주의 실상을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정치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사람들, 그리고 민주주의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이 책을 권고한다. 민주주의에 대한 풍부한 상상력과 더불어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고 다시 건설하고 해명할 것인지에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 중 하나임은 명백하다. 말끝마다 종북을 붙이며 생각 없이 자유만을 외치면 자신이 자유주의자가 되는 줄 아는 머저리 애국자보다, 최장집 교수의 저서를 눈여겨 보고 말하는 사람이야말로 자유주의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