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한문단만 번역해봤습니다.
게시물ID : english_778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기ㅎ
추천 : 0
조회수 : 387회
댓글수 : 8개
등록시간 : 2013/11/22 00:08:53
영어도 못하는 놈이 해보겠다고 몇시간 버벅거리면서 혼자 번역하느라 여러분들의 feedback을 받으려고 올리는데
'게시하는 것 자체를 불편해 하시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어 조금 조심스러워지네요.
하지만 이렇게 또 올려봤습니다. ㅎ 모자란 부분이 많을텐데 많은 feedback 부탁드리겠습니다 !!    
 
 
 
 
The recovery of this six-dimensional structure from the indigenous and representative personality deors of diverse languages establishes this solution as the best available summary of the domain of human personality dispositions. In addition to its empirical accuracy, the HEXACO framework also has some advantages in terms of theoretical interpretability. As we have discussed elsewhere (e.g., Ashton & Lee, 2007), the Honesty–Humility and Agreeableness factors correspond to two complementary aspects of reciprocal altruism, whereas the Emotionality factor corresponds to kin altruistic tendencies. In addition, the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factors can be viewed as dimensions of social engagement, task-related engagement, and idea-related engagement, respectively. Several important phenomena—such as the mapping between the HEXACO dimensions and theoretical biologists’ altruism constructs, or the defining content of (and sex differences on) the Emotionality factor—are explained parsimoniously within this theoretical framework, but cannot be readily explained in terms of the Big Five or FFM. (See Ashton & Lee, 2007, for further details, and also for discussions of the adaptive trade-offs associated wi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each dimension.)
 
 
 
⑭ 토착민과 다양한 언어의 대표적인 성격기술어로부터 재구성된 6차원구조는 인간의 성격 기질 영역의 최적의 요약으로서 이 해결책을 제시했다. ⑮ 게다가 HEXACO 틀의 실증적 정확성은 또한 이론적 설명력에서 일부의 이점을 가진다. 우리는 다른 곳에서 논의했기 때문에(e.g., Ashton & Lee, 2007), 정직-겸손성과 원만성 요인은 두 개의 상호이타성의 상호보완적 측면들과 일치하고, 반면 정서성 요인은 종족 이타적 경향과 일치한다. 덧붙여, 외향성, 성실성, 그리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 요인은 각각 사회적 업무(약속or 계약), 작업관련 업무, 그리고 idea 관련 업무, 차원으로 보여 질 수 있다. HEXACO 차원과 이론적인 생물학자들의 이타성 구조 간 maping 이나 정서성 요인(그리고 성 차이)의 내용정의와 같은 몇몇 중요한 현상들은 이 이론적 틀 안에서 인색하게 설명되어지지만, 빅5나 FFM 모형에서는 손쉽게 설명될 수 없다(See Ashton & Lee, 2007, for further details, and also for discussions of the adaptive trade-offs associated wi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each dimension.).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