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두문단 번역 해봤습니다!
게시물ID : english_781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기ㅎ
추천 : 1
조회수 : 426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3/11/26 18:00:59
오늘은 두문단을 해봤습니다. 아 문법이 너무 약해서 그런지 익숙하지 않은 문장구조가 너무많아 해맨 시간도 엄청났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틀린 부분도 많을 것 같아 여러분들의 feedback을 간절히 기다립니다!!!.  영게분들 늘 감사드립니다.
아 이번에는 한 문장마다 해석 붙이는것도 좋지만 문단별로 해석을 붙이는게 내용이해가 더 편하실거같아 이렇게 올려봅니다!
 
In the present research, therefore, we aimed to address two main questions. Our first question was whether or not the predictive advantage previously observed for the six HEXACO dimensions in comparisons with the Big Five factors would also be observed in comparisons with the dimensions of the FFM. Given the incorporation of some elements of HonestyHumility within the FFM variant of Agreeableness, one might expect that the latter factor would be a strong predictor of criteria that are conceptually related to HonestyHumility. In this case, the advantage of the HEXACO model over the Big Five would not be generalizable; that is, there would be little or no advantage for the HEXACO framework over the FFM.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results of Ashton and Lee (2005) suggest that at least some HonestyHumility-related criteria would show only modest associations with FFM Agreeableness. In this case, there would remain a substantial advantage for the HEXACO framework over the FFM.   
 
그러니, 현재 연구에서 우리는 2개의 주요 의문점을 다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의 첫 번째 의문점은 이전에 HEXACO차원과 빅5요인 비교에서 관찰된 예측이점이 HEXACO차원과 FFM차원의 비교에서도 나타날 것 인지 아닌지 이다. FFM 개정판의 원만성에서 정직-겸손성의 몇몇 요소의 결합을 고려해볼 때, 후자의 요인이 정직-겸손성과 개념적으로 관련된 준거들의 강한 예측변수가 될 것 이라고 예상된다. 이 경우에서는, 5를 넘어선 HEXACO틀의 이점이 일반화 될 수 없을 것이다; , 5를 넘어선 HEXACO틀의 이점이 적거나 없을 것이다. 반면, AshtonLee(2005)의 연구결과는 적어도 몇몇 정직-겸손성 관련 준거는 오직 겸손성에서만 FFM 원만성과 관련성을 보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FFM을 넘어서는 HEXACO틀의 상당한 이점이 있다.
 
 
 
 
Pending the answer to our first question described above, our second question was whether or not a proxy HonestyHumility factor derived from the relevant aspects of FFM Agreeablenessthat is, the NEO-PI-R Straightforwardness and Modesty facetscould match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HEXACO-PI HonestyHumility factor in predicting a wide variety of criterion variables. The results reported by Ashton and Lee (2005) indicate that such a result should be expected for at least some criteria. But as was also noted by Ashton and Lee, other criteria might be associated with aspects of (low)HonestyHumility that have weaker links with the Straightforwardness and Modesty facets of NEO-PI-R Agreeableness. For example, the constructs of greed or status-seeking have a limited conceptual overlap with those facets, as do the ‘‘outlaw” tendencies that are also relevant to low HonestyHumility. Thus, a proxy FFM-derived measure of HonestyHumility might not predict those criteria as strongly as would a broader measure of Honesty-Humility, one that is likely to contain both (a) a larger proportion of common factor variance than does a measure consisting of only two facets and (b) specific variance associated with a wider array of Honesty-Humility traits.
   
위에 설명된 우리의 첫 의문점을 기다리는 동안, 우리의 두 번째 의문점은 FFM 원만성 관련 측면에서 얻어진 정직-겸손성 대안요인(proxy factor), 각각의 다양한 준거변수 예측에 있어서 NEO-PI-R 원만성의 하위요인인 솔직함과 정직성이 HEXACO-PI 정직-겸손성 요인의 예측타당도와 일치하는지 아닌지 이다. Ashton Lee(2005)에 의해 보고된 연구결과는 적어도 몇몇 준거에선 그 결과가 예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지만 또한 AshtonLee(2005)에 의해 언급되었듯이, 아마 다른 준거가 NEO-PI-R 원만성의 하위요인인 솔직함과 겸손과 약한 관계를 가지는 (낮은)정직-겸손성 측면과 관련되어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탐욕이나 출세주의의 구조는 위의 하위요인(또한 낮은 정직-겸손성과 관련된 위법행위를 하는 경향과 관련된)들과 제한된 개념적 공통부분을 가진다. 그러므로, FFM에서 나온 정직-겸손성의 대안적 측정은 이런 준거들을 정직-겸손성의 폭넓은 측정만큼 강하게 예측하지 못할 것이고, 정직-겸손성의 폭넓은 측정은 (a) 두 하위요인의 측정구성 보다는 공통요인변량의 더 많은 비율과 (b) 다수의 정직-겸손성 특질과 관련된 특정변량 둘 다(a,b)를 포함하는 개연성이 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