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군내 사조직 금지 라고 들어 보셨나요
게시물ID : military_4156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간장꽃
추천 : 1
조회수 : 1787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4/04/16 21:08:13
사조직 금지 이게요
하나회?  알티, 삼사 , 육사등 장교 계급이 결성한 그룹? 이걸 말하는게 아녜요
병 계급에서 형성된 사조직을 말 하는 겁니다
이걸 들어 봤다면 쌍팔년 군생활 하신 분이 대부분 일겁니다
병사의 계급은 이병 일병 상병 병장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는 건 상식이죠
그런데 예전 군대 병사들은 다른 방법으로 서열을 나누었답니다
계급이 아니고 서열입니다
군의 고질적 병폐인 고참 문화의 원조인 서열 나누기요
이게요 우선 이,일,상, 병장, 분대장의 계급을 아예 무시하면서 시작합니다
우선 내무실에 배정되면(소대나 분대가 아니라 내무실입니다 여기서 이미 군기 문란행위가 발생합니다)
대기 시간을 거친후 침상조에 배치됩니다
이들은 기상과 동시에 메트리스 정리 모포정리, 침낭정리를 내무실 전인원것를 몇명이서 일괄적으로 합니다
이위 서열로 관물조가 있습니다
내무실 전 인원의 관물(옛날 나무 관물) 안 물품을 정리(각 잡는 것) 하고
침상 바닥을 걸레질 합니다
침상조가 침상 바닥을 닦거나 관물조가 침상 바닦을 닦거나 하는건  부대 마다 약간 다릅니다
그리고 침상을 벗어나면 군화조
그다음에는 내무실 바닥 닦는 바닥조- 이 아래 서열이 마대나 빗자루 손 댓다가는 그날밤 줄 초상납니다
여기 까지가 이등병 일병이 맡는 내무실 사조직의 임무 입니다
계급의 차이보다는 입대일을 기준으로 배정이 되더군요
이게 왜 사조직이냐면 명령 또는 지시, 진급의 의결 권한이 없는 고참(선임병)이 직책을 수여 하기 때문이죠
근데 쪼금 웃기죠 기것 부여한 사조직 계급이 침상조, 관물조, 군화조 바닥조등이니 말이죠
그런데 이건 별로 중요한게 아닙니다
명령, 지휘절차 계급의 서열을 스스로 병조직내에서 만들어 냄으로서 그들만의 사회를
병영내에 만듬으로서 목표는 충족 되는거고
조원별로 나누어서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는 겁니다
 
관리의 편의성이란 군기 잡기 편하다는 말입니다
 
내 관물대가 왜 지저분해 하면서 관물조 두드려 패고
전투화가 왜 지저분해 하면서 패고
내무실 청소 상태가 왜 이래 하며서 패고
내 식기가 왜 다른데 꽂혀 있어 하면서 패고....
등등 군기를 잡습니다(군기가 아니라 아랫놈 잡는거죠 그것도 권력이라고..)
 
이제 식기조, 뻬당, 기재계, 등이 있습니다
이 또한 부대 마다 약간 다릅니다
이건 조금뒤 올리지요
연재는 좋지 않지만 오늘 컨디션이 안 좋은  관계로...
 
그리고 저는 옆에서 바라본 관계로 조금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