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늘도 번역 해봤습니다!!
게시물ID : english_783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기ㅎ
추천 : 1
조회수 : 477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3/11/29 01:46:35
문장안에서 ';' , -something-  이런것들은 정확히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 몰라서 어려우네요..ㅎ
오늘도 많은 feedback 기다립니다!!!
 
2. Methods
2.1. Participants
The present study involved three different samples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xchange for course credits or for cash payment. Within each sample, we assessed participants on the FFM and HEXACO personality variables and on a subset of the criterion variables (see Section 2.2, below). For Sample 1, 282 participants provided self-reports; of these participants, 176 were female (62.4%), and ages ranged from 18 to 52 years with a median of 20. For the second and third samples, we decided to obtain both self- and observer reports, and therefore we recruited pairs of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on-campus advertisements. To be eligible for participation, the two students of each pair were required to have known each other for at least 6 months. Each participant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personality and outcome variables, as well as an observer report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nly of the personality scales assessing the constructs of the FFM and the HEXACO framework, and for whi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with reference to the other member of his or her pair. In Sample 2, there were 248 participants, of whom 166 (66.9%) were women; participant ages ranged from 16 to 65 years with a median of 22. The median duration of acquaintanceship for the participants of each pair was 3 years, and the participants’ ratings of how
well they know the other person of their pair averaged 8.3 (SD = 1.3) on a 0-to-10 scale. Finally, there were 226 participants in Sample 3; 150 (66.2%) of these were women, and ages ranged from 16 to 60 years with a median of 20. The median duration of acquaintanceship was 3 years, and the ‘‘how well known” ratings averaged 8.2 (SD = 1.5) on the 0-to-10 scale.
 
2. 방법
2.1. 참가자
이 연구는 참가의 답례로 가산점이나 현금보상을 받은 학부생으로 구성된 3개의 다른 표본을 포함했다. 각각의 표본에서, 우리는 참가자들을 FFMHEXACO 성격변수들 그리고 준거변수의 부분집합으로 평가했다(아래 2.2섹션을 보라). 표본 1, 282명의 참가자가 자기보고평가를 제공했다. 이 참가자들 중 176명이 여자(62.4%)였고, 나이 범위는 18~52살 나이평균은 20살 이였다. 표본 23에서, 우리는 자기보고와 관찰자 보고 둘 다를 얻기 위하여, 캠퍼스 광고를 통해 학부생 쌍을 모집하였다. 참가 자격은, 각 쌍의 두 학생이 적어도 6개월은 서로 알고지낸 사이여야 했다. 각 참가자들은 성격과 결과변수 평가를 위한 자기보고질문지를 작성했고, 더하여 FFMHEXACO틀의 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오로지 성격척도로만 구성된 관찰자 보고질문지를 작성했다. 그리고 이 참가자들은 자신의 짝에 대한 언급을 요구받았다. 표본 2에서는, 248명의 참가자 중 166(66.9%)가 여성 이였고, 참가자 나이 평균은 22, 나이범위는 16살에서 65살 이였다. 각 쌍의 참가자들이 서로 알고지낸 기간의 평균은 3년 이였고, 자신의 짝을 얼마나 잘 아는지의 정도는 10점 척도에서 평균 8.3(표준편차=1.3)이였다. 마지막으로, 표본 3에는 226명의 참가자 중 150(66.2%)가 여자였고, 나이 범위는 16~60살 평균은 20살 이였다. 서로 알고 지낸 기간의 평균은 3년 이였고, 서로 얼마나 잘 아는지의 정도는 10점 척도에서 평균 8.2(표준편차 1.5)였다.
 
 
 
2.2. Materials
2.2.1. Personality inventories assessing FFM and HEXACO dimensions
 
We assessed the personality dimensions of the FFM and the HEXACO framework in each of the three samples. In the first sample, we obtained self-reports only, using the NEO-PI-R (Costa & McCrae, 1992) and the (full-length) HEXACO-PI (Lee & Ashton, 2004, 2006). In the second and third samples, we obtained both self- and observer reports on shorter versions of these instruments. By arrangement with the test publisher, we administered to both samples a subset of the NEO-PI-R items that included the items of the five NEO-FFI scales as well as the remaining items of the Straightforwardness and Modesty facet scales, with items permuted randomly. The second sample completed the half-length form of the HEXACO-PI, and the third sample completed the half-length form of the HEXACO-PI-R.2
 
The HEXACO-PI-R differs from the HEXACO-PI in the replacement of one of the facet scales of the Extraversion factor, with the HEXACO-PI-R Social Self-Esteem facet replacing the HEXACO-PI Expressiveness facet. This revision is of little consequence for the prediction of the criterion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study.
 
 
2.2. 자료
2.2.1. FFMHEXACO차원을 평가하는 성격문항.
 
우리는 각 표본에서 FFMHEXACO틀의 성격차원을 평가했다. 첫 번재 표본에서, 우리는 자기보고평가만 획득했고 NEO-PI-R(Costa & McCrae, 1992)과 완전한 HEXACO-PI(Lee & Ashton, 2004, 2006)를 사용했다. 2, 3표본에서, 우리는 간략한 형식으로 한 자기보고와 관찰자 보고 평가를 획득했다. 예비조사자(test publisher)와의 조정을 통해, 우리는 두 표본에 5NEO-FFI 척도의 항목뿐만 아니라 솔직함과 겸손 하위 요인 척도의 남아있는 항목이 포함된 NEO-PI-R 항목이 무작위로 배정된 부분집합으로 시행했다. 두 번째 표본은 절반길이의 HEXACO-PI 형식을 작성하였고, 세 번째 표본은 HEXACO-PI-R 형식을 작성했다.
 
HEXACO-PI-R의 외향성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HEXACO-PI의 외향성의 하위요인인 표현성으로 대체됨에 따라 HEXACO-PI-RHEXACO-PI와는 외향성의 하위요인 하나에서 차이가나고, 지금 연구에서 이 수정사항은 준거변수예측에 거의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