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미친스압)ASUS 트랜스포머북 T100 리뷰
게시물ID : humorbest_78361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SUS_ROG
추천 : 21
조회수 : 28255회
댓글수 : 31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3/11/17 23:24:55
원본글 작성시간 : 2013/11/17 23:12:17
개봉기보기: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humorbest&no=782522&s_no=782522&kind=humorbest_sort&page=1&o_table=computer(추천따위는 필요하지않으니 궁금하면 보세요)

우선 본격적인 리뷰,벤치에 앞서 개봉기에서 빠트린거 몇가지만 더보고 간다.

아래는 전체 구성품의 총집합이다.  종이 쪼가리들은 왼쪽부터 MS오피스2013, AS센터 전화번호(북미라니 젠장!),워런티카드(로컬워런티라니 젠장!) 번외로 코딱지만한건 배터리 주의 안내서이다.
IMG_20131117_220856.jpg

휴대성하면 충전기도 봐야하지 않던가? (근데 밖에서 충전할필요가 없다. 암만 풀로드 존X게 걸어도 5시간은 가더라)
왼쪽부터 삼성충전기 T100충전기 넥서스7 1세대 충전기 그리고 옆은 카드이다(본인은 신용카드가 없기에 단증으로 대체)
그냥 폰충전기 급이다. 근데 실제로도 출력이 5V 2A이다(...) 필자는 북미판 구매자이기에(얼리어답터 예스!) 110V이다. 한국 정발판은 설명서부터 모든게 한국에 맞춰져 있으니 걱정하지말자.(근데 북미판에도 전부 한글로 들어있을건 들어있더이다. 내장된 e설명서가 한글판임...)
IMG_20131117_221035.jpg

우선 첫부팅후에 어떻게 되는가 보자.

부팅화면. 윈도우 로고가 안뜨고 ASUS로고가 뜬다(내가 개인적으로 설정한것은 절대아니다.) 몇초기다리다보면 세팅화면으로 넘어간다.
IMG_20131115_162338.jpg

뤼젼 엔드 뤵귀지.
즉 국가랑 언어를 설정하라고 뜬다,
IMG_20131115_162529.jpg

대충이렇게 설정하면 어느정도 한글을 볼순있다.(치는건 완전히 됨)
IMG_20131115_162747.jpg

계약서. 시간나면 읽어도 좋고 번역해도 좋다.
IMG_20131115_162805.jpg

개인설정. 본인을 뷁을 좋아하니 뷁으로 간다. 개인 취향에 맞춰 세팅하면된다.
IMG_20131115_162852.jpg

와이파이를 잡으라 그런다. 이과정이 생략되는지는 모르겠음.
IMG_20131115_162908.jpg

분명 해외에선 2.4ghz대역만 지원한댔는데 5기가가 잡힌다.(지금도 5기가를 쓰는중이다)
IMG_20131115_162918.jpg

뭐 설정하라고 한다. 마소계정이 있다면 대충쳐주면되더이다.
IMG_20131115_163045.jpg

빈칸이 아니고 필자 본명이 있기에 지웠다.
IMG_20131115_163126.jpg

끝나면 중요한 업데이트를 한다고 뜬다. 색이 우왕ㅋ 하면서 변한다. 
IMG_20131115_163201.jpg

이상태로 몇분정도 냅두면 세팅완료.
IMG_20131115_180447.jpg

이상으로 초기세팅화면에 대한 리뷰를 마친다.

제품정보.

10.1인치
IPS 디스플레이
1366*768해상도를 가지고있습니다. 색감 꽤 괜찮네요. 빈민에어 뻐큐
무게는 약 550g 도킹시 약 1.1키로
두께 태블릿 약7mm 도킹시 약 2cm
1.2메가 웹캠
---성능---
Intel Baytrail Atom Z3740 1.86ghz 
인텔 HD그래픽스
DDR3-1067 2GB 온보드
Emmc ssd 32/64gb
5점 멀티터치 지원
스테레오 스피커
블루투스4.0
802.11 b/g/n 2.4ghz & 5ghz

자 그럼 우선 본인이 실사용한 부문 별로 세세하게(?) 써보겠다.

디스플레이

ips라서 시야각은 좋다. 색감도 좋다
IMG_20131117_215955.jpg
IMG_20131117_220038.jpg
IMG_20131117_220049.jpg
IMG_20131117_220105.jpg
IMG_20131117_220120.jpg
IMG_20131117_220138.jpg

Battery.
우선 간단한 웹서핑과 게임을 해봤다.
웹서핑은 크롬을 이용하며 제트오디오를 이용하여 음악도 동시에 들었다.
총 사용가능 시간은 9시간 정도를 보였다.

충전의 경우 시간당 20%충전된다. 완충까지 약 5시간정도 걸리는셈.
배터리는 약 31Wh짜리가 달린걸로 알고있다. 어디서 보기론 8000? 8900?mah쯤 되는걸로....

아무튼 다음은 게임.
용량의 압박(내장메모리가 32GB다. 젠장)으로 마켓에서 공짜길래 냅다 받은 아스팔트7(많이들 해보셨을 그 막장레이싱게임)을 했다. 원래는 롤이나 배필2정도 돌려볼려고했다.
IMG_20131117_205904.jpg
(물론 저상태로 들고하면 무거워 죽는다. 키보드는 지원안하는거 같다)


젠장 데모판이라 맵이 한개 차도 한개다.........
아무튼 미친듯이 한맵만 해봤다(이미 안드로이드 지겹게해봤는데...)
한시간정도하니 약 16프로 정도 배터리가 닳았다. 계산기 두드려보니 최대 6시간정도 플레이가 가능할것으로 보인다.


여담이지만 집에선 이용도로 자주 쓰이곤한다.(맵핵아님)
IMG_20131115_231333.jpg


Performance.

이제 성능편이다. 아마 국내에선 최초로 해보는 벤치마크일것이다.(내가 못봤으니 최초라 치죠)

우선 cpu부문의 벤치마크 결과이다. 여러가지 툴을 써보려 했는데 되는게 없다.(32비트에..윈도우8.1에...극최신cpu라니..)

또 필자가 이전에 쓰던 노트북(셀러론 1007U)와 비교하려했는데 자료가 모두 증발했다.

얘기 잠시해보면 클로버트레일보다 전압은 두배가량 적게먹는다. 
공정은 22nm공정이며 코드네임 실버몬트 기반이다.(잘못됬다면 댓글로) 쿼드코어프로세서이다.(HT가 아니라 네이티브쿼드코어)

Linx 0.6.5이다. cpu에 부하를 걸어 뭐 어쩌고 하는건데 GFlops를 보면된다. 평균 6.7GFlops가 나온다. 풀로드상태로 계속두면 배터리가 5시간정도밖에 안간다.(오래가는거같다.)
linx.JPG

다음은 슈퍼파이. 원주율 계산으로 벤치마크 하는거다. 32M은 정말 셀프빅엿을 먹이는 수준의 느려터짐을 보여준다.
1M으로 한다.(이웃집패트로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대충 45초 언저리를 보여준다. 
슈퍼파이 1M.JPG

참고로 베이트레일 Z3740의 전작격인 클로버트레일 Z2760의 경우는 아래와 같다
슈퍼파이 1M 클로버.JPG
많이 발전한거같다.

패스마크도 돌려봤다. 
국내에선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평이 많은데 본인은 어느정도(진짜 어느정도..) 믿는다. 
cpu mark가 1026점이다. 아래에 보면 동급 cpu를 볼수있다.(근데 저기선 같은 Z3740이 1085점이다)
CPU벤치2.JPG

참고로 모바일 셀러론인 1007U의 경우 1400점
cpu벤치.JPG


다음은 Gpu.

gpu에 관해서도 얘기해보자면 
기존에 쓰이던 PowerVR SGX계열을 버리고 자사의 intel HD Graphics를 처음으로 탑재했다.

gpu의 경우 3DMARK를 이용해서 측정했다.

비교자료가 없는점은 필자도 유감이라 생각중이다.
그래픽1.JPG
그래픽2.JPG
또 Firestirke가 있는데 이녀석은 도통 프로세서가 받아주지 않더이다. 계속 프로그램을 내린다.
HD2000급이라는데 음.... 그거보단 좀 낮은느낌.


그리고 동영상도 돌려봤다. 이게좀 어거지 측정인게 준비된 1080p영상이 없어서(넣을수가 없다 용량크리) 1080p는 유투브를 이용했다.
사운드는 이 영상으로 체감해보길. 
1080p는 유투브렉은 아닌데 약간씩 끊긴다. 1080p는 아직까지 무리인가보다. 이 동영상의 요지는 여러분도 배필4를 하라는것이다. 꿀잼 허니잼




다음은 저장장치.
저장장치는 베이트레일이 병X이라 네이티브 SATA를 지원안해 eMMC 메모리를 탑재했다. 뭔지 모르겠으면 지나가는 공대생이나 구글신에게 문의해라
ASUS TFB T100의 경우 32/64GB모델이 출시된다. 왜인지 일본은 여기에 500기가 하드가 추가되어있다(네이티브 SATA지원 안된다더니?)

메모리 속도.JPG
와 속도 개안습이다. 무슨 하드보다 느리다. 근데 실제 체감은 대용량 파일 이동만 아니면 부팅이나 프로그램 실행에서 ssd급의 체감속도(까지는 아닌데)를 느낄수있다.



다음은 램
램은 온보드형태로 2GB정도 제공된다. 베이트레일 스펙상으론 4GB까지 장착가능하다(근데 온보드라 업글불가능ㅋ)
장착된 램은 DDR3-1066mhz 2GB이다.
좀 놀라웠던게 듀얼채널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니까 1GB두장이 꽂혀있다는 소리.(아마 본인이 최초로 밝힌듯 하다)
솔직히 한장보다 두장이 나은게 내장그래픽성능이 좌지우지 되기 때문이다.

듀얼채널.JPG
듀얼채널2.JPG
듀얼채널3.JPG

*키보드
-특별요청이 들어온항목이다. 키감의 경우 일반 노트북의 펜타그래프 방식과 유사한듯하다. 나중에 타건영상을 올리겠다.

이제 대부분 하드웨어 스펙의 소개는 끝이 났다.

번외로 온도나 한번보자.

벨류는 idle상태 즉 아무것도 하지않을때의 온도를 보여주고 있다. 겁나 착하다. 20도라니..
풀로드를 걸어도 40도를 넘지 않는다. 놀랍다.
온도.JPG

발열이 느껴지는곳. 빨간곳은 프로세서가 있는부분이라 특히 더 따뜻하다.
본인이 온도측정기가 없어서 상세하게는 측정못했지만 여러분들이 직접느껴볼수있다. 본인의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해봐라. 그정도의 발열밖에 안난다. 
빨간선은 미지근하게라도 발열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1384503134uy6cbbIc2ZrXnkDQRqKRR1bE3CgwK7q.jpg


또 재밌는게 하나 있다면 윈8.1은 램을 600메가 밖에 먹지않는다. 그래서인지 램이 2기가인데도 크롬탭 열몇개 띄우고 다른거해도 램이 부족하다 느껴지진않는다. 아니 느려지지가 않는다.
초기램.JPG


요약해서 정리해보겠다

장점
-미친배터리(9시간이라니 ㄷㄷ하다)
-아톰치곤 괜찮은성능
-키보드독이 있는게 정말좋다
-충전기 호환성 굿. 안드로이드 폰유저라면 더더욱 
-USB 3.0지원

단점
-램 2기가. 좀 적을수도 있을거같다.
-내장메모리  속도. eMMC의 한계다. 근데 eMMC 5.0은 날라댕김
-키보드독에 배터리가 없다는것. 트랜스포머 패드시리즈의 경우 독에도 배터리가 들어있어서 사용시간이 스펙상 16시간이라는 흠좀무를 자랑했었다.
  근데 배터리도 없는 주제에 태블릿하고 무게가 똑같다.
-베젤의 윈도우 로고. 훼이크라니! 눌러도 반응이 없다. 계속눌러보게된다.


ps. 발열이 있는상태에서도 성능저하는 크게 없었습니다. 발열이 크지않기에 그런거같네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