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단독] “청와대 CJ 압박, 영화 <변호인>이 결정적 역할”
게시물ID : sisa_79067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좋은연인
추천 : 30
조회수 : 1373회
댓글수 : 17개
등록시간 : 2016/11/17 18:41:34
문체부 전직 고위관계자 증언
노무현 추모 열기 다시 살아나자
김기춘 당시 비서실장 교문수석 통해
문체부에 조사 압박 지시

조원동 경제수석은 직접 나서
이미경 부회장 퇴진 강요 전화
“대통령 지시 따른것” 진술하자
청와대, 자체조사 나섰다 중단


청와대가 씨제이(CJ)그룹을 압박한 결정적 이유는 영화 <변호인> 때문이었다는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들의 증언이 나왔다. 또 이미경 씨제이그룹 부회장에게 퇴진 압력을 넣은 조원동 경제수석에 대해서는 당시 청와대 자체 조사가 이뤄졌으나, 조 수석이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전화를 한 것”이라고 진술해 조사가 중단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한겨레>가 문체부 전·현직 고위 관계자들의 얘기를 들어본 결과, 씨제이그룹에 대한 청와대의 압력이 본격화한 것은 2014년 초부터다. 문체부 전직 고위 관계자는 “2013년 중순부터 청와대에서 ‘씨제이 쪽을 조사해서 손을 좀 보라’는 주문이 문체부에 간간이 내려오기는 했으나 2014년 초부터는 그 강도가 갑자기 높아졌다”며 “당시는 영화 <변호인>이 1000만명을 돌파하며 고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추모의 열기가 다시 살아난 때”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시 청와대의 지시는 김기춘 비서실장이 모철민 교육문화수석에게 지시해 문체부에 전달됐다”고 말했다.

<변호인>은 1981년 9월 부산 지역에서 발생한 ‘부림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로, 2013년 12월18일 개봉해 한국 영화로는 9번째로 1000만 관객을 돌파하는 기록을 남겼다. 주인공 변호사의 모델이 고 노무현 대통령이라는 점에서 화제가 됐다.

그는 그러나 “문체부가 청와대의 지시를 제대로 따르지 않자 그 과제가 공정거래위원회로 넘어갔다”며 “문체부를 대신해 숙제를 떠맡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왜 우리가 덤터기를 써야 하느냐’며 문체부 쪽에 강하게 항의를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실제 공정거래위원회는 2014년 4월4일 씨제이 씨지브이(CJ CGV), 씨제이 이앤엠(CJ E&M)에 대한 현장조사에 착수했다. 그 결과 공정위는 그해 12월 씨제이에 대해 과징금 32억원을 부과했다. 씨제이 관계자는 “공정위가 조사를 나왔으나 크게 문제삼을 게 없자 이 사안과 별 관계가 없는 영화진흥위원회까지 다그치는 등 뭐라도 찾아내려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한편, 조원동 수석이 이미경 씨제이 부회장의 퇴진을 강요했다는 녹음 파일과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17일 “조원동 수석의 목소리가 담긴 녹음 파일이 2014년 1~2월 무렵 청와대에 들어와 민정 쪽에서 자체적으로 조사에 들어간 적이 있다”며 “녹음 파일의 진위 여부와 사실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조 수석을 조사했는데 조 수석이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전화를 한 것’이라고 말해 더 이상 조사가 이어지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조 수석에 대한 조사 결과는 김기춘 비서실장에게 정식으로 보고를 올렸다”며 “보고 며칠 뒤 3인방 가운데 한 사람인 안봉근 비서관이 `더 이상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고 말해 그 사건은 종료됐다”고 말했다.



 
출처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70783.html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