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트랜센던스 감상 TIP!!!!!!
게시물ID : movie_2761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조리뽕
추천 : 0
조회수 : 1256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05/14 23:35:05

인공지능이랑 튜링테스트, 중국인방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고 가면 더 재밌게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튜링 테스트

튜링 테스트(Turing test)는 기계가 인간과 얼마나 비슷하게 대화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기계에 지능이 있는지를 판별하고자 하는 테스트로, 앨런 튜링1950년에 제안했다.
앨런 튜링은 1950년에 철학 저널 Mind 에 발표한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 에서, 기계가 지능적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조건을 언급했다.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는 긍정적이라고 답변하면서, "컴퓨터가 생각할 수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가?"라는 핵심 질문에 대해 그는 "컴퓨터로부터의 반응을 인간과 구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는 생각(사고, thinking)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만일 지성 있는 사람이 관찰하여 기계가 진짜 인간처럼 보이게 하는 데 성공한다면 확실히 그것은 지능적이라고 간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검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만족시키지만 일부 철학자들은 여전히 납득하지 못한다. 튜링 테스트 중 관찰하는 사람과 기계는 텔레타이프로 상호교류하는데, 이때 기계는 아직 사람의 외모와 목소리를 완전히 흉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기계는 관찰하는 사람에게 자기가 인간이라고 설득함으로써 인간을 속이려 시도하는 셈이다.
 
 
 
중국인방
 
중국어 방 혹은 중국인 방(영어: Chinese room)은 존 설(John Searle)이 튜링 테스트로 기계의 인공
 
지능 여부를 판정할 수 없다는 것을 논증하기 위해 고안한 사고실험이다.
우선 방 안에 영어만 할 줄 아는 사람을 집어 넣는다. 그 방에 그 사람 외에 필담을 할 수 있는 도구와 미리 만들어 놓은 중국어 질문 목록과 중국어로 된 그 질문에 대한 완전한 대답 목록을 준비해 둔다. 이 방 안으로 중국인 심사관이 중국어로 질문을 써서 안으로 집어 넣으면 방 안의 사람은 그것을 준비된 대응표에 따라 그에 대한 답변을 중국어로 써서 밖의 심사관에게 준다.
 
논변의 내용을 좀더 이해하기 쉽게 비교해보았다.
 
인공지능 컴퓨터 인간
중국어 방 하드웨어 인간의 외형적인 몸체
영어만 할 줄 아는 사람 소프트웨어 인간의 지능
중국어로 된 질문 입력(Input) 인간이 외부에서 접할 수 있는 자극
중국어로 된 답변 출력(Output) 인간이 외부에서 접한 자극에 대한 반응
질문&대답 목록 데이터베이스(Database) 습득된 기억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인간의 지능'과 '영어만 할 줄 아는 사람'이 동급의 지능을 가졌다고 할 수 있는가?' 라는 점이다. 인간 또한 외부에서 접한 자극의 반응으로 습득된 기억속에서 대응방식을 도출하여 표현하게 되는데 이러한 골자를 그대로 따라한 중국어 방의 핵심인 '영어만 할 줄 아는 사람' 이 '인간의 지능' 과 같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 중국어 방 논변이 갖는 논리적 바탕이다.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는 입력되는 Data 를 받아 미리 기록된 Database 와 비교 대조를 하여 Output 을 도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연산과정에서 input 과 ouput 에 대해 '이해' 하였다고 할 수 있는 근거가 전혀 없다. 이는 중국어방의 영어만 할 줄 아는 사람이 중국어 질문과 답변에 대해 '이해' 가 아닌 모양새의 비교 대조를 통한 '인지' 를 하고 있으며 이는 '컴퓨터로부터의 반응을 인간과 구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는 생각(사고, thinking)할 수 있는 것' 이라고 주장하는 튜링 테스트를 전적으로 반박할 수 있다.
 
 
인공지능
 
인공지능이 무엇이냐는 질문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인공이란 무엇인가?"와 "지능이란 무엇인가?"이다. 첫째 질문은 꽤 답하기 쉽지만, 무엇을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을 낳는다. (여기서 만든다는 것은 고전적인 연산 시스템과 같은 특정 형태의 시스템 하에서 이루어 질 것, 인공적 제조 공정이 존재할 것, 그리고 인간 지능의 한계라는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진다.) 째 질문에 대답하기는 훨씬 어려운데, 이는 의식이나 자아 혹은 심리(무의식을 포함해서) 등이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가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종류의 지능인 인간의 지능은 어떠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연구하거나 이해하는 것은 무척이나 어렵고 복잡한 작업이다. 기존의 모델과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고 있는 동물과 인공지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그 타당성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강인공지능

강한 인공지능은 어떤 문제를 실제로 사고하고 해결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의 인공적인 지능을 만들어 내는 것에 관한 연구다. 즉, 인공지능의 강한 형태는, 지각력이 있고, 스스로를 인식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강한 인공지능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약인공지능

약한 인공지능은 어떤 문제를 실제로 사고하거나 해결할 수는 없는 컴퓨터 기반의 인공적인 지능을 만들어 내는 것에 관한 연구다. 그와 같은 시스템은 진짜 지능이나 지성을 갖추고 있지는 못하지만, 어떤 면에서 보면 지능적인 행동을 보일 것이다. 오늘날 이 분야의 연구는 주로 미리 정의된 규칙의 모음을 이용해서 지능을 흉내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맞추어져 있다. 강한 인공지능 분야의 발전은 무척이나 미약했지만, 목표를 무엇에 두느냐에 따라 약한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꽤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