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제주 4.3사건과 관련하여 질문드려요
게시물ID : sisa_51710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붕어.
추천 : 0
조회수 : 534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4/05/26 20:28:59
게시판과 맞지 않다면 정말 죄송합니다 지금 당장 너무 멘붕이여서,,, 

이번 학기 통일에 관한 수업을 듣고 있는데 수업을 듣다보면 정말.. 이명박근혜 박정희전두환에 대해서는 어물쩡 넘어가면서 좋은점만 말하고
그리고 항상 노무현대통령 노무현대통령이러면서 좋은얘기는 쏙 뺴놓고 안좋았던 일만 얘기하시곤 합니다.
항상 좌익좌익 진보를 말하시며 북한측의 사상과 닮았다 말하시고요

이미 수업은 안 듣고 있고 당장이라도 나가기 싫지만 장학금떄문에 다니고 있습니다... 근데 제가 잘못 알고 있던건가요,, 
이 교재에 왜 이렇게 쓰여있죠?... 레포트 내주셔서 이 책 바탕으로 쓰고있는데 제가 잘못생각한게 아니라면 그냥 이 수업은 F맞으려 합니다

책의 일부분입니다
=========================================
참고적으로 당시 좌익 계열의 폭동과 남파된 유격대의 활동상을 살펴보면 제주도에서 1948년 4월 3일 새벽1시 소위 인민자위대라는 좌익무장대가 제주도의 24개지서 가운데 11개 지서를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미 군정청은 경찰병력을 제주에 투입하여 이를 진압하려 하였으나, 사태가 더욱 악화되자 군을 투입하여 제주도 전체를 초토화 시켰다. 그 과정에서 약 9만 명의 이재민과 엄청난 재산피해, 인명피해가 발생하였고 이 사건으로 인하여 제주에서는 5.10 선거를 치르지 못하였다. 비록 이 사건은 발발 1년 만인 1949년 5월 일단 종결되었으나, 봉기의 여파로 인한 완전진압은 6.25 전쟁을 거쳐 1954년에 가서야 가능하였다

또한 여순사건은 제주 폭동을 토벌하려고 1948년 10월 19일 전라남도 여수에 주둔하고 있던 국방경비대 제 14연대에 출동명령을 내리자 연대에 소속된 
좌익계열의 일부 군인들이 진압출동을 거부하고 무장봉기하여 반란을 일으킨 사건으로 여수 14연대 반란사건, 여순봉기, 여순항쟁, 여순군란이라고도 부른다. 반란군은 여러 지역을 장악하고 화순 남원 하동 지역의 일부까지 그 세력이 확산되었다. 이에 정부는 10.21 광주에 반란토벌사령부를 설치하고 다음 날 여수순천 지구에 계엄령을 선포하고는 장갑차를 앞세워 순천으로 진격하여 저녁 무렵 전역을 탈환하였다. 24일에는 여수로 진격하여 27일 전역을 탈환하였다. 반란군은 김지회 중위의 지휘 아래 덕유산으로 도주하여 게릴라전을 전개하였다. 이 사건은 제주 4.3사건과 함께 해방정국의 소용돌이 속에서 좌익과 우익의 대립으로 빚어진 민족사의 비극적 사건으로 이승만 정부는 이 사건을 계리로 1948년 12월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고 랑력한 반공국가를 구축하였다.
==============================================

뭔가 이상합니다.. 제가 정확히 알고 있지 못해서 그런걸까요?.... 
당장 레포트는 커녕 이 과목에 대해 시험공부할 생각조차 사라졌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