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우병우 장모가 동창회장 지낸 이화여대 '알프스'가 수상하다
게시물ID : sisa_81737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마초짱99
추천 : 18
조회수 : 1458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6/12/14 17:13:12
R658x0.jpg
우병우 전 수석 장모, 한광옥 실장·김병준 전 총리내정자 부인도 회원
[쿠키뉴스=송병기 기자]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장모 김장자 삼남개발 회장이 총동창회장을 지냈던 이화여대 여성최고지도자과정 ‘알프스(ALPS)’ 회원에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 부인과 김병준 전 국무총리 내정자 부인이 회원으로 등록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일보는 이러한 내용을 지난 12일 확인했으며, 김장자 회장이 최순실씨와 함께 골프를 친 사실이 드러나는 등 이대를 축으로 ‘최순실-김장자-우병우’ 라인이 조직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라고 보도했다.
특히 국민일보에 따르면 한 비서실장과 김 전 총리 내정자도 연관된 정황이 드러나면서 ‘이화여대 커넥션’의 실체를 밝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알프스는 고위층 여성들의 사교모임 격으로 최순실씨의 인재 풀(Pool)로 악용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이화여대는 최씨의 딸인 정유라씨에게 입학과 학사관리 특혜를 제공하는 등 최씨 일가에 적극 협조해 왔다.
한 비서실장 부인 정모씨와 김 전 내정자 부인 김모씨는 각각 이대 알프스 13기와 29기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국민일보가 보도했다. 우 전 수석 장모인 김 회장은 28기다. 김 회장은 8년째 알프스를 다니며 총동창회장을 맡아왔으나, 지난 7월 우 전 수석의 부동산 거래 의혹이 제기된 다음 달인 8월 총동창회장직을 사퇴했다.
지난 1995년 이화여대에 개설된 알프스는 기수당 50명으로 운영되는 리더십 프로그램이다. 21년간 알프스를 거쳐 간 회원 수는 1800여명에 불과하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부인인 김윤옥 여사, 홍라희 삼성미술관장 등 고위층 여성의 고급 사교모임 성격을 띠고 있다. 
국민일보에 따르면 이 폐쇄적인 모임에 최순실씨가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이대 커넥션이 주목받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우 전 수석이 민정비서관으로 청와대에 입성한 이후 최씨는 김 회장과 골프를 치며 “앞으로 문화 쪽 일을 많이 할 사람이니 도와 달라”며 차은택씨를 소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정윤회 문건유출 파동 이후 우 전 수석은 민정수석으로 영전했다. 이 과정에서 ‘암묵적 동맹’ 관계가 있었다는 해석이 제기됐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 실장과 김 전 내정자가 등장한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일 김병준 전 내정자를 총리로 지명했다. 야권과 상의가 없었던 점도 문제지만 노무현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그가 박근혜정부의 구원투수로 등장한 배경을 두고 많은 의문이 제기됐었다. 
또 동교동계 원로인 한 비서실장이 박근혜정부 국민대통합위원장을 거쳐 비서실장까지 맡게 되자 야권 내부 반발이 극에 달했다. 야권 핵심 관계자는 “이대 알프스가 최씨의 비선 인재 풀 역할을 했다는 의심이 든다”면서 “15일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 특위 4차 청문회에서 이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진상을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비서실장과 김 전 내정자도 이대 알프스와 연관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최순실-김장자-우병우-한광옥-김병준’으로 이어지는 이대 커넥션이 완성된다.
이에 대해 김 전 내정자는 국민일보에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집사람은 김장자 회장이 누군지도 모른다”며 “학교 측에서 부탁하니 등록은 했지만 알프스 동문회에 단 한 번도 나간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한 비서실장 측 관계자는 “사모님이 13기 수료를 한 건 맞지만 김장자씨와는 일면식도 없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
한광옥 얘기 하길래요...
이시국에 왜 저 늙탱이가 청와대비서실장 으로 갔나 했더니..
김병준..까지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