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read time out 은...
게시물ID : minecraft_826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시크한민
추천 : 2
조회수 : 2219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2/02/27 00:36:24

윈도우를 사용한다고 사라지는게 아닙니다..

저도 아직 간간히 read time out 현상을 겪고 있고

버킷 포럼에 보면 버킷 자체의 고질적인 문제로 완벽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가 겪은 경험으로 원인은 2가지로 생각됩니다.

 1. 기본적으로는 한꺼번에 너무 많은 파일의 입출력으로 다운
 2. 한꺼번에 너무 많은 패킷이 서버로 전송

- 1번원인(1)
1번의 경우 로그블럭, 빅브라더, 호크아이 등등 테러범을 감시하기 위한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있을때

동접자가 많은 대형서버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한꺼번에 너무 많은 블럭 변경이 일어나서

처리를 제대로 못하고 다운되는겁니다.

하지만 MYSQL을 사용하고 있을땐 이런 증상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고

예외의 상황에서 발생한다 하더라도 MYSQL의 버퍼를 늘려줌으로써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 1번원인(2) 

DYNMAP 과 같은 실시간 지도 플러그인을 사용할때 자주 발생하기도 하는데

DYNMAP에 많은 수의 스레드를 설정하셨거나 혹은 DYNMAP의 갱신속도를 하드디스크가 따라오지 못할때 발생합니다.

- 1번원인(3)

많은수의 플러그인이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플러그인이 서로 충돌이 발생해서 뭔가 꼬여버린 경우죠

서버로그에 soket 끊김 이외의 예외오류가 기록되어있다면 해당 플러그인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더라도 삭제하시는게 좋습니다.

- 2번원인(1)

DYNMAP 이 문제입니다. DYNMAP 포트 8123 은 외부로 열려있는 HTTP포트 역할을 합니다.

해당 포트를 지정하고 시중에 돌아다니는 공격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서버가 다운될 수 있습니다.

이건 1기가 대역을 쓰던 100메가 대역을 쓰던 상관없는겁니다.

대역이 문제가 아니고 한꺼번에 전송되는 패킷의 처리속도가 중요한거죠.

- 2번원인(2)

방화벽이 없는 경우 기본적인 포트를 외부로 열려있습니다. 특히 리눅스의 경우는 더 합니다.

방화벽은 필수죠.

- 2번원인(3)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TCP 버퍼의 용량이 꽉차버려서 다운되버리는 증상이죠.

여기서 제가 말할 수 있는건 리눅스에서 TCP 버퍼의 문제로 READM TIME OUT을 고칠 수 없다면

윈도우로 넘어오는건 쓰잘때기 없는 짓이라는겁니다. -0-;;;;;

리눅스만큼 네트워크 설정을 손쉽게! 관리자의 세세한 세팅이 가능한 os는 없으니까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