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허핑주의)양성의 임금격차에 대한 분석글입니다.
게시물ID : military_8327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격렬한총잡이
추천 : 7
조회수 : 506회
댓글수 : 21개
등록시간 : 2017/10/16 15:52:00
http://m.huffpost.com/kr/entry/14633390#cb -상
http://m.huffpost.com/kr/entry/15226682#cb -중
http://m.huffpost.com/kr/entry/15680088 -하

글쓴이 자체 요약
(상)
1.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는 35년간 하락했으나 최근 정체 중이다. OECD에서 가장 격차가 크고 감소도 더디다.

2. 격차가 곧 차별은 아니다. 격차는 차별과 차이의 합이다. 진정한 성별 임금격차를 보기 위해서는 차별을 측정해야 한다.

3. 차별과 차이를 완벽히 구분해 내기 쉽지 않다.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면 어느 정도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중)
1. 차이가 줄어들어 격차가 줄어들었다. 학력 등 인적 특성 차이는 30년간 꾸준히 줄어들었다. 차별은 총 임금격차의 20% 내외로 안정적이었다. 2000년 이후 차이와 차별 크기에 별 차이가 없고, 둘 모두 변화가 더디다.

2. 알려져 있듯 공공부문보다 민간부문의 차별이 크다.

3. 경력단절은 여성의 역량 형성을 가로막아 생애주기 전체의 임금격차를 야기한다. 노동시장의 평균적 남성과 여성의 생애 최고임금 차이는 두 배에 가깝고, 평생소득을 계산하면 격차는 더욱 커진다.

(하)
1. 성별 직종분리는 직종 진입제한보다는 성별 비교우위와 커리어 기대에 기반한 선택의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2. 직종분리보다 직종 내 격차가 성별 임금격차 문제에서 더 중요하다. 위험직종이나 이공계 관련 직종에서 일하는 여성이 적기 때문에 임금격차가 발생한다는 주장은 현실과 거리가 있다.

3. 차별에 따른 성별 임금격차는 자영업보다 임금노동자를 중심으로 나타난다.

-
상당히 상세하게 다룬 글이어서 가져와봅니다. 임금차별이 없다고 우리가 주장하려면 반대되는 주장도 듣고 생각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간단하게 읽기에 (하)부분에서 논리적인 취약점이 많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비약하는 부분도 많은 것 같구요. 시간이 날때 천천히 분석해볼 생각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