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복돌이의 역사 (1) - 합팩
게시물ID : gametalk_8328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미토콘
추천 : 19
조회수 : 1429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3/07/19 22:33:57
여러분들은 복돌이를 어찌 생각하십니까.

물론 정품 우선에 복돌짓은 피해야하는 행동이죠.

하지만 전쟁은 하면 안 되지만, 과거의 전쟁사나 무기들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면 재미있는 것 처럼

복돌이에 대한 것을 일종의 "역사"나, "추억","이야깃거리"로 본다면

게임 생활에 또 다른 재미를 주지 않을까요?

그런 뜻에서, 제가 기획한 특별 기획 복돌이의 역사 시작해 보겠습니다.



첫번째 시간. 역시 대부분이 아시는 최초의 게임기 하면 역시 패미콤 아닐까요?
국내에서는 "패밀리, 현대 컴보이"와 같은 이름으로 알려진 이 게임기. 
게임기 자체의 복제 - 통칭 "패미클론"이라는 것도 상당히 많은 기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패미컴에서의 복돌하면 역시 "합팩"이 제일 유명하죠.

IMG_20130719_183719.jpg

제가 가지고 있는 합팩. 왼쪽은 패미컴용 오른쪽은 북미판인 NES(현대컴보이)용 입니다.

합팩의 특징하면, 역시 팩 자체의 가격은 보통게임보다 살짝 비싼 대신에 엄청 많이 들어있다는 점이겠죠.
일반팩 가격의 1.5~3배 정도의 가격이지만, 게임은 그 이상 들어있으니까요.

이러한 합팩의 특징으로는

1. 숫자가 무진장 높다.
2. 그런데 그게 전부 다른 게임이 아니다. 기존 게임의 개조버전으로 채워져있는 경우가 대부분
3. 들어가있는 게임이 비슷비슷하다.

2번은 무슨 뜻인지 이해 못 하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드리자면.
예를 들어서 슈퍼 마리오라는 게임이 있고. 뒤에 "마리오2"라는 게임이 있는 데. 마리오2를 실행하면 슈퍼마리오 4스테이지에서 시작한다거나.
그라디우스 뒤에, 슈퍼그라디우스라는 게임은 그라디우스에서 파워가 만땅인 상태로 시작한다는 식으로, 기존 게임과 별차이 없거나, 심지어는 아무런 차이 없는 걸로 채워 놓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128가지 게임이 들어있다고 해놓고선 막상 틀어보면 게임은 20개 밖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그리고 복팩에 들어있는 게임이 비슷비슷한 건.
원래 인기있을 만한 재밌는 게임들을 모으다보니 그런 것일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하기엔 "악마성 드라큐라"같은 게임이 박혀있는 경우는 없죠?

제가 듣기로는 "기판구조가 비슷한 게임"끼리 모으다 보니, 같은 게임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다고 하다더군요.
그래서 합팩을 만들기 편한 게임들끼리 모여있는 거라고 합니다.

IMG_20130719_184059.jpg

여하간 합팩 틀면 이런 간소한 게임 선택화면과 함께

IMG_20130719_184847.jpg

모험도나

IMG_20130719_190529.jpg

서커스같이
우리가 익숙한 게임들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그 외 패미컴 합팩 단골 게임 : 슈퍼마리오, 갤러그, 동키콩, 1942, 그라디우스, 트윈비, 닌자, 매피 등

물론 합팩자체는 저작권료고 나발이고 없기때문에 제작사 입장에서는 골치 아픈 물건이긴한데.(심지어 국내에서도 꽤 제작되었습니다. 재믹스나 메가드라이브용으로)
현재처럼 팩자체를 구하기 힘들 때는, 실기로 플레이하고 싶은 사람에게 단비와도 같은 존재이기도 합니다.

게임을 넣는 매체가 팩에서 CD로 옮겨가면서 이러한 복돌 형태자체는 사라지기는 했습니다만.
비교적 최근기종에 속하는 GBA용으로도 합팩이 있기도 하고.(이건 제가 다음시간에 보여드리겠습니다)
오락실 기판인 MVS 또한 카트리지 방식이다 보니, "합팩"이 존재합니다. 네오지오의 기판이다보니 킹오브 시리즈와 메탈슬러그 등이 주축을 이룬 합팩인데. 심지어는 이걸 꽂은 게임기를 쓰는 오락실도 있더군요.

이런 합팩은 단순 기존 게임을 합친 것 만이 아니라 별별 무허가 게임이나 미친 이식게임이 있는 경우도 있는 데.
그래픽이 떨어진다곤 하지만 KOF를 패미컴용으로 만들었다거나.(정식으로 킹오브시리즈가 콘솔인식된건 네오지오를 빼면, 플레이스테이션과 세가새턴 때)
패미컴용 소닉같은 별별 해괴한 게임도 있습니다.


여하간, 현재는 사라져버린 과거 복돌이의 한 형태입니다.
그 당시에는 이것만 있으면 진짜 최고였는 데, 이젠 이런건 그냥 추억으로만 묻어 둬야겠죠?

참고로 합팩이라고해서 무조건 불법만 있는 것은 아니고.
제작사가 직접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IMG_20130719_222532.jpg

제가 가진 것 중엔 이게 유일하네요. 파이널판타지 1과 2를 한 팩으로 묶은 패미컴 팩입니다.
그 외에도 코나미 GB컬렉션 시리즈(게임보이용)같은 것도 유명한 제작사 공인 합팩에 속합니다.


아! 마지막으로 복돌에 대한 토막 지식

IMG_20130719_190243.jpg

Galaga. 갤러가(일본식표기는 갸라가)라는 게임. 역시 합팩의 단골게임이기도 한데요.
정식 이름은 Galaga인데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갤러그"라는 이름으로 흔히 알려져있죠.
왜 우리나라만 갤러그라는 다른 이름이 유명하냐하면.

오락실에 갤러가가 유행했을 때, 국내에는 "복사 기판"을 가져와다가 오락실에서 가동을 했습니다.
이때 이 복사 기판(해적판)은 이름을 살짝 바꿔서 "GALLAG"라는 이름으로 들어왔고.
오락실은 이걸 그대로 읽어 "갤러그"라는 이름을 붙이고 장사를 했습니다.
그래서 이 게임은 우리나라에서 만큼은 "갤러그"라는 이름으로 유명해 진 것입니다.

어찌보면 씁쓸하면서도 재미있는 명칭변경. 
오늘은 이 쯤에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합팩 소개 추가 + 복팩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