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고슴도치도 제 새끼는 함함하다고 한다.
게시물ID : gomin_113680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무지개같은꿈
추천 : 0
조회수 : 279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06/29 11:24:47




일반적으로 부모는 아이들의 행동이나 모습을 지나칠 정
도로 일반화 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들어 체형이 너무 왜
소하거나 뚱뚱하고, 어떠한 한 신체 및 정신적인 부분에
문제가있는것 같아도 부모들은 "다른 아이들도 이래, 이
러겠지"라는 생각으로, 자녀의 문제점을 일반적인 경향
으로 치부해버린다. 그리고 그들의 자녀가 결국 어떤 사
건을 일으키면 그들의 부모는 이렇게 말한다.




"제 아이가 어때서요?"




물론 옛날부터 이런 일은 있었다. 하루종일 일을 하느라
많은 자녀들에 하나하나 제대로 돌봐주지 못했기에- 이
는 일반화라기 보단 "방치"라는 개념에 가까운듯 하다. -
부모의 방치로부터 생겨난 자녀의 문제점은 주로 신체적
인 측면에서 발생했다. 그러나 그들은 이웃 공동체나 또
다른 자매 형제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어, 문제점의 해결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선 자녀의 정신적인 문제점이, 부모들
의 과잉보호때문에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 이렇게 아이를 위해 난 모든것을 해주는데 무슨 문제가 
있겠어, 내 아이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 다른 아이들도 이
럴거야. " 라는 생각 때문에. 정신적인 문제점은 가족이나
친구가 아닌이상, 누구도 알아채거나 해결할 수 없다. 그
렇기에 과거에 비해 이웃공동체의 개념이 약해지고, 자녀
의 수가 적어졌으며, "내 일이 아닌데 무슨 상관이야"라는
개인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현대사회에선 그들의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옆집 아이가 3년동안 밤마다 울부짖는다. 아이가 우는건
당연하지만, 밤 12시, 한창 잠에 곯아 떨어질 시간에 줄기
차게 발악하는건 정상이 아니다. 저러면 병원에 데려가야
하는것 아닌가? 라는게 상식적인 생각일 것이다. 그러나,
또다시 생각한다. 3년동안 저렇게 자녀를 병원에 데려가
지 않는 이유는 "원래 아이들은 우는게 정상이야" 라는 부
모의 지나친 일반화 때문이 아닐까, 하고. 저 아이는 과연
정신적인 문제점 없이 제대로 자라날 수 있을까.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