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박종철 고문사’ 밝힌 검사와 의사, 30년 만에 만났다
게시물ID : sisa_83466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에구구국
추천 : 7
조회수 : 81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7/01/14 09:04:24
옵션
  • 펌글
30년 전인 1987년 1월14일, 21살 꽃다운 나이의 대학생이 경찰에서 수사받다가 숨졌다. 숱한 의문이 제기됐지만, 권력의 앞잡이 노릇을 하던 경찰은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고 발표했다. 쇼크사로 위장해서 덮으려던 경찰의 의도는 권력과 상부의 압박에 굽히지 않은 한 검사와 부검의에 의해 꺾였다. 물고문으로 숨졌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불의한 정권에 대한 시민의 저항이 불붙기 시작해, 6월29일 마침내 권력을 무릎 꿇리고 민주화를 이뤄냈다. 세계사에 유례가 드문 시민 승리였다. 그때 검사가 한밤중의 시신 화장을 허락했다면, 부검의가 경찰 요구대로 심장 쇼크사로 사인을 바꿔줬더라면 역사가 어떻게 진행됐을까. 민주주의는 더디게 왔을 것이고, 그 과정에서 더 많은 피를 흘려야 했을지도 모른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30주기를 맞아, 공직자가 자기 위치에서 원칙을 지키고 양심을 따를 때 사회 발전이 이뤄진다는 교훈을 새겨본다. 30년 전 당시 서울지검 공안부장이었던 최환 변호사(오른쪽)와 당시 부검의였던 황적준 고려대 의대 명예교수(왼쪽)가 서울 용산구 갈월동 박종철기념관에서 얘기를 나누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
.
.


황“각 전문 직업인들이 자기 소명의식을 갖고 직업윤리대로 움직이면 모든 게 잘됩니다. 그러나 지금 보면 오히려 가장 공부를 많이 한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고 있어요. 사회가 발전하려면 전문지식인들이 가치관을 제대로 가져야 합니다. 매뉴얼대로 사회를 이끌어가야 하고요. 박종철 사건 때 공안부장은 법과 규정대로 대처했는데 30년 후에는 오히려 그게 안 되고 있어요. 그런 면에서는 사회가 후퇴했어요. 제 전공인 부검 분야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모든 변사 사건은 규정대로 다 해야 한다고 봐요. 백남기씨도 원칙대로 부검을 했어야 합니다. 미국은 케네디 대통령도 부검해서 결과가 교과서에 실려 있어요. 원칙을 어떤 때는 적용하고 어떤 때는 배제하면 안 됩니다.”

최“많이 배우고 잘 사는 사람들이 모범을 보여야 하는데 그러질 못합니다. 지금 국정조사나 특검 수사를 보면 집권층이나 잘난 사람들이 모두 거짓말을 하고 있잖아요. 일반 국민들이 오히려 선량해서 그나마 사회가 유지되고 있다고 봅니다. 이래서는 정의가 바로 설 수 없지요. 앞으로 다가올 30년은 이런 식으로는 안 됩니다. 근본적으로 바꿔야 합니다.”
-----------------------

우리의 오늘을 있게 하신 역사적인 분들을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두 분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우리의 아이들은 불공정하고 불법한 시대가 아닌 정의로운 시대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촛불이 꺼지지않게 미약한 힘이나마 계속 보태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진실이 승리합니다.


#거짓은 참을 이길수 없다. 
#어둠은 빛을 이길수 없다.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우리는 포기하지 않는다. 
출처 http://v.media.daum.net/v/20170113213625655#none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