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코통조림 입니다.
오늘은 측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측량학이란?
공간상에 존재하는 제점 간의 상호위치 관계와 그 특성을 해석하는 학문으로, 대상은 지구와 우주공간 등의 모든 영역이며, 그 범위 내에서 각 대상을 길이, 각, 높이와 시간 등의 요소에 의해 정량화 시키고 자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학문입니다.
평면위치(x,y)를 결정하는 측량으로 삼각측량(트랜싯), 삼변측량(EDM, cos제2법칙 사용), 다각측량 등 입니다.
높이(z)를 결정하는 측량은 수준(레벨)측량이 있습니다.
3차원(x,y,z)를 측량하는 방법은 GPS, T/S, 관성측량, 항공 삼각측량 등 입니다.
2. 측량학을 분류해보자.
(1) 기계에 따른 분류 : 거리, 평판, 컴퍼스, 트랜싯, 레벨, 사진측량 등
(2) 목적에 따른 분류 : 토지, 지형, 노선, 하해, 지적, 터널 등
(3) 법에 따른 분류
⓵ 기본측량 :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으로써 국토해양부장관명에 따라서 국립지리원이 실시 합니다.
⓶ 공공측량 : 공공의 이해에 관계있는 측량 입니다.
⓷ 일반측량 : 기본측량, 공공측량을 제외한 나머지 입니다.
(4) 면적에 따른 분류 : 반경 11km이상일 경우 지구의 곡률은 고려해서 평면이 아닌 구면으로 간주합니다.
| 소지(평면) 측량 | 대지(측지) 측량 |
곡률 | 고려 안함 | 고려 |
반경 11km | 이내 | 이상 |
| 소규모 | 대규모, 높은 정밀도 필요시 |
3. 중력측량
일반적인 물리량의 관측법과 같이 중력에 의하여 변화하는 현상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이것을 관측하기 쉬운 길이 또는 시간의 변화를 관측해서 중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중력이상 : 실제 측정값과 이론상 중력값의 차이로써
실측값 - 이론상 중력값 이며, (+)값이 나오면 지표 아래 밀도가 높은것을 의미하고 (-)값이면 밀도가 낮음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