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전체 선거인단의 몇퍼센트가 역선택을 할시 결과가 뒤바뀌는지 간단 계산
게시물ID : sisa_85240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J.ManuelMata
추천 : 5
조회수 : 492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7/02/21 00:44:06
경선1.png

여기서 역선택이라 함은
1. "아 나 문재인 너무 싫어. 민주당경선 등록해서 떨어뜨려야지." 와 같은 식의 자발적 역선택
2. 띠리릭~ "문자왔네. 음... 민주당 경선 등록해서 안희정 찍으면 국정원에서 5만원 준다고? 용돈벌이 해볼까?" 와 같은식의 정부주도형 조직적 역선택
 
위의 설문조사는 1번의 역선택까지를 포함한 결과입니다. 뭐 2번의 경우 정부가 몇명한테 문자를 뿌릴지 모르기 때문에 조사하는게 불가능하겠죠
1번은 이미 결과에 포함되서 나왔으니 빼고 2번만 계산해보겠습니다.
뭐 간단한 방정식만 알아도 해결됩니다.
원래 정확한 식은 부등호를 써야 하는데 어차피 숫자는 같게 나오므로 그냥 방정식으로 쓰겠습니다.(부등호 방향 따지기 귀찮아서 ㅡㅡ;;)
 
자발적 역선택자까지 포함한 1차투표의 결과는 51:35:8:6입니다
여기서 안희정이 1차투표에서 바로 이기게 하려면 안희정에게 50%가 넘는 표를 만들어주면 됩니다.
전체 100중 안희정 표는 35, 여기에 추가로 유입될 역선택표를 x로 놓으면
(35+x)/(100+x)=1/2
70+2x=100+x
x=30
여기서 전체 표수는 130, 그중 역선택은 30이 되므로 그 비율은 30/130=약0.230, 즉 23%
전체의 약 23%이상이 조직적 역선택표라면 안희정은 1차에서 이깁니다.
 
최소한 문재인의 1차 끝내기를 막아보자. 이건 굉장히 쉽네요
전체 100중 문재인 표는 51, 역선택표는 x로 놓으면
51/(100+x)=1/2
x=2
전체 표수는 100+2=102, 역선택표수는 2이므로 2/102=약0.0196, 즉 전체의 1.96%가 역선택이면 2차투표까지 갑니다. 하지만 이걸로는 2차에서 안희정이 이기긴 택도없겠죠
그럼 2차투표에서 안희정이 이길 수 있는 경우는?
2차투표의 결과는 55:43:2입니다.
이건 그냥 안희정>문재인이면 되는거라 계산이 매우 간단하네요
43+x=55
x=12
그럼 전체 표수는 112, 이중 역선택표는 12, 12/112=약 0.107. 즉 10.7%
전체의 약 10.7%이상이 조직적 역선택표라면 안희정은 결선투표에서 이깁니다.
 
파파이스에서 전체 투표자 수를 약 300~400만명으로 예상하고있던데 400만명을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전체 400만중 10.7%는 42만 8천표입니다.
 
 
아까도 썼지만 이래서 아무리 이재명이 미워도 그 지지자들을 문재인한테서 돌아서게 하면 안됩니다.
맨 아랫줄에 나와있는대로 이재명 지지자의 절대다수는 2차에서 문재인을 찍습니다. 67:21의 비율인데요. 둘의 차이는 46%의 차이입니다.
만약 40만표의 정부주도 역선택이 들어와서 아슬아슬한 상황이라 치죠
그럼 정부주도 역선택이 아닌 360만표중 8%는 288000표입니다. 이중 46%를 계산하면 132480표입니다.
즉, 이재명 지지자들은 문재인에게 13만표 이상을 벌어다준단 소립니다.
 
저도 이재명 내부총질하는거 정말 싫고 까고싶은데 경선 끝날때까지는 적당히 서로 감정 안상하는 선에서 비판하고 참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경선 끝날때까지 양측 지지자들 간에 너무 골이 깊게 파이면 잘못하다 그때문에 문재인이 경선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만 이재명이 지금 잘못하는거 잊지말고 꼭 기억해 둬야겠죠.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