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안부 강제동원이 없었다는 식의 일본의 역사 왜곡에 항의해야하는 입장이면서도 일본을 통한 근대화를 이루었다고 주장하는 교학사 교과서 내용은 긍정하고싶은 정부, 여당 일부인사들의 역사관.
2.마트서 소비자 권리를 주장하며 진상 피우는 소비자, 하지만 그 역시도 어딘가의 고용인 입장이 되면 자신이랑 똑같은 행동을 하는 진상을 대해야함.
이거 시킨놈도 어딘가에서 고용 되어서 음식쓰레기 봉투 날라야 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업무를 하고 있을거임. '이래도 된다'는 문화를 일부는 사회적으로 공유함.
---------------------------------------------------------------------------------------------------------------------------------------
이건 일종의 모순임. 가령, '체계내부에서 논리적으로 양립할 수 없슴' 이라는 의미로 모순이 씌였다면 위 사안을 모순으로 보는 것은 사회 차원임. 하지만 개인 차원으로 들어가면 인간의 행동이 자기원칙이나 논리성 하에 일관되어야 함을 또 전제해야하는데 당연하지만 인간이란게 그렇게 생겨먹지 않았슴. 그렇다고 법으로 재단할 수 있는 영역은 아님.
-그럼 우리 사회의 개인은 어느 차원에서 생각을 할까? 아마도 개인 차원일거임. 자신을 사회 차원의 입장에 놓고 생각하는 사람은 극히 드물거라고 봄.
이런 문제는 각 개인이 상정하는 세계관에서부터 비롯한거라고 봄. 사회적 바탕과 문화가 이를 만듬.
나는 수많은 카드 할인제도와 포인트 제도가 사회제도와 인간관계를 '구매'(개인의 입장에서 대하는 사회적 교류)라는 관점 아래 단편적으로 재단하고 있다고 봄. 한 개인이 사회적으로 대하는 모든 것은 통칭 '서비스'가 됨. 배우는 것은 교육서비스, 진료받는 것은 의료서비스. 이는 또한 현재 모든 방면에 대해 경쟁과 규제완화라는 입장에서 접근하는 현 정부의 관점과 부합됨.
이 사안에서는 필연적으로 본질에 대한 소외가 동반됨. 예를들자면, '맛없는 식당의 딜레마'임.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의 식당은 운영 비용의 많은 부분을 임대료와 마케팅 인테리어에 씀. 음식 재료비 그 자체에 대해 비용을 사용할 수 없슴.
서울 중심가의 식당 밥은 시설 좋은 음식점이래도 맛없슴. 웃기는게, 맛이 없으면서도 맛집임. 음식에 들어가야 할 노고가 마케팅비로 소모됨. 김치는 거의 중국산 겉절이고, 쌀은 등급외거나 외국산 쌀임.
그 와중에서도 사람들은 가격으로 식당들을 비교하게 됨. 결국 단일한 척도로 보는, 경쟁이라는 구도하에서 같은 가격에 놓인 상권에서는, 낮은 가격을 위해 재료가 좋지 않는 집들로 채워짐. (하지만 '맛'과 같이 직관적으로 파악되는 영역은 이 현상이 그닥 심하지 않은 편임.)
그럼 본질적인 주제인 식당을 왜 하냐? 라는 문제에 도달함. 먹는 사람들이 맛이 없어 하는데.
소비자는 가격중심, 판매자는 마케팅 중심으로 접근하게 되면서 식당 본연의 가치인 맛은 소외되는 것.
식당 보다는 자동차수리같은,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잘 파악할 수 없는 영역 이 더 심함.
본연의 가치라면 뭐 '방망이 깎는 노인'같은 이야기인데...아마 원래 인간에게 물건, 상품이란 그런 의미를 지녔을거임.
근데 이건 남 기분 맞추려고 하는 이야기들이 아닌데.
추천 반대 공감 따위를 하라는게 아니라, 누르는 버튼으로 구성된 게시판의 프레임은 무시하고 당신의 생각을 주관식으로 보여달라는거.
생각이 있다면 말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