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19) 경험을 바탕으로 적는 한줄팁들
게시물ID : lol_53109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천상건
추천 : 5
조회수 : 1381회
댓글수 : 13개
등록시간 : 2014/08/05 18:42:37
챔피언 (각 챔피언 ※숙련도가 높지 않다는 가정하에) - 딱히 이렇다할 팁을 찾기 어려운영웅들도 있습니다. 그런경우에 쓴 방향제시형 팁들도 많이 있습니다.


가렌-시작템 마땅한게 생각이 안난다면 완두콩 두개 물약3개도 좋음. E가 치명타가 묻는다고 치명타 템 가봐야 시너지 안나니 방관을 갑니다.

갈리오-평타 데미지가 나름 괜찮으니 라인전때 QE만으로 견재하지 말고 W회복력을 생각하면서 평타견재를 해보면 좋음. 

갱플랭크-Q를 쓸때 얼건, 히드라, 스태틱등으로 한발에 여러마릴 동시에 죽이면 추가 골드가 모두 적용. 라인상대가 AP딜러일때 성배(880원)을 가면 매우 좋음.(적당히 후반까지 가지고 있다 팔면됨) 갱플의 Q는 근접취급입니다. 히드라 적용되고 루난 적용안됨.

그라가스-대회방송에 보이는게 전부. 여러가지 콤보 컨트롤능력을 올리면 좋음. 배치기->점멸은 그라가스를 잘하려면 항상 염두해두세요.

그레이브즈-팁이 필요없는 원딜. 4~5딜러 조합으로 이기고 있다면 블써->루난->탱 트리를 가봅니다.

나미-밀물썰물로 제대로 된 견재가 잘 안된다면 반드시 평타 한방이 나간걸 확인하고 써봅니다.

나서스-룬페이지가 많고 상대딜이 한쪽으로 치중 되어있다면 마젠룬을 껴봅니다.

노틸러스-다른탱커들에 비해 능력치 배분이 중요한챔프. 체력,방어,쿨감,스킬배분 등등 직설적인거 보다는 유동적인게 상대입장에서 더 까다롭습니다.

녹턴-하는사람보다는 당하는사람입장에서 공포와 궁극기에 데미지가 있다는걸 간과하기 쉽습니다. 맞다이시 주의.

누누-정글누누를 할거면 반드시 솔용을 할수 있는 스펙과 누누가 들어갈수 있는 조합에 대해 알고서 합니다. 누누는 컨트롤이 적으면서 굉장히 골머리 썩게하는 챔프.

니달리-탑에서 직선루트로 도망갈때 부쉬버프를 받는것도 좋지만 때론 아군진영으로 일직선으로 찍는게 더 좋은경우가 있습니다. 부쉬버프를 맹신하지 말자.

다리우스-가렌보다 공템을 하나 더 가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가렌을 하면 다리우스보다 방템을 하나 더 가면 OK.

다이애나-원콤을 내겠다는 일념보단 반드시 궁 2단 패시브를 띄우는데 주력.

드레이븐-도끼를 돌리고 있다면 W는 반드시 최소한 평타'2방'을 쓰고 또 쓴다고 기억하자. 난타했다간 당신은 한타후반에 마나가 없는 잉여원딜이 되기 쉽습니다.

라이즈-평타도 좋고 효율적인 스킬데미지도 좋지만 모른다면 그냥 Q->맞기 직전에 WER을 동시에 연타가 가장 좋습니다(스킬쓰는거에 집중을 안해도 되기 때문). 누킹도 좋지만 중후반을 넘어서면 누킹보다는 중요챔프에게 R걸어가서->W한방이 중요.

람머스-Q이동시 목표점보다 항상 2~4센치 뒷부분을 클릭하는걸 습관화.

럭스-[궁극기가 패시브를 터트리고 다시 묻힌다] QER 콤보가 '매우'아프게 느껴지는건 R이 패시브를 터트리기 때문. 너무 빨리 써서 궁먼저 들어가지 않게 합니다.

럼블-열관리가 힘들다면 열수치를 보고 스킬을 쓰기보단 모든 스킬 쿨타임이 2~3초 더 있다고 생각하고 써보면 적당히 관리가 됩니다. 블루버프 쿨감에 유의.

레넥톤-공템없는 탱레넥이나 방템없는 공레넥이나 둘다 쓸모없는 트롤러같은 존재가 되기 쉽습니다. 

레오나-출시 전에 레오나는 사기가 될거다라는 소리를 들었는데 이는 W탱킹능력도 되면서 Q쿨이 매우 짧아 탑AD가 될수 있을거라는 기대감이 있어서였습니다. 현재 레오나에게 AD서폿트리와 룬+마를 이용한 빠른 쿨감트리가 살짝 유행중.

렝가-레넥톤과 동일

루시안-Q를 맞추려고 의식하지 말고 Q를 쐇는데 맞으면 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쓰고있는 팁들은 숙련도가 낮다는걸 가정하에 쓰고 있습니다*
*공략이 아니고 팁입니다. 상황에 따라 응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룰루-일정 쿨감이 되면 Q를 맞춘뒤 슬로우가 끝나기 전에 픽스를 붙여 다시한번 Q견재가 가능합니다.

르블랑-블루가 있을땐 굳이 킬각만 볼려하지 말고 쿨하게 QWER 한번씩만 넣어주고 로밍가는것도 좋습니다.

리신-QWE 패시브를 이용할줄 모른다면 리신을 할줄 안다 생각하면 안됩니다.

리븐-평캔은 '반드시' 익혀둬야 합니다. 한타가 힘들어서 평캔을 못한다면 반드시 따로 연습하자.

리산드라-Q캐스팅 모션이 좋은편에 속하니 초중반이 넘어서면 평타는 없는 챔프라 생각합니다.

마스터이-'화선'이라는 유저의 심도 높은 공략을 봅니다. 대부분의 마스터이보다 두계단 높은 콤보 팁들이 있습니다.

마오카이-상대방의 점멸이나 이동기는 항상 유의해야 합니다. 당신이 아무리 잘커도 상대 타워까지 점프됐다가 팀이 끌려가서 전멸하는 경우가 매우 잦습니다. Q는 CC기, 너무 우리편진영으로만 튕길려고 하지 말자.

말자하-급박한 상황에 당신이 쓸수있는콤보는 점화와 스킬2개.

말파이트-갱플, 나서스처럼 880성배가 매우 좋음. 상대가 AD라면 빙하의 장막 하나도 매우 좋다. (후반까지 상위로 안올려도 무방)

모데카이저-흡총, 흡책은 유리할때만 갑니다. 모데 궁극은 자신이 가진 템이 실시간으로 적용된다. 내가 모데 궁극을 당해 죽어서 유령이 되면 한타동안 잠시 템을 팔았다가 되돌리기를 합시다.

모르가나-스페이스바나 탭키 기타등등으로 자신한테만 쓸수있는 스마트 블랙쉴드를 설정해두는게 좋습니다. 라일라이가 있다면 궁이 들어갈 확률이 꽤 높아집니다. 미드모르는 효율이 좋은편이 아니니 서폿모르일때 생각해봅니다.

문도-가엔이나 질리언 궁으로 죽을시 궁극을 사용하고 죽었다면 부활도중에 피가 찹니다.

미스포츈-농락이 아니라면 야몽-라위-궁극 트리는 가면 안됩니다.








쉬어가는 페이지





바루스-한타페이즈로 넘어갔을때 궁극은 상대에게 어느정도 타격을 주기 위함이지 절대 원콤을 내기위한 스킬이 아닙니다. 적당히 여러명 맞는다면 적당히 써주세요. 애쉬를 생각하면 좀더 알기 쉽습니다.

바이-생각외로 스킬을 제대로 이용하기 힘드니 스킬효과를 어떻게 내는지 알아둬야합니다.

베이가-흥하지 않으면 로밍가기 힘드니 모빌리티신발은 좋지 않은 선택입니다. 스위프트(신속?)의 장화가 아주아주 좋습니다. 아군 딜이 나오면 W보다는 E를 먼저 많이 찍는게 매우 좋습니다. Q는 미니언 먹기 수월할 정도만 찍어주는것도 좋음.

베인-당신은 탱커를 잡기위한 원딜이다. 당신은 탱커를 잡기위한 원딜이다. 당신은 탱커를 잡기위한 원딜이다. 
3번 복창하면 트롤취급 받는 베인은 피합니다.


*쓰고있는 팁들은 숙련도가 낮다는걸 가정하에 쓰고 있습니다*
*공략이 아니고 팁입니다. 상황에 따라 응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벨코즈-스타의 캐리어 같은 존재로 생각하자. 풀콤보다는 살아서 Q를 날리는게 중요.

볼리베어-후반 한타때 선Q는 많이 안좋다(한타때. 잘라먹을때가 아님). R은 너무 아끼지 말자. 

브라움-시전자보다는 리신처럼 항상 브라움이 나한테 점프를 뛰는것을 염두.

브랜드-라일라이 리안드리는 너무 유명하다. 의외로 딜보다는 탱을 신경쓰는게 강하다.

블라디-만약 W를 쓰고 빠져나가는데 컨트롤 미스로 버벅댔다면 끝물이라도 적을 웅덩이 위에 두고 도망갑니다. 상대가 근거리 챔프라면 그 미묘한 슬로우가 도움이 됨.

블리츠크랭크-탱유틸에 투자한 블크가 노멀하지만 마관AP를 조금 올려서 궁Q를 이용한 방법도 생각보다 좋습니다. 하향당하긴 했지만 상대가 AD가 많으면 얼어붙은 심장은 탁월한 선택. 케이틀린과 마찬가지로 E는 곱연산이 아닌 추뎀형 크리가 터집니다.(4배가 아닌 3배 데미지가 들어감).

빅토르-설계는 그렇게 되어있지 않지만 역시나 기본뎀이 강력해 의외의 탱토르가 좋습니다. 탱토르는 쿨감도 좀 신경써줘야 한다. 여기서 탱은 순전히 탱템만 가는것을 의미하는게 아닙니다.

뽀삐-880성배는 좋다. 룬페이지 여유가 있다면 880성배보다는 마젠룬을 좀 껴주자. 라인전할때 마나관리가 잘 안된다면 오로지 Q만으로 싸워본다.

사이온-AD사이온을 할경우 2번째 코어템으로도 탱템을 항상 must have.

샤코-스노우볼을 한순간 크게 굴리고 싶다면 신성의검을 갑니다. 6렙솔용은 항상 염두. 서포터하는 당신도 샤코가 있다면 솔용은 항상 각인해야한다.

세주아니-탱이 된다면 미묘한 마관은 센스.

소나-라인전시 Q는 반드시 평타가 나간후에 써줍니다. 실수가 훨씬 적어집니다.

소라카-궁극은 마나 대비 힐량이 좋은편입니다. 쿨감이 높다면 적당히 미리 써주는것도 좋음.

쉔-상대하는 입장이나 쉔당사자나 점멸도발 도발점멸은 항상 주의.

쉬바나-궁Q는 평타가 각각적용됩니다. 히드라를 가면 뭉친적에게 매우매우 강력합니다.
영상은 오래됬지만 아마 패치가 안됬을거라 예상..



*쓰고있는 팁들은 숙련도가 낮다는걸 가정하에 쓰고 있습니다*
*공략이 아니고 팁입니다. 상황에 따라 응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스웨인-QE는 기대치보다 딜량이 굉장히 강력합니다. 흡혈은 단순히 궁극에만 있는게 아니고 패시브에도 미니언or챔프 킬-마나흡수가 있습니다. 라인전 등에서 궁으로 들이댈때 상대 미니언의 체력관리를 해주고 들어가면 좋습니다.

스카너-트포와 마법공학리볼버가 효율이 좋은챔프입니다. 라인전이 아니라면 궁스택데미지를 주려고 노력하지 마세요. 노릴수 있다면 상대넉백스킬에 맞춰 궁을 쓰면 좋습니다.

시비르-흡수는 반드시 스킬이 내몸에 닿기 전에 써야 인정됩니다. 질리언의 폭탄은 터질때 쓰면 안막힙니다(예전엔 안막혔는데 언제 패치가 됬나보네요. 지금은 막힌답니다~ㅎㅎ feat. 문답무용님).

신 짜오-AP든 AD든 평타를 때린다와 '빠르게'때린다가 중요합니다. 공속을 조금 신경쓰세요.

신드라- 라인전이 망하고 카이팅이나 포킹에서 밀려서 Q로 견재가 안된다면 E를 마스터하세요. 

신지드-스킨버그였나 자체버그였나 기억이 안나는데 독을뿜고 시야가 안보이는 부쉬로 숨으면 상대방이 독을 못봅니다(고쳐졌을수도..). 남아있다면 탑에서 부쉬견재가 가능합니다.

쓰레쉬-E-Q를 사용하면 Q 돌리기 모션이 잘 안보입니다. 평타카이팅을 하는 원딜에게 쓰면 가끔 쓸만합니다(이 역시 패치됐을수도 있습니다).

아리-아리는 누커라기 보다는 암살자입니다. 너무 REWQ에 원콤내는거에 집중하지 마세요. 다음 쿨까지 R은 남아있습니다.

아무무-Q는 중반에 3레벨까지는 찍어주는게 좋습니다.

아칼리-상대입장에선 첫귀환에 반드시 핑와를 사주시고 정글러를 콜합니다. 아칼리 입장에선 거의 일방적으로 당합니다. 아칼리를 한다면 렌즈를 핑와에 쓰면 핑와가 고장납니다(그래도 불리합니다). 초반 스킬데미지가 워낙 강력하기 때문에 상대가 싸우기 껄끄러우면 첫귀환에 탱템을 사셔도 좋습니다.

아트록스-슬로우가 맞으면 궁으로 진입하고 Q를 아꼈다 써주세요. 

알리스타-박치기 후에 걸어가서 꿍을 찍어도 이동기가 없다면 피할수 없습니다.

애니-2스택에서도 E점멸RW를 쓴다면 스턴이 난다는걸 염두합니다. E스킬은 광역기입니다(라일라이 주문흡혈). 티버오라는 라일라이를 받지 않지만 주문흡혈은 먹힙니다.

애니비아-W를 잘 사용하면 어시스트가 생깁니다. 애니비아의 벽은 벽꿍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애쉬-원조 카이팅or평타형 챔프입니다. 평타모션, 데미지, 공속 모든면에서 약간 나쁜축에 속하기 때문에 룬마스터리를 제거하고 cs먹는 연습을 한다면 실전에서 매우 도움이 됩니다. 애쉬의 궁극 효과 최대사거리는 2800입니다.

야스오-각을 잘 재면 E로 벽을 넘을수 있습니다.

엘리스-어렵지만 용 머리돌리기가 가능합니다.

오공-적 이속이 너무 빠른게 아니라면 로밍을 위한 무조건적인 모빌리티신발은 생각보다 좋지 않습니다.

오리아나-쿨타임대비 데미지가 높기때문에 Q마스터가 꽤나 유행입니다만 W마스터도 무난합니다.

올라프-한타때 딜을 넣으려면 E를 여러번 쓰는게 아니고 Q를 여러번 써야합니다.

요릭-모데, 요릭, 타릭, 초가스는 평타가 굉장히 강력합니다. 후반이라도 너무 스킬에 치중하지 말고 딜러들한테 평타도 반드시 넣어주세요.

우디르-불사조 태세를 쓰고 마재윤을 따라갑니다. 

우르곳-쿨타임, 공격력도 좋지만 이속이 낮으면 카이팅이 안됩니다. 이속에 신경써주세요.

워윅-궁은 평타 5번을 입힙니다. 그래서 탱워윅은 평타시 발동되는 아이템과 어울립니다.

이렐리아-스턴보단 슬로우를 조심해야 합니다. 룰루를 조심하세요.

이블린-후반에 소수인원을 옆에서 물때 R과 W를 동시에 소비하지 말고 R로 늦춘뒤 적 CC가 빠지면 W로 쫓아갑니다.

이즈리얼-정수의 흐름이 자기자신한테 들어가도록 패치가 된걸로 들었습니다. 직접 실험해보진 않았지만 정수의 흐름후 비젼이동으로 공속버프를 유지할수 있다고 합니다(확실치 않습니다. 게임을 못해서 직접 실험할시간이 없었습니다 ㅠ)




*쓰고있는 팁들은 숙련도가 낮다는걸 가정하에 쓰고 있습니다*
*공략이 아니고 팁입니다. 상황에 따라 응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자르반 4세-자르반의 깃창은 자르반의 모션이 끝나야 판정이 끝나는 걸로 예상됩니다. EQ로 날아가는중에 궁을 다른방향으로 쓰면 이동루트에 있는 적이 모두 띄워집니다(굳이 점멸로 띄울필요가 없다는얘기). 

자이라-꽃은 Q E R 모두 자랐을때 효과가 다릅니다.

자크-패시브로 차는 회복은 피가 적을때 효과가 크니 그것을 잘 이용해야합니다. 이것을 이용한 초반솔용도 최근엔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크 슬라임패시브는 미니언처럼 적용됩니다. 누누Q나 강타등등이 적용됩니다.

잔나-원딜이 애쉬, 케이틀린이면 QW보다는 E가 잘 어울립니다. 3개정도 두고 이후를 판단하는것도 좋습니다.

잭스-후반에 E를 오로지 스턴용으로만 생각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원딜을 전장이탈시키는것도 좋지만 적당히 큰 잭스는 컨트롤과 딜만으로 원딜을 이길수 있으니 E로 데미지로스를 만드는것도 염두해둡니다.

제드-제드가 나오면 되도록 서폿케일이 엄청난 카운터입니다. 의외로 질리언은 카운터가 힘듭니다. 우리편에 케일이 있고 당신이 원딜이라면 아주 적극적으로 카이팅을 하셔야 합니다.

제라스-굳이 W나 E를 안맞추더라도 Q와 R만으로 싸울수 있지만 패시브 지속력을 위한 W평타를 절대 잊으면 안됩니다.

제이스-대상을 해머E로 밀치고 해머Q로 벽을 넘을수 있습니다. 보통 작골벽을 넘을때 유용합니다.

직스-궁으로 라인 정리하는게 나쁜건 아닙니다만 템이 굉장히 빨리 나오니 될수 있으면 안전할때는 다른라이너에게 미니언을 주는게 현명합니다.

질리언-모르가나처럼 자신에게 버프 단축키를 설정해 두는게 좋습니다. 궁보다는 이속에 주는게 생각보다 컨트롤을 편하게 만들어줍니다.

징크스-원딜들은 보통 이렇다 할 팁이 없습니다. 카이팅 사거리를 항상 칼같이 지켜줍니다.

초가스-롤 내에 몇없는 모션캐스팅이 있습니다. 초가스 궁극시전시에 빠르게 이동스킬을 쓰면 발동되지 않습니다. 

카르마-카르마가 잘 커도 Q후속타를 맞지 않는다면 상대하기 수월합니다.

카사딘-리치베인도 상당히 어울리는 아이템입니다. 예전에는 심심찮게 보였는데 요즘엔 쓰는사람을 못봤네요.

카서스-왕룬에 주문흡혈을 사용하면 은근히 재밌는 게임을 할수 있습니다.

카시오페아-마젠을 적절히 유지하면 Q를 무한으로 난사해도 마나가 일정이상 줄어들지 않습니다. 라인전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카직스-도약-진화로 진화 모션을 캔슬할수 있습니다.

카타리나-카서스와 마찬가지로 주문흡혈룬을 이용할수 있습니다.

케넨-닌자3인방(지금은 4명인가요?)은 같은팀에서 여러명을 선택할시 수에따라 HP가 -가 되는 디버프가 있습니다만 사실 이건 손해가 아니고 원래 이득이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케넨의 1레벨 적정 밸런스 HP수치가 500 이였다면 502로 패치를 해준다고 합니다.

케이틀린-케이틀린의 패시브는 독립으로 발동하여 크리와 적용될경우 평타X헤드샷X크리티컬이 아닌 평타X크리티컬+헤드샷이 들어갑니다. 사일런스일때는 패시브 발동X. Q는 스펠쉴드나 밴쉬를 벗겨도 데미지감소가 적용됩니다.

케일-질리언 모르가나처럼 W를 따로 단축키로 두면 좋습니다.

코그모-이론적으로 공속+탱+기본마관 트리가 가능합니다.

코르키-W장판은 생각보다 강력합니다. 

퀸-각을 재는게 생명입니다. 궁극은 사용하는건 안아껴도 되지만 다시 되돌리는건 두번 생각해보고 해야합니다.

타릭-여전히 상대가 4~5AD조합일때 뽑으면 좋습니다. 평타가 기본데미지가 높고 힐쿨을 줄여주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탈론-적이 밴쉬를 들어 짤라먹기도 껄끄럽다면 신성의검이나 요우무를 사용해봅니다.

트런들-탱커로서 어그로를 끄는것도 좋지만 스킬을 다맞아 주는건 옳지 않습니다. 당신은 트런들을 하고 있는거지 트롤을 하는게 아닙니다.

트리스타나-공속템2개는 굉장히 계륵입니다. 공속템을 2개 가고 싶다면 신발은 광전사를 빼고 사는것이 좋습니다.

트린다미어-성장공격력이 매우 어울리는 챔프입니다. W는 슬로우보다는 상대의 데미지감소가 있다는것을 기억하세요.

트페-판테온과 봇파괴로 가면 매우 강력합니다. 룬마스터리를 잘 이용해서 가면 친구와 아주 재밌게 플레이 할수 있습니다. 실수도 있지만 프로들이 블루카드를 던지는 이유는 데미지가 높아서 입니다. 스턴만이 진리는 아닙니다.

트위치-당신이 다이아급 원딜러가 아니거나 트위치장인이 아니거나 5명팀 게임이 아니라면 몰왕검은 절대로 가지 맙시다. 트위치는 암살이 가능한 원딜러지 원딜러인 암살자가 아닙니다. 

티모-시즌3말기까지는 된다고 들었는데 유틸중에 귀환마스터리를 찍으면 귀환-은신이 가능했습니다. 버섯이 리안드리 라일라이와 어울리긴 해도 하향한 뒤에는 효과가 아주 좋지는 않습니다. 그냥 순딜에 치중해주세요.

판테온-W에 방패패시브 가동을 이용하여 초반에 타워안에서 3~4방의 데미지가 흡수가 가능합니다. 스킬 순서와 평타를 차근히 사용하세요. 판테서폿이나 봇파괴를 했는데 잘 풀리지 않았다면 하트시커를 1차로 마스터합니다.

피들스틱-정글러고 1렙때 인베싸움이 난다면 리쉬를 해준다는 가정하에 까마귀를 찍어도 됩니다. 만약 그 이후에 죽거나 귀환을 했다면 작골을 노려줍니다.

피오라-W선마하세요. W발동도 못하고 평타각이 정말 안나오는 상대라면 Q를 찍으세요.

피즈-퀵실버를 사면 궁극이 맞자마자 사용시 땅에 떨어지게 만들수 있습니다. 

하이머딩거-머리돌리기로 솔용이 가능합니다.

헤카림-상대가 마뎀이 많으면 갈리오보다 나은선택일수도 있습니다.






아이템

신속의 장화 이동속도둔화효과는 생각보다 많이 좋습니다. 다른템이나 스킬엔 없는 기능입니다.

마법공학리볼버외 기타등등 주문흡혈은 '마뎀'흡혈이 아닌 '스킬'흡혈입니다. 물리데미지, 심지어는 고정데미지도 흡수 가능합니다. 도트데미지는 광역데미지로 취급.

시야석은 단순히 와드만 박는데서 그치지 않고 약간의 체력과 부담없는 사용이 장점입니다. 탑유져라도 조금 여유있다면 가는게 좋습니다.

티아멧,히드라 사용효과는 평타를 한번더 때리는게 아니고 물리데미지를 추가로 입힙니다.


포지션

탑-현메타에 맞춰 텔포를 들지 않는건 상대 모든챔피언을 스플릿으로 씹어먹을수 있는 챔피언만 텔포 이외의 스킬을 들수 있습니다.

정글-흥하면 시야석을 가주면 좋습니다. 서폿이 하는것도 좋지만 용체크 정도는 여유있는 당신도 좀 하세요. 

미드-더티도 중요하고 라인cs도 중요하고 로밍도 중요합니다. 히키코모리형이라면 미드를 하시면 안됩니다.

원딜-나는 벌처2마리로 저글링 2부대 정도는 우습지, 정도의 컨트롤에 자신감을 가지지 못한다면 원딜은 안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당신이 무슨이유에서건 카이팅 각을 못잡거나 상대가 플래쉬 한두개 만으로 당신을 물어서 죽었거나 했다면 반이상 당신책임입니다.

서폿-7렙만 되도 라인전이 끝나기 일수입니다. 평타넣을일 없으니까 용체크, 바론체크, 와드체크, 스펠체크는 좀 하세요. 






공용룬을 제외하고 취향껏
빨강에 크리룬하나
노랑과 파랑에 마젠룬 (성장 고정 둘다 효율이 좋음)
왕룬에 주문흡혈
등등 재밌고 효율적인 룬들이 심심찮게 있습니다.










기타



와드를 제한수 이상 사용하여 그전 와드가 지워지려 할시에 미니맵에 지워질 와드가 X로 표시됩니다(잘 안보임)

밑에 쓸 스킬점멸과 비슷한데 자르반의 EQ는 데미지와 에어본이 독립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정 상황에 맞춘다면 스펠쉴드, 밴쉬를 데미지로 없애고 에어본을 시키는게 가능합니다.

*시비르는 팬티를 안입고 있던적이 있습니다.

부쉬안으로 들어갈때나 꺽인 길목을 지날때 A버튼 좌클릭으로 이동을 하면 와드가 보일시 바로 공격을 하고 챔피언이 나와도 바로 공격을 합니다. 

부쉬안에 있는데 미니언이 나를 치면 거기에 와드가 있는겁니다. 그런데 미니언이 날 칠 각도가 아니고 자동공격옵션이 켜져있을때 원거리 챔피언으로 H버튼을 누르면 미니언을 공격합니다.

라인을 이쁘게 푸쉬하고 모여서 한타운영하고 싶은데 맵에 와드는 없고 도저히 방법을 못찾겠을때 미니언과 미니언이 맞붙으면 원거리 미니언만 잡고 빠지면 라인이 이쁘게 푸쉬가 됩니다. 

케일, 퀸, 엘리스, 니다리는 공격타입이 원거리-근거리가 변하는 챔피언입니다.



스킬->점멸 (챔피언 돌진형은 데미지가 점멸쓰기 전과 후 중첩이 될수 있지만 일반 파동형태는 점멸 후 위치로 인식됩니다. 스킬점멸은 고급컨트롤에 속하며 상대가 반응하기 힘들고 모션을 줄여주기때문에 이후에 빠른 스킬이나 평타가 가능합니다)

럭스 궁, 바이돌진, 세주아니돌진, 쓰레쉬EQ점멸(사슬후 점멸사형선고가 가능합니다. 패치돼서 원래는 점멸사형선고가 안되는부분), 제라스파동권, 갈리오 궁, 리신 궁(차면서 점멸을 쓰는형태인데 점멸후 차는 위치로 날라갑니다), 베인선고, 아리매혹, 아무무궁, 알리꿍, 카시궁 기타등등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각나는걸 끄적여 보았습니다. 패치가 되면서 안되는것들이 이따금 있을수 있습니다.

게임 못하는 한을 글로 풀어 보았습니다. 적고 싶은게 더 많았는데 일하면서 쪼금씩쪼금씩 쓰다보니 뭘 쓸려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안쓴거 생각나는게 또 많아지면 추가해서 올려볼께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