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생각을 하지 않은 죄
게시물ID : sisa_54274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지발돈쫌
추천 : 0
조회수 : 30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08/06 00:08:57
종교비판 글이지만, 종교의 자리에 다른 것을 넣어도 됩니다.
가령 아이히만의 자리에 이병장을 넣어도 되죠.

-------------------------------------------------

길거리에서 예천불지를 떠드는 신자들, 이젠 외국에 나가서까지 나라망신을 시키고 있다. 
이런 '덜 떨어진' 신앙인들을 안타까워 하는 이들은 교계 내부에도 있다. 
이 인사들은 조잡하고 유치한 이들을 위해 약간의 변호를 한다.

"그들은 왜곡된 교리해석에 휘둘린 일종의 희생자입니다. 
우리는 일부 성직자들의 그러한 왜곡에 대해 비판해야 합니다. 
순진하고 착한 신앙인들이 그러한 독단에 휘말리지 않도록 교회를 개혁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나는 이러한 변명에 대해, 
'원래 바이블이 사람들을 그렇게 만들게 되어 있는 것이지 사람 탓을 할 일이 아니다'라는 식의 논증을 해왔다.


하지만 이젠 제대로 사람 탓을 해야겠다. 
물론 교인들에게 독단을 심는 성직자는 당연히 척결 대상이기에 더이상 진부한 비판을 하지 않겠다. 
내가 오늘 비난을 퍼부으려는 사람들은 바로 평신도라 불리는 "열정에 고무된 신앙인"들이다.


나는 이 신앙인들에게서 나치 치하의 독일 국민을 본다. 
물론 나치의 선전과 통치술에 희생당한 사람들이기도 하지만, 
그들이 이성과 계몽의 시대에 스스로 독단으로 빠져든 것은 비난받아 마땅하다.

어디 일반 국민들만 그런가?

아우슈비츠 등 수용소를 만들고, 
전쟁말기에는 독가스로 유대인들을 살상하도록 하는 명령서에 서명을 했던 아이히만을 보자.

아르헨티나로 도주했다가 모사드에 의해 이스라엘로 압송된 그를 본 세계인들은. 
그가 "살아있는 악마"가 아닌 너무나 평범하고 나약하며 또한 성실한 사람인 것에 놀랐다. 
다른 시대, 다른 장소였다면 평범한 관료나 시골학교 교사를 하기에 딱 어울리는 스타일이었으니 말이다.

그는 자신을 이렇게 변호한다.

"나는 명령에 따랐을 뿐입니다."

유대계 미국인인자 저널의 편집장이었던 한나 아렌트는 아이히만에 대한 재판을 방청하고서 
'악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했다. 

그리고 그는 미국으로 돌아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악의 진부성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한다. 
여기에서 아렌트는 카리스마 넘치는 악마로서의 아이히만이 아닌 소시민적이고 평범한 아이히만의 모습을 그린다. 
그리고는 우리가 아이히만에 대해 물을 수 있는 죄는 무엇인가에 대해 독자들에게 묻는다. 

그가 명령을 거부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 우리가 그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최종적으로 책임을 져야 할 사람(히틀러, 괴벨스 등)이 자살하고 없어서 
우리는 아이히만에게 대신 화풀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렌트는 아이히만의 죄를 "사유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아렌트는 
인간의 가치에 대해 사유하지 않았고, 
자신의 이성에 대해 사유하지 않았고, 
타인의 고통에 대해 사유하지 않은 죄를 
아이히만에게 묻는다.



저급한 신앙인들을 아이히만과 동일선상에 놓는 논지에 대해 비약이 심하다고 느낄지 모르겠다. 
하지만, 독일이나 일본 모두 국민들이 우민화되었을 때만 가능한 전체주의 체제와 현대 한국 기독교회를 볼 때, 
난 국가적 권력의 유무 이외에는 도저히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한다. 
사실 한국교회는 많은 부분에서 국가권력에 간섭하고 있는 바 더이상 차이점이 없다고 여겨질 지경이다.

"난 가르침에 충실했을 뿐이야"
"아무도 내게 그것이 독단이라는 점을 알려주지 않았어"

세월이 흐른 뒤에 열정에 고무된 신앙인들이 극단적 행동으로 사고를 쳐놓고 나서, 
쇄도하는 비난에 대해 저런 변명을 할 자격이 있을까? 
자신이 그러한 도그마에 의해 피를 흘리게 되어도 후회하지 않을 사람들일까?



좀 심하다는 말을 들으면서도 내가 늘상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 있다.

"생각하지 않을 바엔 차라리 나가 죽어라."

해악을 조장하는 죄, 해악을 알고도 모른체하는 죄와 마찬가지로 생각을 하지 않아 모르고 죄를 저지르는 것은 
-나중에 동정심을 받을지 말지의 차이는 있겠지만- 그 죄의 결과로 인한 폐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양식있는 자라면 당연히 가져야 할 '권위에 대한 의문'과 '정당성을 판단'해야 할 의무를 저버린 자는 
그러한 폐해에 대해 각자가 책임을 져야 한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