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국사 한자어 풀이 (상용어편)
게시물ID : history_1758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llForU
추천 : 10
조회수 : 1963회
댓글수 : 65개
등록시간 : 2014/08/06 04:30:40
가야 (金加耶, 쇠 금, 관리 관, 가야는 그냥 음차(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의미 관계없이 쓴 것), 금(쇠)을 관리하는 관리라는 뜻)
묘지석 (墓誌石 무덤 묘,기록할 지, 돌 석 ,묘地석이 아니다! 묻힌 사람의 인적사항과 약간의 과장된 찬양이 들어간 기록물 금석문에 속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무령왕의 것이 最 오래된 것이다.)
분 (墳 옛 고, 봉분(무덤) 분, 오래된 봉분(무덤), 높은(高) 묘를 뜻하는 게 아님.)
세습제 (襲制,세대 세, 엄습할(인습할) 습, 제도 제 ,그 사람에 속하는 신분, 재산, 작위, 업무 등을 대대로 물려받는 제도)
전제화 (專制化, 오로지 전,제도 제,될 화, 오로지 한 사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현상)
율령 (律令, 법 률, 명령 령,  고대 국가의 법률. ‘율’은 형벌 법규이고, ‘령’은 행정 법규를 말한다.
        백제는 고이왕(3세기) 고구려는 소수림왕(4세기) 신라는 법흥왕(6세기)에 율령을 반포하였다.)
관등 (官等, 벼슬 관 ,등급 급, 벼슬의 등급)
관복 (冠服, 갓 관, 옷 복, 갓과 의복을 아울러 이르는 말       
       (官服, 벼슬 관, 옷 복, 관리의 제복) 공복 (公服, 공공 공, 옷 복, 공무원의 복장)
순장 (殉葬, 따라죽을 순, 장례 장, 높은 위치의 사람이 죽으면 하인이나 아내등을 같이 묻는 장례방식)
우경 (牛耕, 소 우 밭갈 경, 소를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것 깊이 갈이(深耕,심경)이 가능해져 농사의 발전을 가져옴.
        신라에는 지증왕 3년(502)에 처음으로 우경을 시작한다는 기록이 있지만 전부터 행햐여 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천도 (遷都, 옮길 천, 도읍 도, 수도를 옮기는 것, 이유에는 수도 함락과 토착 세력 견제등이 있다.)
형사취수제 (兄死娶嫂制, 형 형, 죽을 사, 장가들 취, 형수 수, 제도 제, 형이 죽으면 형수랑 결혼하는 것, 영국에는 엔 불린과의 염문이 있는 헨리 8세가 했지만.... 엔 불린은 엘리자베스의 어머니, 솔직히 말해서 형이 가족 재산 거의 다 가져가는데 형이 후사없이 죽으면 재산이 다 남이 된 형수한테 가니까 이루어진 제도.)
빈공과 (賓貢科, 손님 빈, 바칠 공, 과거제도,  당나라에서 외국사람에게 보게한 과거제도, 최치원이 합격한 바가 있고 신라와 발해사이에서 빈공과 순위로 라이벌의식이 있었음.)
이이제이(以夷制夷, 로써 이, 오랑캐 이, 제어할 제, 오랑캐 이, 오랑캐로 오랑캐랑 겨루게 함, 잘못해서 한쪽 오랑캐가 상대를 흡수해서 커져버리면 털리는 벼랑위 기술)
국호 (國號 나라 국, 부를 호, 신라는 망라사방(網羅四方, 사방(온 방향)을 모두 포함,덕업일신(德業日新, 덕이 날마다 새로워짐)에서 신과 라를 따왔다고 하지만 유교의 영향으로 지어진 이야기라는 말이 있다. 백제는 온조와 비류가 각각 세운 十濟(열 십, 바다 건널 제)가 온조 휘하에 통일되면서 百濟(일백 백,제)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대첩 ( 클 대, 이길 첩, 전투에서 크게 이김)
연호 (年號 년 년, 부를 호, 왕이 즉위한 년부터 세는 연도 표기법으로 황제만이 할 수 있다하여 밖으로는 왕이지만 국가 내에서 황제를 표방한 나라나 황제가 있는 중국에서 사용했다.)
추대 (推戴 밀 추, 일(머리에 이다.) 대, 이 사람을 왕에 추천!하는 것)
선양 (禪讓, 선(양도할) 선, 사양할 양, 양위()와 같은 뜻, 유교에서 요가 순에게 황제위 위를 양도한 것을 보고 유교국에서는 찬탈이나 세습보다 좋은 최고의 왕위 전달 방식으로 보았다, 하지만 현실에는 그런거 없다. 우리는 사극 정도전에서 공양왕 반 협박해서 뺏은 왕위를 이성계가 예의상 세번 사절하는 것을 보았다.)
수취 (收取 거둘 수, 가질 취, 농업생산물이나 시장에서의 차익의 얼마를 거두어 가는 것 그냥 세금이나 가져가는 방식을 뜻함)
토착 (土着 흙 토, 붙을 착, 그 땅에 오래 살던 사람이나 사는 사람, 그 땅의 유세가를 건들면 잘못하면 왕도 쫓겨나간다. 토착세력을 견제하려 천도하는 경우도 있다.)
수탈 (收奪, 거둘 수, 빼앗을 탈, 국민을 지키기 위한 세금이 오히려 국민을 힘들게 하면 그것이 수탈. 전시에는 어쩔수 없는 딜레마.)
조공 (朝貢, 아침(나라) 조, 바칠 공, 아침 조지만 아침이 아니다! 조정이라는 말이 있듯이 조는 나라를 뜻하기도 한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에게 공물을 보내고 국가 간의 상하를 조절하는 것 소국에게는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초적 (草賊, 풀 초, 도둑 적, 수탈에 지친 가정이 파탄난 백성이 찾는 삶의 구렁텅이 국가에서는 회유보다는 전투를 선호하는 듯하다.)
봉기 (蜂起, 벌 봉, 일어날 기, 수탈에 지친 농민이 벌집을 건들인 벌처럼 일어나는 것 마찬가지로 관군에 죽는 게 다반사.)
사족으로 훈련되지 않은 농민병은 사기가 일어났을 때에만 효과가 있고 한 번의 패전같은 사기가 땅을 치는 일이 생기면 그냥 고기방패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허수아비 신세.
목축 (牧畜, 칠 목, 가축 축, 가축을 치는 일)
수렵 (, 사냥할 수, 사냥 렵, 그냥 사냥)
농경 (農耕, 농사 농, 밭갈 경, 농사)
유목 (遊牧, 놀 유, 칠 목, 이리저리 다니며 가축을 치는 것)
군역 (軍役 군대 군, 부릴 역, 군대 가는 것, 근대 이전에는 16세에서 60세의 건장한 남성을 차출했다.)
부역 (役, 부세(세금을 매겨서 부과하는 일) 부, 부릴 역, 성을 쌓는 일이나 나라의 토목공사에서 일해야 되는 의무. 힘듦)
토호 (土豪, 흙 토, 호걸 호, 지방의 유세있는 가문)
호족 (豪族, 호걸 호, 겨래 족, 지방에 힘있는 가문)
문벌가문 (門閥家門,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집안의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지체. 집안이 좋은 가문)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