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신라인의 기하학에 대해서도 경탄할 뿐이다…(석굴암)
게시물ID : history_1769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시골풍경
추천 : 2
조회수 : 2196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08/14 12:30:43

21일까지 세계수학자대회가 열리고 있는데 한국에 오신 수학자들에게 수학적인 유적지로 첨성대를 다녀왔다기에 또 하나의 조상님

들의 수학적 기하학적 지혜에 감탄하게할 유적지 석굴암이 생각나 회보를 올려봅니다

01.jpg


석굴암

 

- 세계 정상의 한국 문화유산 (1) -

 

저희단체에서 외국인들을 상대로 한

한국 문화 행사 때마다 소개하고 있는

석굴암, 감은사지 사리함, 고려대장경, 고려불화 등은

이집트, 그리스, 로마, 중국 문명을 포함하여

전 세계 어디서도 그와 견줄만한 대상을 찾아 볼 수 없는

심오하고 고귀한 문화유산입니다.

이달에는 이들 문화유산 중 석굴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국보 24호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석굴암은

과학과 예술과 종교가 한 작품 안에서

완벽하고 이상적인 화음을 이루고 있는

미증유의 걸작이다.

 

원래 석굴사원은 불교의 고향인 인도 지방에서

더위를 피할 수 있는 선선한 굴을 찾아

그 속에 탑을 세우고 예배를 드리는 '차이티아'에서 유래했다.

그것이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까지 전해진 것이다.

 

그런데 인도 및 중앙아시아와 중국의 경우는 지질이 부드러워

자연 암벽에 굴을 뚫고 불상을 조성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지만,

단단한 화강암이 대부분인 우리나라에서는 그것이 도저히 불가능했다.

 

그래서 신라인들은 석굴암을 만들기 위해

360개가 넘는 대형 화강암 돌들을 조립하여

돔형 천장의 원형 주실과 네모난 전실,

그리고 이 두 방을 잇는 복도를 갖춘 인공 석굴을 만드는

미증유의 건축 기법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02.jpg

이러한 독창적인 방법으로 완성된 석굴암은

여타 지역의 자연석굴과 달리

세계에서 유일한 인공 석굴이며

단순한 조각물의 배열이 아닌

정밀한 짜임식 건축물이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조각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료 중에서

암석 재료로는 대리석과 화강암이 대표적이다.

대리석은 입자가 치밀하고 부드러워 비교적 조각하기가 쉽다.

장미의 꽃잎이나 흘러내리는 옷의 주름도

실제와 같이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화강암은 입자가 굵고 딱딱하여

조각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섬세한 표현보다는

간결하고 추상적인 표현에 적합한 재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석굴암의 모든 조각들은

매우 정교하고 사실적이어서,

각각의 상들이 자유로운 자세를 취하며

벽에서 걸어 나오고 있는 듯하다.

원숙한 조각 기법으로

완벽한 모습으로 형상화된 본존불을 비롯하여

석굴암의 모든 조각들은 세계 최고의 걸작으로 꼽힌다.


03.jpg

독일 학자 안드레 에카르트는

본존불 뒤편에 위치한 십일면관음상을 두고

“백 개 이상의 다른 상과도 맞바꿀 수 없는 훌륭한 상이다”

라고 찬탄했다.

 

불교의 핵심사상인 연기의 법칙을

석굴암에서는 기하학적인 비례로 구상하였다.

석굴암의 원형 주실은 하늘 또는 진리의 세계를,

방형 전실은 땅 또는 세속의 세계를 상징하는데,

이 둘은 하나의 큰 원 안에 들어가는 구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이른바 진리와 세속이 하나의 세계로 통합되는

불교의 우주관과 사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석굴암_구조3.jpg


석굴암의 구조

 

주실의 직경 24 당척(7.2m)을 기준으로

석굴암의 모든 공간의 크기와 높이가 결정되었는데,

24 당척(7.2m)의 배수인 48 당척(14.4m)은

전실과 주실의 총 길이가 되고,

그 절반인 12당척(3.6m)은

본존불의 대좌 직경 및, 비도의 폭과 일치한다.

 

그 결과 석굴암의 평면도를 놓고 보면

전체 구조가 12 당척, 24 당척,

그리고 48당척을 직경으로 하는 원들이

서로 내접하거나 외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남천우 박사(전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는

“석굴의 구조란 깊이 조사하면 조사할수록

실로 무서우리만치 숫자상의 조화로 충만되어 있다”

고 감탄을 표하며,

신라시대의 놀라운 과학기술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석굴은 경이적인 정확도로써 기하학적으로 건립되었다.

이 정확도는 1천 분의 1, 아니 1만 분의 1에 달한다.

1만 분의 1이란

10m에 대하여 1mm의 오차를 말한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석굴의 각 석재가

얼마나 정확한 위치에 놓여 있었다는 뜻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거대한 화강암의 암석을 갖고

마치 밀가루 반죽이라도 다루듯

자유자재로 다듬어 놓았던

신라인들의 솜씨도 놀랍거니와

그러한 솜씨를 뒷받침 하여준

신라인의 기하학에 대해서도 경탄할 뿐이다…

신라인들은 원주율 파이(π)의 값을

3.141592 보다도 훨씬 더 높은 정확도로 알고 있었을 것은 물론이고,

아마도 정 12면체에 대한 정현의 법칙,

다시 말하면 싸인 9도(sin 9°)에 대한 정확한 답을 구할 수 있는

기하학을 최소한도의 것으로 갖고 있었다.

 

즉 석굴암은

부처님의 생애 중 가장 중요한 성도의 순간을,

그리고 그 때 깨달았던 연기의 법칙을

조각적 건축으로 구상화한

위대한 유산이라 할 수 있다.

비록 중국과 인도에

석굴암보다 더 큰 석굴들과

더 큰 불상 조각들이 무수히 많지만,

이처럼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고 치밀하게 계획되어

흠 하나 없이 만들어진

아름답고 숭고한 불교 유산은

세계 어디서도 찾아 볼 수 없다.

04.jpg

사진 출처 http://navercast.naver.com/geographic/heritage/2234


제가 건설에 참여했던 고층 빌딩의 수직 오차는 15mm였습니다.

한국이 만든 버즈 두바이는 그것 보다 10배나 높은데

수직 오차는 25mm 밖에 되지 않는다니 놀랍습니다.

 

석굴함은 버즈 두바이 보다 더 정교하고 대단합니다.

버즈 두바이는 궁극적으로는 위로 똑바로만 세우면 되지만,

석굴암은 돔형 천장과 다양한 입체적인 돌을 사용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놀라운 건축은

외계인이 지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게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가능했겠습니까?

물의 성질을 이용하여

매우 정확하게 기하학적인 측정을 할 수 있는데,

그런 방법을 썼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한국이란 나라에 대해 전혀 몰랐는데

영상을 보고 나서 한국인들에게 고대부터

정교하고 정밀한 건축을 짓는 유전자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세계 최고층 마천루인 버즈 두바이, 타이페이 무역센터,

말레이시아 쌍둥이 빌딩(페트로나스 타워)까지 모두 한국이 지었는지 몰랐습니다. 

정말 놀랍습니다.

 

 -영국  WATG 건축회사 (호텔 건설로는 세계 1위이며, 도쿄 롯데 월드와 하와이 컨벤션 센터 등을 지은 건축회사)건축사-

 

저는 석굴암의 건축 기법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정확한 수학 계산능력이 대단합니다.

그것도 수십 세기 전에 말입니다.

                                                          


- 30대 영국 남성

 

 

대단히 복잡하고 정교한 건축물임에도 불구하고

그 공간의 아주 간결하고 차분한 분위기에 감명 받았습니다.

돌들을 맞물리게 쌓아올리고 부처님 앞에 섰을 때

광배가 바로 부처님 머리 뒤로 보이게 한 점 등에서

석굴암은 극도로 정교한 건축물입니다.

그러면서도 굉장히 맑고 고요한 기운이 감돕니다.


석굴암의 기하학적 배치 또한 환상적입니다.

대좌의 원을 기본 단위로 하여 수평, 수직적으로 적용시킨 것이 특히 인상적입니다.

우주와 그 안의 질서를 표현하기 위해 이러한 양식이 티베트의 불화 등에서와 같이

 2차원적(평면적)으로 적용된 것은 본 적이 있지만

이렇게 3차원적(공간적)으로 적용된 것은,

제가 지금까지 학예사로 살아오면서 처음 보는 것입니다.

 

- 영국 배쓰의 극동아시아 미술관의 학예연구원 마이클 리(Michel Lee)씨-

 

   
석굴암의 건축 기술에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저는 건설기술자로서 언젠가 영국에 있는 15년 밖에 안 된 
5600세대 아파트를 해체수리 했던 적이 있는데, 
그 아파트를 지을 당시 유럽에서 
실제로 아주 약한 철강을 사용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때 그 아파트에 석굴암 벽면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 
작은 납 연결체 같은 것만 사용했더라도 
아파트 수명이 훨씬 오래 갔을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 70대 영국 기술자 -

 

석굴암은 믿기지 않을 정도로 대단했습니다.

위대한 수학적, 기하학적 위업입니다.

정말로 겸허해집니다.

 

-레이첼 보우츠 (30대 티핀남자학교(Tiffin Boys School)여교사)

 

 

그 옛날 시대에 만들어진 석굴암의 수학적 정말함은 대단하고

어떻게 원주율 7자리까지 알고 있었는지 정말로 신비합니다. 


- 조시 로이드 (Tiffin Boys School학생)

 

 

석굴암은 돌들을 하나하나 조각하고 하나하나 짜 맞추며

디자인부터 세부사항까지 모든 것이 완벽합니다.

화강암으로 그렇게까지 세부사항을 묘사하기가 매우 어려웠을 텐데

그것을 하나하나 조립했다니 대단합니다.

참고로  그렇게 어렵기에 중국은 대부분 나무를 썼습니다

제가 오늘 본 유물들에 견줄 수 있는 것은

중국, 일본을 포함해서 세계 어디에도 없습니다.

한국 사람들은 똑같은 것을 하더라도

다른 나라 보다 더 섬세하며,

훨씬 더 아름답게 한 것 같습니다.

기술력이 뛰어난 예술가들입니다. 


-젠 유 페이 (20대 중국 남성)

 

출처  금강경독송회 2010년 4월회보

         http://cafe.daum.net/diamondyouth/1fQ/599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