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병도의 단군신화 인식
게시물ID : history_864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SowHat
추천 : 8
조회수 : 1034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3/04/30 12:38:49



일반적으로 이병도는 단군과 단군조선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이를 말살 시키려 했고, 86년 10월 9일 조선일보에 실린 글은 그것을 회개하고, 반성했다고 하고 있다. 물론 이는 아주 식은 떡밥으로 이미 여러 블로그나 카페에서 반박된 적이 있지만, 이병도가 단군신화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그가 단군신화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지 그의 저서인 한국고대사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병도의 한국고대사연구 중 p.27 단군설화의 해석과 아사달문제 중 부제인 제 1절 단군설화의 해석 중

"비단 서북행렬사회의 역사에서 뿐 아니라, 우리 국사 첫머리에 봉착되는 중요한 문제가 단군에 관한 문제라 하겠다. 단군에 관한 고기록이 너무도 단편적인 데다가 설화적 요소를 많이 내포하고, 또 그것이 비교적 후세의 서에 수록된 까닭에 혹은 황탄시, 혹은 후인의 날조라 하여 이를 말살.부인하려는 무리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경솔하고 무모하고 또 비과학적 태도인 것은 더 말할 것도 없다. 단군에 관한 기록 중에는 거기에 약간 후인의 윤색이 가해진 곳도 있지만, 대체로 볼 때 이를 후인의 조작으로 단정할 아무런 이유를 발견할 수 없고, 도리어 음미 검토할수록 이것이 고인의 오랜 설화를 전해주는 귀중한 고전임을 인식하지 아니할 수 없다. 특히 설화학적.민속학적 방법에 의하여 이를 연구한다면 자못 흥미있고 중요한 시사와 발견이 수반될 것이다."

이처럼 이병도는 단군신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을 비판하고, 그것을 후대의 조작으로 단정할 근거도 없으며, 오히려 음미 검토할수록 귀중한 고전이라 하였다. 그리고 그는 단군신화를 학계에서 대차게 까이는 언어학적으로 고증하여 그 사회상을 밝혀내고 있다.

이병도는 먼저 백악과 관련해서 언어학적으로 고증하는데, 백악(白岳)은 백산(白山)·박산(朴山)과 한가지라고 하면서



    의 빌린음인 동시에, 광명한 산, 양명한 산, 다시 말하자면 환한 산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아사달(阿斯達)도 조선(朝鮮)과의 관계에 있어서 그는 과거 고대 국가들의 국호는 중심적인 부락명이나 도시명에서 기원한다면서 이에서 연관성을 찾으려 하였다. 즉 조선과 아사달은 같은 의미로서 조선은 한자어고, 아사달은 이를 아역한 것이라 하였다. 그래서 그는 아사는 현재어로「아침」 그보다 좀 오랜 말의 , 또 이보다 더 오랜 말로 생각되는 방언의 「아직·「아적」등 고형으로 보고, 다시 이를 일본어와 티벳·버마어에 연관시켜 일본어의「아사」(朝 아침 조) ·「아스」(翌 다음날 익) ·「아스다」(翌)와, 티벳·버마어계의 아상(Asang=朝) 등을 연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면서 이들은 바로 아사달의 아사와 꼭 같은 말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백악과 아사는 서로 상통하는 말이며, 조선 아사 백악을 통칭하여 해가 뜨는 곳이라고 해석하였고, 이를 우리의 전통양식과도 연관지었다.

이처럼 이병도는 단군신화를 언어적으로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 사회의 실체를 밝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재야사학자들이 말하는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병도는 마지막에 단군시대에는 아사달사회라 하다가 전국시대에 들어서면서 한문화의 영향으로 조선이라는 국호로 정착된 것이 아니냐고 추측하였다. 이를 한씨조선이라고 했으며, 이 다음 장에서는 기자조선과 관련한 설화에 대해서 부정하고 이와 같은 명칭을 사용하였다. 물론 이병도의 이러한 해석은 옳지 않고,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다만 이병도가 활동하던 시기가 일제시대 ~ 대한민국 건국 초임을 고려하면 이를 연구사적으로는 높이 평가할 수 있지 않을 까 한다.








(고고학을 배우고 있는 사람의 블로그에서 가져 온 글입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