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중국 전국시대 때 위나라 서문표 일화(실화)
게시물ID : panic_8699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gerrard
추천 : 17
조회수 : 6761회
댓글수 : 23개
등록시간 : 2016/03/30 13:48:34
옵션
  • 펌글
그 때 업도(鄴都)1)에 수장(守將)이 비어 마땅한 사람을 찾고 있었다. 적황이 말했다. 

" 업도는 상당(上黨)2).과 한단(邯鄲) 사이에 끼어 있어 한나라와 조나라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땅입니다. 이곳에는 필히 강단있고 정사에 밝은 사람을 보내 지키게 해야 할 것입니다. 서문표(西門豹)가 아니면 안 될 것입니다. " 

문후가 즉시 서문표를 불러 업도의 수장(守將)으로 임명하였다. 서문표가 업성에 당도하였으나 성안의 거리가 한산하며 왕래하는 백성들이 많지 않았다. 서문표(西門豹)는 성안의 부로(父老)들을 불러 무엇 때문에 고통을 당하고 있는지를 물었다. 불려온 노인들이 하나같이 말했다. 

" 하백(河伯)이 부인을 취하는 바람에 우리가 이렇게 고통을 당하고 있습니다. " 

서문표가 듣고 말했다. 

" 참으로 괴이한 일이로다! 하백(河伯)이 무슨 방법으로 부인을 맞이해 간단 말인가? 
 노인장들은 나에게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 

부로 중에 한 사람이 나서서 말했다. 

" 장수(?水)는 첨령(沾嶺)에서 발원하여 사성(沙城)에 이르러 동쪽으로 그 방향을 바꾸어 업도를 지나면서 장하로 이름이 바뀝니다. 하백(河伯)은 맑은 물이 흐르는 장수의 수신(水神)입니다. 하백(河伯)이 예쁜 여자를 좋아하여 매년마다 여인을 한 명씩 골라 부인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만약에 여인을 가려 하백에게 보내주면 해마다 풍년이 들어 곡식의 낟알을 잘 여물게 할 수 있도록 비를 골고루 적당히 오게 합니다. 그렇지 않고 여인을 부인으로 보내지 않으면 하백께서 노하여 파도가 일어 인가를 덮쳐 잠기게 합니다. " 

서문표 " 이 일은 누가 먼저 시작하자고 했는가? " 

부로가 계속 대답했다. 

" 이 읍의 무당이 하는 말에 따른 것이라 옛날부터 풍속이 물을 두려워하고 있어 누가 감히 무당의 말을 듣지 않겠습니까? 매년마다 동네의 호족들과 관청의 하급 관리들이 무당과 같이 모의하여 백성들에게서 수백 만 전의 부세를 걷어 그 중 이삼 십 만 전은 하백의 부인을 찾는 비용으로 쓰고 나머지는 자기들끼리 나누어 갖고 있습니다. " 

서문표가 물었다. 

" 백성들이 그렇게 착취를 당하고 있으면서 어찌 한 마디의 불평도 하지 않는단 말입니까? "
 
노인들이 말했다. 

" 무당은 하백에게 축원을 드리는 일을 주관하고 삼로(三老)와 아전(衙前)들은 비용을 거두기 위해 분주하게 돌아 다녀 수고로움이 적지 않으니 비용으로 나누어 쓴다 해도 그것은 즐거운 마음으로 감당할 수 있는 일입니다. 우리를 더욱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은 초봄에 들에 종자를 뿌리는 시기에 무당이 사방의 민가를 찾아다니며 하백의 부인을 구한다고 하면서 제법 미색을 갖추고 있는 처녀를 발견하면 즉시 ' 이 처녀는 마땅히 하백의 부인으로 보낼만 하다. ' 라고 말합니다. 그 처녀의 부모가 자기 딸을 하백(河伯)의 부인으로 보내지 않으려면 많은 재물과 비단을 무당에게 바쳐 면하면 무당은 다시 다른 처녀를 별도로 찾습니다. 다시 하백의 부인으로 지명된 처녀의 집이 가난하여 재물과 비단을 주지 못해 면하지 못한 백성들은 할 수 없이 자기의 딸을 무당에게 줄 수밖에 없습니다. 무당은 강물 위에다 지은 재궁(齋宮)의 침소에 주위에 장막을 친 다음 그 안에 이부자리를 새롭게 장만하고 그 처녀를 목욕시키고 옷을 갈아 입힌 다음에 재궁의 안에서 묵게 합니다. 점을 쳐 길일을 잡은 다음에 갈대로 엮어 만든 배에 처녀를 태우고 강물 위에 띄어 보냅니다. 처녀를 태운 배는 강물에 떠내려가 몇 십리를 흐르다가 이어 가라앉고 맙니다. 백성들은 이러한 비용으로 인하여 고통이 적지 않고 또한 딸을 사랑하는 자들은 자기의 딸이 하백의 부인으로 점지되는 것을 두려워하여 딸을 데리고 멀리 달아나 버렸습니다. 그래서 성안이 텅텅 비우게 된 것입니다. "
 
서문표가 다시 물었다. 

" 그동안 하백이 노하여 홍수의 피해를 입은 적이 있었는가? " 

노인들이 말했다. 

" 매년마다 하백에게 부인으로 처녀를 바쳐오고 있는 덕분에 아직까지 하백의 노여움을 사지 않아 홍수의 피해가 없었습니다만, 그것은 단지 여기 업(鄴) 땅은 지세가 높고 멀리 떨어져 있는 지방이라 강물이 덮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매년마다 한해(旱害)를 만나 가뭄으로 곡식이 말라죽은 재해를 당하고 있습니다. " 

서문표 " 하백이 진정 있다면 처녀가 시집을 갈 때 내가 마땅히 참석하여 전송하고 백성들을 위해 축원하리라! " 

이어서 처녀를 하백에게 바치는 날이 되자 그 노인네들이 와서 서문표를 찾아와 알렸다. 서문표가 의관을 정제하고 의식(儀式)이 행해지는 강가로 나갔다. 고을의 모든 관속(官屬), 삼로(三老), 호족(豪族), 이장(里長), 그리고 마을의 부로(父老) 등이 이미 참석하여 서문표를 기다리고 있었다. 백성들은 이곳 저곳에 모여 자리를 잡았는데 그 의식을 구경하려고 나오는 사람은 수 천명이 넘었다. 삼로의 이장 등이 대무(大巫)를 데리고 와서 서문표에게 인사를 시키는데 대무의 행동거지가 매우 거만하였다. 서문표가 대무를 살펴보니 바로 늙은 노파였다. 소무(小巫)로 여자 제자를 20여인을 거느리고 있었는데 모두가 옷차림을 정결하게 차려 입고 있었다. 소무(小巫)들은 수건이나 빗, 그리고 향로 같은 것들을 손에 들고 대무의 뒤서 서서 수행하였다. 서문표가 대무를 향해 말했다. 

" 대무께서 번거롭겠지만 하백의 부인이 될 처녀를 불러와 주시오. 내가 한 번 보리라! " 

대무가 제자들을 향해 고개를 돌려 하백의 부인으로 뽑힌 처녀를 불러오라고 시켰다. 서문표가 대령시킨 처녀를 보니 아름다운 옷에 허리에는 하얀 허리띠를 두르고 있었는데 얼굴은 그런대로 중간 정도는 되었다. 서문표는 대무와 삼로 그리고 의식에 참석한 여러 사람들을 향해 큰 소리로 외쳤다. 

" 하백(河伯)은 고귀한 신(神)이라 부인으로 바친 처녀는 반드시 그 자색이 고와야만 비로소 우리의 성의를 고맙다고 할 것이다. 이 처녀의 자색은 그다지 아름답지 못하니 대무는 번거롭겠지만 나를 위해 하백에게 가서 태수의 말이라고 하면서 ' 아름다운 처녀를 구해 다시 날짜를 정해 바치겠습니다.' 라고 전하라! " 

서문표가 즉시 수행 군졸들을 시켜 늙은 대무를 들어 강물에 던져버리게 하자 좌우에 있던 사람들이 대경실색(大驚失色)하였다. 서문표가 시치미를 떼고 정중한 자세로 서 있다가 시간이 얼마쯤 지나자 다시 큰 소리로 말했다. 

" 늙은 노파라서 우리의 급한 사정을 전혀 개의치 않는구나! 강물 속의 하백을 만나러 가서 오래 시간이 지났음에도 아직 돌아와 하백의 뜻을 전달하지 않으니 너희 제자들이 가서 나를 위해 너의 대무를 재촉하여 빨리 오라고 전하라! " 

다시 군졸들을 시켜 제자 한 사람을 끌고 가서 강물에 던지게 했다. 서문표가 다시 엄중한 자세로 서서 기다리다가 시간이 다시 얼마쯤 지나자 입을 열어 말했다. 

" 제자가 물 속으로 들어간지 오래되었는데 그 역시 빨리 돌아와 보고를 하지 않는구나! " 

군졸들을 시켜 제자 한 사람을 끌고 가서 강물에 빠뜨렸다. 다시 얼마간의 시간이 흐르자 그들이 늦게 온다고 성화를 부리며 군졸들로 하여금 다시 제자 중 한 명을 안아다 강물 속으로 던지게 했다. 모두 대무의 제자 세 명을 던져 물 속에 가라앉게 하고는 다시 여러 사람들 향해 외쳤다. 

" 하백에게 간 사람들은 모두가 여인네들이라서 나의 말을 분명하게 전하지 못하는 것 같다. 아무래도 하백에게 가서 나의 말을 정중하게 전하기 위해서는 삼로(三老)가 수고를 좀 해 주어야 하겠오! 삼로는 하백에게 가서 나의 말을 분명하게 전해주기 바라오. " 

삼로가 사양하려고 하자 서문표가 큰소리로 외쳐 꾸짖었다. 


" 무슨 잔말이 그리 많으냐? 빨리 가서 하백에게 나의 뜻을 전하고 빨리 돌아와 그의 뜻을 받아 오라! " 


군졸들이 달려가 한 쪽에서는 밀고 다른 쪽에서는 끌고 해서 삼로가 미처 변명도 하기 전에 물 속으로 던져버리게 하자 삼로는 강물의 파도 속으로 휩쓸려 사라져 버렸다. 곁에서 구경하던 사람들은 모두 속으로 혀를 깨물며 괴로워하였다. 서문표가 관에 비녀를 꽂고 땅에 엎드려 강을 향해 절을 하며 공경의 뜻을 표하면서 삼로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다시 대략 한 시진을 그런 상태로 있었다. 서문표가 땅에서 일어나며 말했다. 

" 삼로가 나이가 많아 그들 역시 하백이 있는 곳까지 가지 못한 것 같다. 할 수 없이 나이가 젊은 아전(衙前)이나 마을의 호족들이 가서 나의 말을 전해야 되겠다. " 

아전(衙前)과 호족들이 서문표의 말을 듣고 얼굴이 흙빛으로 변하고 흐르는 땀으로 등을 적시더니 일제히 머리를 땅에 부딪치며 목숨을 살려 달라고 애원하였다. 머리를 땅에 부딪쳐 나온 피로 얼굴이 피범벅이 된 아전(衙前)과 호족들은 땅에 엎드린 채로 결코 일어나려고 하지 않았다. 서문표가 그들을 향해 말했다. 

" 그렇다면 내가 잠시 더 기다려보기로 하겠다. " 

하백에게 제사를 드리기 위해 모인 사람들은 모두가 전전긍긍(戰戰兢兢)하였다. 시간이 한 시진쯤 경과하자 서문표가 다시 입을 열어 말했다. 

" 하수의 물은 도도히 흐르건만 한 번 떠난 사람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으니 하백은 도대체 어디 있단 말인가? 함부로 민간의 여자를 죽게 만들었으니 너희들의 죄는 죽어 마땅하다 하겠다! 아전(衙前)들과 호장(豪長)들이 다시 머리를 땅에 부딪치며 자기들이 지은 죄의 용서를 빌었다. " 

" 원래 이것은 모두 죽은 대무가 사기를 친 것이지 우리들이 지은 죄가 아닙니다. " 

서문표 " 대무는 이미 죽었으니 이후에 다시 하백이 부인을 맞이한다고 말하는 자가 있다면 즉시 그 사람으로 하여금 중매를 서게 하여 하백에게 보내 고하게 할 것이다. " 

그리고 나서 아전(衙前), 호장(豪長) 및 삼로(三老)의 재산들을 몰수하여 그들에게 착취당한 백성들에게 다시 돌려 주도록 했다. 다시 마을의 부로(父老)들을 시켜 백성들 중 나이가 찼으나 장가를 들지 못한 사람들을 소무들에게 장가를 들게 하고 무속(巫俗)의 뿌리를 완전히 뽑아버리게 하였다. 잘못된 무속으로 인하여 고향을 등지고 도망친 백성들이 그 소문을 듣고 다시 돌아오기 시작했다.


1) 업도(鄴都) / 지금의 하남성 안양시(安陽市) 북쪽의 고을로 전국 때 위나라와 조나라와의 접경지역이다. 
2) 상당(上黨) / 전국 때 한나라 영토로써 지금의 산서성 화순(和順)과 유사(兪社) 및 심하(沁河) 이동 일대의 땅을 통틀어 상당이라 했다.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한 뒤에 이곳에 상당군을 두었다.


경극_서문표_일화.PNG


출처 루리웹 a48 님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community/327/list?bbsId=G005&pageIndex=1&itemId=145
출처
보완
2016-04-01 02:47:22
0
사기 골계열전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