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완벽의 유래
게시물ID : history_1795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AllForU
추천 : 4
조회수 : 1922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4/09/03 07:31:49
완전함을 뜻하는 완벽은 完璧이라고 쓰며 완전할 완, 옥이름 벽입니다. 벽의 완전한 이름은 화씨지벽[和氏之璧]인데 화씨벽이라고도하고 그 내용은 한비의 한비자 화씨편에 나오고 그 내용은 이렇습니다.

초나라 사람 변화(卞和)가 초나라 산중(초산楚山 혹은 형산荊山)에서 옥(玉)의 원석을 구해 초여왕(厲王)에게 바쳤다. 그런데 옥을 다듬는 장인으로부터 쓸모없는 돌 판정을 받았고, 분노한 여왕은 변화에게 월형(刖刑,발뒤꿈치를 자르는 형벌)을 내렸다. 여왕이 죽고 무왕(武王)이 즉위하자 화씨는 다시 한번 돌을 바쳤는데, 이번에도 쓸모없는 돌이라는 판정을 받고 또 월형을 내렸다.  이 후 무왕이 죽고 문왕(文王)이 즉위하자 재차 돌을 바치려고 했지만근성 양발 뒤꿈치가 잘려 걸을 수 없게 된 변화는 돌을 안고 사흘 밤낮을 울다가 마침내 눈에서 피눈물이 흐르기에 이르렀다. 이 이야기를 들은 문왕은 변화를 불러 '천하에 월형을 당한 사람이 한둘이 아닌데 왜 그리 슬퍼하느냐'라고 물었다. 그러나 변화는 '발을 잘려서 우는 게 아니다. 보옥이 돌이 되고, 정직한 사람이 거짓말쟁이 취급받는 것이 슬퍼서 운다.'라고 고했다. 문왕이 장인에게 돌을 다듬으라 명했더니 과연 눈부신 옥이 모습을 드러냈다. 변화의 정성에 감동한 문왕은 그에게 대부에 준하는 봉록을 내려 여생을 편히 살 수 있도록 해줬다.  참고로 초여왕과 초문왕 시기의 사이는 약 100년이다. 
즉, 화씨지벽이 등장한 시기는 초문왕때로 보는 게 맞으나 저 위의 이야기는 믿으면 골룸. 다만 한비자의 저자 한비가 스스로를 화씨지벽으로 비유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리고 화씨벽때문에 완벽이라는 용어가 생기게 되는 때는 이후 조나라때로 혜문왕(惠文王)이 화씨지벽을 손에 넣었는데, 이 소문을 들은 진나라 소양왕(昭襄王)이 15개의 성과 바꾸자면서 엄포를 놓았다. 혜문왕은 이 위기를 넘길 인재를 찾았고 이에 인상여가 나서게 된다. 인상여는 진나라로 떠나기 전에 말하길, '신이 옥을 보존하여 돌아오겠나이다'(臣請完璧歸趙) 라고 장담하였고 실제로 옥을 보존해 왔다. 그리하여 현대에도 쓰이는 '완벽' 이라는 단어가 2300 년전의 바로 이 고사에서 유래했다.

그리고 나중에 이 화씨벽은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의 옥새가 되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집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