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현디차 공익제보자 시사저널 인터뷰내용
게시물ID : car_8809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댓글다는고양
추천 : 10
조회수 : 705회
댓글수 : 17개
등록시간 : 2016/09/30 14:34:51
옵션
  • 펌글
 [인터뷰] “리콜은폐 고발, 현대차 위한 결정” http://www.sisabiz.com/biz/article/158388 

 지난 23일 현대차 현직 직원이 언론을 통해 공개한 문건이 현대·기아차를 발칵 뒤집어 놨다. 
문건에는 현대·기아차가 결함차량을 리콜(제작결함 시정)하지 않고 은폐했다는 정황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정황을 뒷받침하는 분석 결과도 빼곡했다. 
현대·기아차 치부를 들춰낸 이는 25년차 ‘현대맨’ 김진수 부장(54·가명)이다.  

김씨는 지난해 2월부터 9월까지 7개월 간 현대차 품질전략팀에서 근무했다. 
김씨가 맡은 업무는 파워트레인 리콜. 현대·기아차 안전 일선에서 일하며 김씨가 느낀 건 ‘괴리감’ 그리고 ‘실망감’이었다. 

품질경영을 최우선으로 내세우던 회사는 안전 불감증에 걸려있었다. 
리콜 대상 차량을 애써 외면하고 은폐하라는 지시가 계속됐다. 
김씨는 양심의 가책을 버텨내지 못했다. 
 “일부 차량에서 안전과 직결된 결함들이 발견됐지만 회사는 임의방식대로 처리했다. 
불법이 관행이었다. 품질본부는 비용문제와 오너에게 보고해야 한다는 압박감 탓에 소비자를 최우선해야 한다는 현대차 핵심가치를 지키지 않았다. 
고민한 끝에 ‘나 아니면 대기업을 상대로 싸울 직원이 없다’고 판단하고 제보를 결심했다.” 
 김씨는 국토교통부 교통안전공단을 찾아가 현대·기아차 실상을 알렸다. 
그러나 “대규모 조사를 실시하기엔 조직 인원수와 장비가 부족하다”는 답변을 들어야 했다. 
고민 끝에 김씨는 미국으로 향했다. 
일각에선 김씨가 큰 보상을 노리고 미국 정부에 공익제보한 것 아니냐는 추측을 내놨지만, 김씨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공평성’ 그리고 ‘친소비자 정책’ 이 두 가지가 김씨의 미국행 배경이 됐다.  
“포상금이 1순위는 아니다. 공익제보하는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건 신뢰다. 
자동차사와 제보자 사이에서 공정하게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내놓을 수 있는 기관. 
그런 면에서 한국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보다는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더 믿을 수 있는 기관이라 생각했다.”  
김씨가 공익제보 한 지 일주일 여가 흘렀다. 그 동안 김씨의 몸과 마음도 지쳤지만, 공익제보에 대한 확신은 더 커졌다. “꼭 이겨내라”는 가족의 응원도 힘이 됐다. 
김씨는 사사로운 이익 탓에 제보한 것이 아니라고 누차 강조했다. 

엔지니어로서 양심을 걸고 제기한 문제를 현대·기아차가 인정하고, 10년 뒤 더 안전한 차를 만드는 기업으로 거듭나는 게 김씨 바람이다. 
29일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한 카페에서 김씨를 만났다. 

 - 25년 다닌 회사다. 공익제보한 계기는. 
지난해 2월부터 7개월 간 품질전략팀에서 일했다. 파워트레인 리콜 업무를 담당했는데, 리콜성 안전결함을 임의방식대로 처리하는 게 관행이더라. 
안전에 중대한 문제를 일으키는 결함은 정부와 고객에게 알려야 한다는 자동차관리법을 지키지 않았다.

 - 품질본부가 리콜에 소극적이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비용문제도 있지만 현대차는 리콜 관련된 모든 사항을 회장에게 보고한다. 
품질본부는 차량 양산과 리콜 모두를 최종 결정한다. 결국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오너에게 실토한다는 게 부담스러운 구조다. 
시스템적으로 문제가 있다. 이렇다보니 (리콜 은폐문제) 되풀이됐고, 도저히 이런 부서에서 일을 못하겠더라. 

 - 부서를 옮기는 과정에서 감사팀으로부터 ‘비밀을 발설하지 말라’는 각서를 받았다고 들었다. (관련기사 : 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581299" target="_self">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581299" target="_blank">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5812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581299) 사실관계를 바로잡겠다. 보안 서약서에 서명할 것을 요구받긴 했지만, 감사팀이 아닌 전략팀이다. 
품질문제를 발설할 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겠다는 내용이었다. 
부서 이동 뒤 총 2번에 걸쳐 전략팀 직원이 찾아와 서약을 요구했다. 
그 때 우리 조직이 뭔가 숨기는 게 있다고 확신했다. (이 질문에서 김씨는 박병일 명장의 감사팀 관련 발언은 사실이 아니며 박 명장과 연락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 여러 의혹을 제기했다. 가장 심각한 결함은 무엇이라 생각하나. 
YF쏘나타 세타2 엔진의 콘로드 베어링 소착으로 인한 엔진소음 및 엔진손상 결함이다. 
미국에서 리콜했으면 같은 엔진, 같은 부품을 쓰고 있는 한국산 엔진도 리콜해야 한다. 
도로에서 달리던 차 엔진이 손상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 국토교통부 아닌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찾아간 이유는 무엇이냐. 
지난해 8월 20일 국토부 산하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을 찾아갔다. 
결함조사팀과 현대·기아차 품질결함 사실을 놓고 이야기를 나눴는데 조직 인원수와 장비가 부족해 사실상 조사가 어렵다고 털어놓더라. 
한국에서 해봤자 소용없다 생각했다. 

 - 일각에선 미국 정부 보상액이 더 큰 탓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공익제보자로서 보상문제를 배제할 수 없다. 제보 뒤 포상금을 받는 건 문제가 아니다. 
다만 돈이 공익제보 1순위가 돼서는 안 된다. NHTSA는 찾아간 이유는 공정하게 판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라 믿었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는 판단에 있어 기업을 배려하는 측면이 강하다. 

 - 대기업과 맞서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공익제보 후회한 적 없나. 
미국에서 공익제보자는 휘슬블로어(whistle-blower)라 한다. 
안 좋은 일을 미리 경고하는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제보 전 조직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려 수차례 노력했지만 실패했고, 결국 내부고발을 결심하게 된 것이다. 
제보 후 회사에서 압박이 들어왔지만 후회는 없다.
출처 http://www.sisabiz.com/biz/article/158388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