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조선임금의 묘호 - 혼돈의 카오스
게시물ID : history_881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Einsiedler
추천 : 13
조회수 : 888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5/06 01:19:05

예전에 몇 번 초안잡다가 개인적으로 바쁜 사정이 겹쳐서(예를 들어 귀차니즘이라거나 귀차니즘이라거나 귀차니즘이라거나...) 그냥 냅뒀는데 아래 글이 하나 보여서 대충 정리해봅니다.

일단 본격적으로 이야기를 하기 전에 시호와 묘호를 먼저 구분해야 되는데요. 시호는 임금, 신하 모두 받을 수 있는 존호입니다. 특징은 살아서 엄청난 공적을 세워 받을 수도 있고, 죽은 이후에 그 공적을 평가하여 받을 수도 있습니다.
반면 묘호는 오로지 죽은 임금에게만 바치는 존호입니다. 임금이 죽은 이후에 치적에 대해 평가를 한다음 시법에 따라 묘호를 지어서 올리는 원칙이 있습니다. 물론 최종 결정권은 다음 왕위를 계승한 인물이 쥐고 있기 때문에 마음에 안들면 반려하고 다시 지어서 올리라고 명령할 수 있었습니다. 어쨌든 이런 특성으로 인해 임금이 죽은 후에 묘호를 올리지 않으면 묘호가 없는 임금이 됩니다. 특수한 케이스이긴 한데 보통은 폐위된 임금은 묘호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묘호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헷갈려 하는 부분이 조(祖)와 종(宗)입니다. 이는 조선왕조에서 조를 남발했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방계면 조, 직계만 종이다란 낭설이 돈 적도 있죠.
실제로 조는 창업군주와 혹은 제2의 개국이라 평가받을 정도로 국가기틀을 갈아엎고 다시 세운 군주에게만 올리는 묘호이고, 종은 덕이 있는 군주에게 올리는 묘호였습니다. 원래는 말 그대로 킹왕짱 군주나 성군 소리 듣던 군주들이나 받을 수 있는게 묘호였습니다. 다만 나중에 가서 그냥 별 탈없이 임금질하다가 갔으면 ○종 형태로 묘호를 올리는 관습이 생겼기에 후대 군주들은 그래도 묘호를 하나씩 가지게 됐죠. 그럼에도 조는 남발하지 않았습니다.

실제 예를 들어 보면...
한나라의 경우에도 창업군주 태조 고황제와 후한을 다시 일으켜세운 세조 광무제만이 조를 씁니다.
원나라의 경우에도 창업군주 칭기스 칸이 태조이고, 나중에 중원의 원나라 기틀을 다시잡은 쿠빌라이 칸만이 세조 묘호를 씁니다.
명나라의 경우에도 창업군주 주원장만이 태조 묘호를 받았습니다. 후대에 가정제 시절에 가서 영락제의 묘호를 태종에서 성조로 고친 것이 유일한 사례입니다. 실제 영락제는 건문제를 몰아내고 남경에 있던 명 조정을 북경으로 옮기고 아예 갈아엎는 수준의 개혁을 했으니 가능한 일입니다.

우리나라로 넘어와서 고려의 경우에는 창업군주 태조 왕건을 빼면 ○조 형태의 묘호를 받은 임금은 없습니다.
반면에 조선의 경우에는 무수한 ○조 임금이 존재합니다. 한 마디로 이놈의 조선은 몇 번이나 나라 망했는지 모를 지경입니다. 사실 그 정도는 아니고 대부분 후손 잘 둔 덕분에 조를 받은 임금들이 많습니다.


1. 세조 임금은 원래 묘호가 신종이었습니다. 하지만 예종 임금이 "우리 아버지가 뭐 못났다고 신종임!"이라 발끈하면서 신하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나중에 억지로 추승한 것이 바로 세조입니다. 그리고 여기서부터 조선의 묘호 시스템이 원칙따위 엿바꿔먹고 막나가기 시작합니다.

2. 선조 임금의 원래 묘호는 선종이었습니다. 하지만 광해군이 "우리 아버지 때 종계변무 성사 이벤트 있었던거 아시죠?"라 이야기하면서 신하들의 반대따위 잘근잘근 씹어먹고 선조로 추승해버렸습니다. 사실 여기에는 광해군이 서자란 배경으로 인해서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러 붙인 면모도 있습니다.

3. 인조임금의 경우에는 원래 열조란 묘호를 받게 되어 있었습니다. 시법에서 열의 경우에는 촉한의 유비가 받은 소열황제를 제외하면 사실 그렇게 메이저한 수준의 묘호는 아닙니다. 당연히 아들 효종은 빨끈하면서 "우리 아버지가 뭐 못했다고 열조임!"이라 난리를 쳤고, 결국 굉장히 좋은 글자인 인자를 붙여버려서 인조가 됐습니다.

4. 순조 임금의 경우에는 원래 순종이었습니다. 하지만 철종 임금이 즉위한 이후 순종 임금을 순조로 고칩니다. 이는 철종 임금이 입적되면서 발생한 정통성 문제를 세우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5. 영조와 정조 임금도 원래 영종과 정종이었습니다. 하지만 고종 임금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자신이 입적한 계통을 기준으로 4대 윗분까지 묘호를 다 종에서 조로 뜯어고쳤습니다. 한 마디로 황제의 선조인데 종이면 간지가 안난다는 이유입니다.


이런 이유로 조선왕실은 조가 남발하는 괴이한 묘호 시스템이 탄생하게 됩니다. 사실 태조 임금 때부터 억지추증이라 까였던게 조선의 묘호입니다. 왜냐하면 태조 임금은 자신의 5대조 선조를 모두 ○조 형태로 추증했거든요. 물론 실제 이 분들은 묘호를 쓰지 않았기에 논란이 심하지는 않았는데 세조부터 시작되어서 억지라는 이야기가 계속 터져나오게 됩니다.

물론 좋게 평가받는 묘호 추증도 있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정통성 문제로 묘호를 받지 못하고 공정왕이란 시호만 있던 조선 2대왕 정종 임금의 사례나 폐위 되고 폐서인 조치가 내려져 노산군이란 군호만 가지고 있던 단종 임금의 사례도 있죠.

사실 이런 엇나간 존호 추증의 문제는 군약신강의 조선 시스템에서 이유를 찾는 사례도 있습니다. 저 아래에 적장자 계승을 까는 내용이 있었는데 실제 적장자 계승은 동아시아에서 왕의 권위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였습니다. 실제로 조선에서 적장자가 성공적으로 왕위를 계승한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이로 인해 조선의 임금들은 대부분 정통성이 부족한 왕위 계승을 하게 됐고, 이로 인해 왕의 권위는 상대적으로 약화일로를 걷게 됩니다.
세종의 경우에는 워낙 태종이 공신들을 잘근잘근 밟아놨기 때문에 왕권을 발휘하여 국정을 이끄는데 문제가 없었고, 세조는 스스로 반정을 주도한 인물이었기에 신하들 상대로 그럭저럭 권위를 세울 수 있었습니다. 이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임금들은 강력한 왕권을 쥐었다기 보다는 좀 애매한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결국 왕의 입장에서는 이런 모자란 권위를 벌충하기 위해서 묘호나 그 외에 부분들을 건드리면서 어떻게든 권위를 세우기 위해 안간힘을 쓴 안습한 단면이 남아있다는 점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