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oecd 국가중에 근무시간 가장 길다고 염병해싸더만...결국 이거냐
게시물ID : sisa_55424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윤장봉골드
추천 : 1
조회수 : 60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10/02 21:18:30

'근로시간 단축' 후퇴 논란…휴일·연장근무시 수당 '삭감'

[the300](상보)주당 최장 근로시간, 사실상 60시간까지 허용

머니투데이 이미호 기자 |입력 : 2014.10.02 18:23
폰트크게 폰트작게 이메일 프린트 PDF
image이미지 크게보기
1
휴일에 연장근로를 하는 근무자에게 가산 임금(추가 근무 수당)을 통상임금의 200%에서 150%로 축소·지급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추진된다.

개정안에는 현행 주당 법정 근로시간 52시간(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에 추가 연장근로 8시간을 더해, 최장 근로시간을 60시간까지 허용하는 방안도 담겼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여당 간사인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은 2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지난달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중소기업청과의 당정협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했다는 점에서 정부안이나 마찬가지다.

◇휴일·연장근로 중복시, 근로자 수당 대폭 '삭감'

현행 근로기준법 56조에는 '연장근로와 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에 대해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 지급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이번 개정안에서는 '휴일근로'를 삭제하고 '연장근로와 야간근로에 대해'라고만 명시했다.

휴일에 연장근로를 하는 근무자는 '중복할증'을 통해 통상임금의 200%를 지급받을 수 있다. 하지만 개정안에서는 이러한 '중복할증'의 지급 근거조항을 없애 통상임금의 150%만 지급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통상임금이 1만원인 근로자가 휴일에 연장근무를 할 경우 2만원을 받던 것을 개정안이 통과되면 1만5000원만 받게 되는 셈이다.

따라서 개정안이 통과되면 산업계의 추가 임금 부담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중복할증에 따른 기업 부담액은 최소 7조5909억원에 이른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 부담분은 5조339억원(66.3%)에 달한다.

권 의원실 관계자는 "(중복할증을 적용하면) 당장은 근로자 임금이 오르니 좋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중소기업 자체의 경영난을 가속화하게 될 것"이라며 개정 취지를 설명했다.

◇최장 근로시간, 주 60시간까지 허용…사실상 '후퇴' 법안

이번 개정안은 지난 4월 노사정소위 당시 '뜨거운 감자'였던 추가 연장근로(8시간)도 전면 허용했다.

개정안은 근로자 대표와 서면합의를 요건으로 연장근로 한도를 주 20시간까지 허용하도록 돼 있다. 현행 주당 법정근로시간 52시간의 연장근로 허용 범위가 40시간(5일×8시간)에 더해 12시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8시간을 추가로 인정하겠다는 뜻이라 '후퇴 논란'이 예상된다.

당시 새누리당은 추가 연장근로에 대해 일정기간(6개월간) 적용, 노동계는 도입 반대, 재계는 연중 내내 적용할 것을 요구했지만 끝끝내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활동을 종료한 바 있다.

환노위 관계자는 "노사정소위때는 8시간을 '알파' 개념으로 보고 (52시간에) 추가할지 말지 여부를 논의했다면 이번 개정안은 아예 8시간 추가를 못 박아 버린 셈"이라며 "사실상 주당 법정근로시간이 52시간이 아니라 60시간이 돼 버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밖에도 개정안은 근로시간 단축 시기를 사업장 규모에 따라 2021년까지 단계적으로 줄이는 방안도 담고 있다. 상시 근로자가 1000명 이상이면 2016년부터, 300~999명은 2017년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100~299명은 2018년부터, 50~99명은 2019년부터, 30~49명은 2010년부터, 1~29명은 2021년부터 실시하는 것으로 세분화했다.

또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 기간도 1년으로 연장했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재계 입장만 반영한 '후퇴 법안'"이라며 강하게 반대하는 입장이라 실제 법안 논의에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이인영 환노위 야당 간사는 "연장근로 범위를 12시간에서 20시간으로 늘렸다"면서 "근로시간 단축의 취지 자체를 흐리는 법안"이라고 비판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