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기사번역] 중국연구진, 노화의 원인을 밝혀내다?
게시물ID : science_4243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DBJ
추천 : 2
조회수 : 773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4/10/28 02:59:17

어색한 번역체이고 단어선택이 탁훨하지 않지만, 너그러이 봐주시고 부족한 부분은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사/논문은 제 기준으로 흥미롭다 생각되는 기사를 그때 그때 선택해 번역하는 것으로 원하시는 기사/논문이 있으시면 추천도 받습니다. 


많이 부족한 글입니다만, 펌해갈시에는 댓글로 퍼간다 한마디와 출처(오유)와 번역인(DBJ)를 명시해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직까지 베일에 싸여있는 노화의 원인, 과학자들 단언하다.

몇달전 중국의 과학자들이 연구지 네이쳐저널에 개제된 한 보고서가 과학계에 작은 반향를 일으켰다. 연구팀이 생물이 노화하는 이유를 찾아내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독일, Bonn대학교를 중심으로한 전세계 과학자팀은 이 이 연구의 기본 가설부터 반박하고 나섰다. 노화의 이유는 여전히 불명확하게 남게 되었다.

중국의 연구 보고서는 전세계의 전문가들사이에 동요를 야기시켰다. 어린 선충에 간단한 측정을 사용해 연구원들은 선충의 수명을 예측할수 있다고 보고를 하였다.

연구팀은 선충의 미토콘드리아에 cpYFP 형광성 프로브를 주입하였다. 미토콘드리아는 대부분의 살아있는 생물체에서 볼수있는 기관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많은 생물학자드른 미토콘드리아가 생물적 시계로서 중요한 역활을 하며, 노화를 진행시킨다고 여기고 있다. 이러한 의견은 에너지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활성산소가 원인이라 볼수있다. 활성산소는 반응성에 매우 높은 분자로서 새포내 분자에 반응하여 손상을 일으킨다. 손상된 세포는 세포사하기까지 세포의 기능은 약화되게 된다.

이 가설은 새로운것이 아니고 처음 제안된것은 40년전이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미토콘드리아의 활동과 활성산소의 생성 그리고 노화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보여줄수 없었다. cpYFP를 활성산소 측정기로써 사용함으로써 엔지선(En-Zhi Shen)과 그의 동료들이 중요한 연결고리를 찾은것처럼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린 선충에 더많은 형광성 프로브가 나타났을시(즉, 더 많은 활성산소가 발생한것으로 보임) 선충은 더 짧은 수명을 가졌었다.

국제적인 과학자팀은 이 연구의 기본 전제를 부정하고 나섰다. 연구팀에 따르면 cpYFP는 애초에 활성산소를 측정할수 없으며, 대신 미토콘드리아 내부가 산성화될때의 산도변화가 프로브의 반응을 보인다고 하였다.

"제시된 선충자료에 따르면 우리는 활성산소의 발생 정도가 수명을 결정한다고 결론낼수 없다." 연구그룹의 대표이자 본 연구서의 대표연구가 박사 마커스 스와즈랜더(Markus Schwarzländer)가 말했다. "cpYFP는 노화에 관한 문제를 이야기하기에 적합하지않다." 박사는 물론 프로브신호의 발생빈도와 선충의 수명의 상관관계는 흥미롭다며 말을 덧붙였다. "이제 우리는 이 연구의 진짜 의미를 이해하기위해 시도해야한다."

이 새 연구는 저널네이처에 곧 볼수있으며, 9개 국가에서 모인 28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Bonn대학교와 독일 하이델버그 암연구 센터그리고 영국 캠브릿지 의료연구위원회의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번역: DBJ

출처: University of Bonn. "Cause of aging remains elusive, researchers assert." ScienceDaily. www.sciencedaily.com/releases/2014/10/141022084327.htm (accessed October 24, 2014).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