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제발 !! OECD랑 비교하지말아주세요 (R&D자금)
게시물ID : sisa_56095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Kibou
추천 : 1
조회수 : 127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11/13 14:34:23

OECD "한국, 국가R&D 집약도 세계 1위…기업 부문도 1위"

정홍원 국무총리가 7일 전북 혁신도시 농총진흥청을 방문해 10층 전망대에서 농생명 연구개발특구 지정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날 정 총리의 현장 방문에는 송하진 전북지사와 김승수 전주시장, 박성일 완주군수,이양호 농촌진흥청장등이 함께했다.2014.8.7/뉴스1 2014.08.07/뉴스1 © News1 김대웅 기자

'2014 과학기술산업전망' 발표…한국 국내총생산 대비 R&D 투자율 4.36%

(서울=뉴스1) 주성호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에서 우리나라가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R&D) 투자에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럽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공공 R&D 및 기업 R&D 투자는 위축세를 보였다.

12일(현지시간) OECD가 발표한 '2014 과학기술산업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12년 기준 R&D 집약도가 4.36%로 1위를 기록했다. R&D 집약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 R&D 투자 비율이다. 기업의 전체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을 나타내는 기업 R&D 집약도에서도 우리나라는 3.4%로 1위를 차지했다.

OECD는 한국의 R&D 혁신체제 및 정책에 대해 "높은 투자비율뿐 아니라 고등교육에 대한 투자와 발전된 ICT 인프라, 공공연구기관을 중심으로한 활발한 특허 출원 등에서 긍정적 성과가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연구개발특구 조성사업과 중소기업 및 창업 지원을 위한 직간접적인 펀딩 제도에 대해서도 역동적으로 혁신활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OECD는 해외 공동연구 및 공동 특허 출원 비율과 외부 R&D 자금 유입 등 국제교류 측면에서는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그 이유로는 공공 연구기관의 실용연구 및 기술개발 중심 활동과 대기업 위주의 R&D 지출을 언급했다. 이어 과학기술 혁신성과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국제화'가 선결돼야 한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 세계 경제위기 이후 OECD 가입국, 특히 유럽의 기업 R&D는 크게 위축됐으며 공공 R&D의 투자 성장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OECD 국가들의 총 R&D 투자의 연도별 증가율은 평균 1.6%로 경제위기 전인 2002년~2008년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기업 R&D 투자의 2008년~2012년 연도별 증가율도 평균 1.1%로 2002년~2008년 4.2%에서 급락했다.

지난 10년간 전 세계 R&D 투자의 글로벌 지형도 변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부터 10년간 전 세계 R&D 투자에서 미국과 일본, EU 등 선진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한 반면 중국과 브라질, 인도, 러시아 등의 신흥국의 비중은 꾸준히 늘었다.

2012년 기준 R&D 투자 규모 상위 10개국은 미국(32%), 중국(약 19%), 일본(11%) 순으로 나타났지만 중국이 현 추세대로 R&D 투자를 증가시킬 경우 2019년쯤에는 세계 최대 R&D 투자국이 될 것으로 OECD는 전망했다.

sho218@

---------------------------------------------------------
 
하지만 실제론
 
연구실에 갇힌 국가 R&D

2만3000건 잠자는 '무늬만 특허 강국'…기술무역수지 OECD 꼴찌

(1) 겉도는 기술사업화

정부 R&D 과제 성공 여부, 논문 등 양적 지표로만 평가
시장 모르는 관료가 예산 배분…"과제 선정때 기업 참여시켜야"
#1. 정부 출연연구원의 A연구원은 최근 3차원(D) 프린터 소재 분야 연구 과제를 따냈다. 일명 뜨는 과제를 맡아 기분이 좋을 법하지만 뒷맛은 씁쓸했다. 그동안 탄소나노튜브 연구로 상당한 성과를 냈고 사업화에도 도전해보고 싶었다. 하지만 연구비를 지원받지 못해 최근 유행하는 분야로 연구 주제를 바꿔야 했기 때문이다.

#2. 서울 한 대학의 조교수인 B씨. 그가 연구하는 분야는 이차전지 소재다. 박사후과정 때 썼던 논문을 개량한 연구여서 시작단계인데도 어떤 결과물을 낼지 머릿속에 그릴 수 있다. 연구에 실패하면 다른 정부 과제를 따기 어렵다 보니 성공할 수 있는 주제를 택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기사 이미지 보기
크게보기

정부의 지원을 받아 연구개발(R&D)을 진행하는 현장의 모습이다. 사업화 성과가 날 만한 연구에 예산이 흘러가지 못하고 의미 있는 도전을 찾아보기 어려워진 게 문제다. 당연히 결과물도 신통치 않다.

○미국 절반도 안되는 생산성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25개 출연연구원이 작년 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고 받은 수입은 843억원이다. 같은 기간 투입된 연구비는 2조1465억원. 투입 대비 성과를 보여주는 연구생산성은 3.9%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뒷걸음질쳤다. 2012년에는 908억원을 벌어 4.5%의 생산성을 보였다.

2012년 기준 대학 등을 포함한 한국 전체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생산성은 1.49%로 더 낮아진다. 3.9%인 미국의 3분의 1 수준이다. 경상기술료 격차는 더 크다. 경상기술료는 기술이전 후 사업화됐을 때 매출액 기준으로 받는 돈이다. 한국의 경상기술료는 미국 10분의 1에 불과하다.

○기술무역적자 OECD 최대

한 출연연 중소기업지원팀 소속의 C연구원. 한 달에도 몇 차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마련한 기술이전 설명회에 참가하고 있지만 계약을 성사시키지 못해 고민이다. 그는 “사업화 단계를 100%라고 볼 때 연구원의 특허와 기술 상당수는 솔직히 50~60%까지만 개발된 상태”라며 “가져가도 상당한 추가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리스크를 떠안으려는 기업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작년부터 창조경제를 강조하면서 정부가 R&D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게 기술사업화다. 연구성과를 기술이전, 창업 등을 통해 사업으로 연결하라는 주문이다. 25개 출연연 공동으로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1379콜센터)를 설립하고 출연연마다 중기 지원, 기술사업화 전담조직도 신설했다. 하지만 소규모 계약만 이뤄질 뿐 굵직한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25개 출연연이 2013년 기준 전체 보유한 특허는 무려 3만4888건에 달한다. 이 가운데 활용된 특허는 1만1706건. 활용률이 33.5%에 불과하다. 5년이 지나 무용지물이 된 휴면 특허도 2011년 4533건에서 작년 5622건으로 24% 증가했다. R&D 과제의 성패 여부를 논문, 특허 등 양적 지표로만 평가하면서 초래된 결과다.

2012년 한국은 기술무역수지에서 57억4000만달러의 적자를 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2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큰 적자 규모다. 산업에 필요한 핵심, 원천 기술이 부족하다 보니 기업들이 해외에서 기술을 수입해오기 때문이다.

○정권 따라 연구주제 바뀌어

정부가 바뀔 때마다 R&D 주요 테마가 바뀌는 것도 문제다. 지난 정부 때는 ‘녹색’, 이번 정부에서는 ‘창조경제’ 등이 주요 지원 대상이다. 3D프린터, 그래핀, 나노, 유전체분석, 빅데이터 등 뜨는 연구주제에는 20여개 부처가 모두 경쟁적으로 예산을 지원한다. 한 출연연의 책임연구원은 “유행에 따라 연구 지원 대상이 자주 바뀌다 보니 연구 현장에선 10년 이상 한우물을 판 고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했다.

박희재 산업통상자원부 R&D전략기획단장은 “시장을 잘 모르는 공무원과 연구자들이 정부 R&D 사업의 기획과 집행을 주도하면서 기업에 쓸모없는 연구결과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며 “정부 과제를 선정할 때 기업 참여를 늘리고 기업 수탁연구, 산·학 연구 실적 등을 연계하는 등 시스템 전반을 고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태훈 기자 [email protected]
 
입력: 2014-11-09 21:02:12 / 수정: 2014-11-10 03:37:47
연구실에 갇힌 국가 R&D

R&D예산에 배불러 기업 공동연구는 뒷전

출연硏, 기업 공동연구 10%도 안돼
기사 이미지 보기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세계 1위다. 총 투자 규모에서도 세계 6위다. 투자가 늘어나면서 기초과학을 중심으로 성과도 나오고 있다. 네이처, 사이언스 등 국제 저명 과학저널에 실리는 논문이 1주일에도 몇 편씩 쏟아진다. 국제저널에 논문이 실렸다는 것만으로는 이제 뉴스조차 되지 못한다.

예산이 풍족해지면서 나타난 부작용도 있다. 정부 출연연구기관, 대학 등이 기업과 공동 연구하는 사업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정부 R&D 결과물 상당수가 시장과 동떨어진 기술이라는 지적을 받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올해 정부 출연연의 총 예산은 4조2900억원이다. 이 가운데 기업 등 민간수탁과제 비율은 7%에 불과하다. 대학도 마찬가지다. R&D 예산의 90% 이상이 정부로부터 나온다. 한때 40%에 달하던 기업이 돈을 내는 R&D 비중이 10%도 안 된다.

기업과 함께 연구하면 중간보고, 성과 관리 등 까다로운 요구가 많을 수밖에 없다. 과제를 따기도 쉽고 연구하기도 편한 정부 과제만 하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풍부한 R&D 자금이 역설적으로 연구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R&D 성과물의 상당수는 요소 기술이다. 사업화로 연결하려면 다른 기술과 결합해 시제품을 제작하고 테스트해 볼 수 있는 추가 투자와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정부 R&D 예산 중 사업화 지원 비중이 1%대에 불과한 것도 문제다. 정재훈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은 “성공한 R&D 기술을 모아 시제품을 개발하는 데 최소 5% 정도의 예산을 쓸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태훈 기자 [email protected]
한국경제
광고
광고
 
中企 CEO들이 보는 정부 R&D

완성도 떨어져 추가 개발비 더 들어


[ 안재광 기자 ] 국가 예산이 투입된 연구개발(R&D)의 성과물을 기업들이 가져와 제품으로 만드는 사례가 드문 것은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수요자인 기업들이 가장 많이 지적하는 것은 “쓸 만한 기술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경기 안산 반월산업단지 내 한 도금업체 사장은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R&D 기술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가 없어 영세한 기업에는 그림의 떡”이라며 “우리가 요청해서 특정한 기술을 개발해 달라고 해도 전문성이 떨어져 결과물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또 “예산을 국가로부터 받는 연구소들은 기업의 목소리를 반영할 유인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경기 성남에 본사를 둔 정보기술(IT) 장비 기업인 H사 기술담당 이사는 “국가 R&D 과제를 신청해 예산을 받는 기업 중 상당수는 실제 사업은 거의 하지 않고 R&D 예산만 따내서 연명하는 사실상 좀비기업”이라며 “실질적인 기술 개발이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연구를 위한 연구’가 많아 ‘실질적 연구’와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쓸 만한 기술을 어렵게 찾아도 완성도가 떨어져 추가로 개발비를 들여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사업화 과정에서 큰돈을 쓰고도 이를 회수하지 못할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정부에 PC를 납품하는 C사는 2012년 한 출연연에서 8500만원을 주고 한 대의 PC를 네 명이 동시에 쓰는 게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특허를 이전받았다. 내부 전산망과 외부 인터넷망을 분리해 쓸 수 있는 제품으로 만들어 냈지만 타깃으로 한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에 납품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존에 없던 제품이어서 도입하기를 주저하고 있는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패키지 전문기업인 루멘스의 유태경 회장은 “출연연의 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있는지도 모르는 기업이 대부분”이라며 “기업과 연구소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하는 기관이 없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유 회장은 “경제단체나 각종 협회가 나서서 파트너 역할을 하는 게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경제
광고
광고
 
 
中企 CEO들이 보는 정부 R&D

완성도 떨어져 추가 개발비 더 들어


[ 안재광 기자 ] 국가 예산이 투입된 연구개발(R&D)의 성과물을 기업들이 가져와 제품으로 만드는 사례가 드문 것은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수요자인 기업들이 가장 많이 지적하는 것은 “쓸 만한 기술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경기 안산 반월산업단지 내 한 도금업체 사장은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R&D 기술은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가 없어 영세한 기업에는 그림의 떡”이라며 “우리가 요청해서 특정한 기술을 개발해 달라고 해도 전문성이 떨어져 결과물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또 “예산을 국가로부터 받는 연구소들은 기업의 목소리를 반영할 유인이 떨어지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경기 성남에 본사를 둔 정보기술(IT) 장비 기업인 H사 기술담당 이사는 “국가 R&D 과제를 신청해 예산을 받는 기업 중 상당수는 실제 사업은 거의 하지 않고 R&D 예산만 따내서 연명하는 사실상 좀비기업”이라며 “실질적인 기술 개발이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연구를 위한 연구’가 많아 ‘실질적 연구’와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쓸 만한 기술을 어렵게 찾아도 완성도가 떨어져 추가로 개발비를 들여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사업화 과정에서 큰돈을 쓰고도 이를 회수하지 못할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정부에 PC를 납품하는 C사는 2012년 한 출연연에서 8500만원을 주고 한 대의 PC를 네 명이 동시에 쓰는 게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특허를 이전받았다. 내부 전산망과 외부 인터넷망을 분리해 쓸 수 있는 제품으로 만들어 냈지만 타깃으로 한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에 납품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존에 없던 제품이어서 도입하기를 주저하고 있는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패키지 전문기업인 루멘스의 유태경 회장은 “출연연의 기술이 어디에, 어떻게 있는지도 모르는 기업이 대부분”이라며 “기업과 연구소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하는 기관이 없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유 회장은 “경제단체나 각종 협회가 나서서 파트너 역할을 하는 게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hankyung.com

매년 20조 에 가까운 예산이 R&D개발로 활용되나 실질적으로 기술무역수지 등 OECD 통계에서 하위권을 유지하는...
장난 때리는 한국 특허강국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