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인들 일은 안하면서 월급만 많이 받아”
게시물ID : sisa_56137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쿠커티
추천 : 12
조회수 : 853회
댓글수 : 119개
등록시간 : 2014/11/17 14:37:30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에서 한국 근로자들이 경쟁국보다 일하는 시간도 짧고 생산성도 낮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반해 월급은 많이 받는다며 근로시간단축을 반대하고 나섰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아시아 경쟁국의 근로시간·임금·생산성 비교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대한상의는 ‘국제데이터(Penn World Table)’를 인용해 한국의 평균 근로시간이 2011년 2193시간이라고 집계했다. 이는 경쟁국인 홍콩(2344시간), 싱가포르(2287시간)보다 짧다는 게 대한상의의 얘기다. 대만은 2144시간, 일본은 1706시간이다.

대한상의는 “이에 반해 국제통화기금(IMF)이 조사한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만5975달러로 싱가포르(5만5182달러)와 홍콩(3만7955달러)에 한참 못 미친다”고 밝혔다. 대만은 2만925달러, 일본은 3만8468달러다.

대한상의는 또 아시아생산성기구(APO) 자료에 근거해 한국의 근로자당 노동생산성은 지난해 5만8700달러로 싱가포르(9만2000달러), 홍콩(9만200달러)에 뒤진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6만3300달러)과 대만(7만4600달러)에도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다.

대한상의는 조사기관 월드샐러리즈를 인용해 한국의 물가를 반영한 구매력 기준 월평균 임금은 2005년 2598달러로 일본(2418달러), 대만(2162달러), 싱가포르(1757달러), 홍콩(1546달러)보다 높다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근로시간을 단축하려면 한국이 경쟁국보다 노동생산성이 낮고 임금은 높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최근 제기된 근로시간단축 움직임에 반대했다.

대한상의의 이같은 발표는 한국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가 중 노동시간이 가장 길다는 최근의 발표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고용노동부 집계 2012년 우리나라 근로자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은 2092시간으로 OECD 평균보다 420시간 많다. 평균은 1705시간이며, 일본은 1765시간이다.

http://bizn.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411171126481&code=920100&med=khan&nv=stand

-----------------------------------------------
이거야말로 제대로 된 유머 아닌가요?ㅎㅎ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