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심상정의 노동이 당당한 나라. 정의당의 노동차별 임금차별부터 해결해야
게시물ID : sisa_91653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곰돌2
추천 : 30
조회수 : 644회
댓글수 : 16개
등록시간 : 2017/05/02 13:44:22
노동이 당당한 나라를 외치며 참여정부를 비난하는 정의당은, 실제로 노동에서 당당한가? 

1. 노동의 가치를 존중한다면 노동이 있는 곳에 의례 노동조합이 있는 것은 당연할 것입니다. 
  그러나 
정작 
정의당에는 2016년 3월 이전까지 '노동조합'이 없었습니다. 
2. 또한 심상정 후보는 대선 공약으로 "동일노동, 동일임금 법제화 추진"을 약속하였습니다. 
    (기사 참조 : 서울신문 
http://v.media.daum.net/v/20170428033613427 하지만 
  막상 정의당 내에서는, 당직자들 간의 노동차별 임금차별이 있어온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1.jpg

이미지 출처 : http://www.news300.kr/sub_read.html?uid=13586&section=sc42&section2=

2016. 03. 02. 정의당 노동조합 초대위원장 이병진 님의 글 >

(선략) 그동안 우리에게는 마땅히 있어야 할 노동조합이 없었습니다. 저마다의 이유로 노동조합이 없는 이유를 설명했지만 어떤 것도 노동조합이 없어야 할 이유로는 충분하지 못했습니다. 
이제 당직자 여러분께 정의당노동조합이 창립되었음을 알리며 몇 가지 당부의 말씀을 올립니다. 

먼저 중앙당 당직자분들께 부탁드립니다. 
우리는 전국 시도당 취업규칙을 중앙당 취업규칙으로 단일화 시킬 것입니다. 서울시당과 경기도당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도당 당직자들은 중앙당 급여의 60~90%에 해당하는 급여를 받고 있습니다. 물론 4대보험과 상여금 등의 혜택도 없습니다. 우리는 항상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외치며 노동차별과 싸워왔습니다. 

이제 우리 내부의 노동차별을 없애야 할 때입니다. 중앙당 임금이 오르면 시도당 임금이 오를 것이고, 중앙당 처우가 개선되면 시도당 처우가 개선될 것입니다. 
중앙당과 미래정치센터, 그리고 서울시당과 경기도당 당직자들께서 힘을 모아 주십시오. 

정의당 지도부와 선출직당직자들께 부탁드립니다. 우리는 모두 당직자이면서 노동자입니다. 
우리가 만들고 관철시키려는 정책과 생각들은 당직자에게도 적용되어야 합니다. 5시 퇴근제는 아니라도 주말에 하루를 일 하면 평일에 반나절은 쉬고, 이틀을 일 하면 하루라도 쉴 수 있도록 대체휴무제를 명문화 하여야 합니다. 평균 임금 300만원은 아니라도 손에 든 300만원 피켓이 민망하여 고개 숙이지는 않아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 고용된 반상근 또는 계약직 당직자라도 고용형태의 변경을 요구하면서 눈치 보이지는 않아야 합니다. 선배들께서 키우고 가르쳐주신 꿈은 당직자라고 예외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지도부와 선출직당직자들께서 먼저 공감대를 만들어 주십시오. 
(후략)
  
출처 : 이병진님의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justicepartyunion/posts/880775292039077


이 글이 화제가 되며 정의당의 비판으로 이어지자 정의당은 곧바로 다음과 같이 해명합니다.


정의당, 당내 '열정페이' 논란에 시끌.."사실 아냐" >

정의당이 열정페이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정의당은 28일 오후 당원게시판을 통해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 (정의당이) 당직자에게 포괄임금제를 적용하고 있다는 의혹과 비난이 제기됐다"며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날 온라인커뮤니티에서는 19대 대선에서 '노동이 당당한 나라'라는 슬로건을 걸고 있는 정의당에서 정작 내부 노동자들은 차별적인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사건의 발단은 지난해 3월 이병진 정의당 노동조합 초대위원장이 올린 페이스북 게시물이었다. (윗글 참조)
논란이 일자 정의당은 당의 취업규칙과 근로계약서상 임금구성항목을 공개했다. 정의당은 "당의 취업규칙(2016.06.10.)에 따르면 정의당은 시간외 근로수당등 각종 수당을 합한 포괄임금제 방식이 아닌, 호봉에 따른 기본급여 외에 직급수당, 상여금과 복리후생 성격의 수당 등이 구성된 임금체계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앙당 당직자와 광역시도당 당직자의 임금격차와 관련해서는 "당헌과 당규에 의해 중앙당 당직자의 채용에 대해서는 당 대표가 권한을 가지고 있으나 광역시도당의 경우에는 해당 시도당 위원장의 권한으로 되어있다"며 "(해당 시도당 위원장이)독립적 인사권한을 행사하고 있고 보수체계도 지역별로 다르다"고 해명했다.

이어 "2015년 7월 심상정 대표 취임 후 열악한 당직자들의 임금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다만 광역시도당 당직자 처우개선문제는 인사권과 당직자 TO조정 등 복잡한 문제가 있어 단기일내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어려웠다. 2017년 당직선거 이전에 안을 마련해 책임 있게 차기 집행부에 전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보도출처 : 2017. 4. 29. 아시아경제 기사 http://v.media.daum.net/v/20170429083002161?f=m&s=pelection2017)

2.jpg
<JTBC 대선TV토론에서 안랩의 포괄적임금제도 시행을 비판하는 심상정 후보

JTBC 대선TV토론에서 심상정 후보는 안랩 대주주인 안철수 후보에게 '포괄임금제' 시행을 비판 하였습니다. 그러나 정작 정의당 내에서는 중앙당과 광역시도당 당직자 임금차별, 노동차별이 존재 하고 있었습니다.

'열정페이' 논란이 일자 2015년 7월 심상정 당대표 취임 후 임금체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지만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어려웠다고 해명합니다.  

심상정 후보는 임기가 다 끝나가도록 소규모 정당의 부당한 임금체계를 개선하지 못했으면서 감히 '노동이 당당한 나라'라는 슬로건을 들고 대통령 선거에 출마 하였습니다. 

국민들에게 최저임금 1만원, 월 국민소득 300만원, 초과이익공유제, 최고임금제, 동일노동·동일임금 법제화 등과 같은 경제정책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정의당 내의 임금차별, 노동차별부터 해결해야 할 것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