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본격_사전투표_매뉴얼.TXT
게시물ID : elect413_9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불멸의아스카
추천 : 8
조회수 : 470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6/04/08 07:44:33
시사게에 올렸는데 이 게시판이 더 알맞는거 같아서 시사게 게시물은 삭제하고 여기에 다시 올립니다.ㅇㅇ

현직 선관위 직원입니다.(알바에요..)

4월 8일부터 9일까지 양일간에 걸처 사전투표가 진행됩니다.

아직까지 사전투표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 드립니다.


*사전투표를 하면 좋은점.

1. 전국 어디에서든 사전 신청없이 투표가 가능하다!

 이게 진짜 짱입니다. 서울사람이 지금 당장 제주도에 있다고 하더라도 자기 지역구의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이 모든 절차가 '사전신청 없이' 가능합니다.


2. 내가 가야하는 투표소를 반드시 찾을 필요가 없다!

 이것도 좀 짱입니다. 의외로 투표당일에 자기 지역구 선거장을 찾기 어려워 하시는 분들이 참 많이 계십니다. 그런데 사전투표 기간에는 전국 어느 사전투표소를 가더라도 투표가 가능합니다. 


3.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선거인증을 할수있....


4. 투표날 아무걱정없이 놀러갈수있....


암튼 그렇습니다.ㅎㅎ



*투표를 위해 필요한 준비물

1. 신분증 

 이거 좀 중요합니다. 사전투표장에 오시더라도 신분증이 없으면 나가리에요. 신분증은 되도록이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정도로 준비하시는게 좋습니다. 대학 학생증도 되긴 하는데 몇가지 중요한 포인트가 필요해서 되는 학생증이 있고, 안되는 학생증이 있고 좀 기준이 복잡합니다. 그냥 맘편하게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여권을 준비해주세요!


2. 끗.



어때요 간단하죠?



*사전투표절차

1. 사전투표장에 도착한다.

2. 입구에서 관내선거인과 관외선거인을 구분할것이다. 

3. 내가 사는 지역에서 투표를 하면 '관내선거인', 내가 사는 지역이 아닌곳에서 투표를 하면 '관외선거인' 이다. 

4. 기다리고 있는 선거사무원에게 신분증을 건네면 본인확인기에 집어넣고 본인확인 절차가 시작된다.

5. 본인이 맞으면 서명 혹은 지문인식을 하게된다. 

6. 잠시 기다리면 즉석에서 투표용지가 발행된다.

7. 발급된 투표용지를 받아서 기표대에 들어간다.

7-1. 여기서 잠깐, 관외선거인의 경우 갈색 봉투가 더 추가된다. 관외선거인의 경우 투표를 한 투표용지를 잘 접어서 갈색봉투 안에 넣고 봉투에 붙어있는 봉함스티커를 떼서 봉투입구를 잘 막는다.(봉투 입구가 떨어지면 큰일난다.)

8. (중요) 관내선거인은 '관내 선거인 투표함'에, 관외선거인은 '관외선거인 투표함'에 투표용지 혹은 투표용지를 봉한 봉투를 넣는다.

9. 투표확인증이 필요하면 투표확인증 발급절차에 대해 물어보고 발급받는다.

10. 투표 끄읏! 집에가서 투표인증하자!



*기타등등

-장애인 분들을 위해 장애인용 기표대와 장애인용 기표용구가 따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투표안내인에게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해드릴겁니다.

-투표 하고 나서 투표확인증 역시 챙기시면 좋습니다. 가장 완벽한 투표인증 도구입니다.

-투표는 아침 6시부터 오후6시까지 12시간동안 진행됩니다만 선관이 직원들과 투표사무원들은 새벽 4시부터 준비해야 합니다... 
 고생하는 선거사무원들에게 수고하십니다 한마디 해주시면 힘이나서 더 열심히 할겁니다.ㅠ_ㅠ



혹시 이 외에도 궁금한거 있으시면 아는대로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모두 투표합시다! ㅎㅎ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