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 : 물질활동에 대한 측정 관찰치
자료 : 정보화를 위해 기록된 신호
정보 : (신호로부터 도출되는) 가치있는 내용
가치 : 인간이 대상과의 관계에 의해 지니게 되는 중요성
패턴이 있는 신호에는 규칙이 있으며, 규칙은 반복되는 성질을 통해 형성이 되고, 반복되는 것은 예측이 가능하다.
즉, 패턴의 본질은 반복되는 성질이며, 패턴은 (신호에서의) 반복되는 속성으로 정의될수 있다.
에컨데, 직선이나 원은 그 자체가 가지는 반복되는 성질로 패턴을 형성하며
무작위의 신호라도 그것이 단위형태로 반복이 된다면 그것역시 패턴을 형성한다.
무작위의 신호라도, 단위형태로 반복되지도 안더라도, 그것이 시간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난다면 그것역시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패턴은 필연적으로 모르는 관련된 신호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신호(또는 자료)에서 어떤 패턴을 찾으려고 한다는 것은,
신호(또는 자료)에서의 반복되는 성질관찰을 통해 예측가능한 성분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여 그 내용을 파악한다는 의미이다.
말했듯이 패턴은 본질적으로 반복되는 신호이고, 뇌에서 반복되는 신호는 그것과 관련된 뇌신경의 시냅스를 자연스럽게 강화시켜 그것과 관련된 내용을 순차적으로 저장시킨다.
이것이 기억이다.
즉, 뇌에서 보았을때 기억은 뇌에 가해지는 반복되는 외부(혹은 내부) 신호에 의해 강화된 시냅스로부터 형성된 순차적 신경망 정보이다.
기억형성이 시냅스 강화로만 이뤄지고 시냅스를 강화하는 방법이 반복 자극신호 뿐이라면
뇌가 저장한 모든 기억은 결국 패턴뿐이며, 패턴은 예측가능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뇌에 저장된 모든 기억에는 본질적으로 예측가능성질을 가지고 있다.
예컨데, 반복되는 고양이 모양에 대한 시각자극을 통해 뇌신경에서 그것과 관련된 시냅스가 강화되어 고양이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면,
이제 가려져 고양이의 일부만 보고도 고양이 전체의 형태를 불러일으켜 보이지 않는 부분의 형태에 대한 예측할수 있어야 한다.
또한, 반복된 노래소리에 대한 청각자극을 통해 뇌신경에서 그것과 관련된 시냅스가 강화되어 노래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면,
이제 노래의 일부만 듣고도 그 다음에 나올 음을 예측할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예측은 능력의 대상이 될수 있으며, 뇌에서 말하는 지능의 본질은 바로 이런 예측능력일 것이다.
기억은 그것과 관련된 외부자극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불러 일으켜 지며, 그러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예측능력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지능은 기억이 그것과 관련된 외부자극에 의해 불러 일으켜지면서 자동적으로 발휘하는,
그 외부자극과 관련된 추가적인 자극신호나 다음에 올 자극신호를 예측하는 능력으로 정의할수 있다.
결론적으로, '물질'에서 (측정관찰을 통해) '신호'가 나오고, 신호에서 (그것이 '반복'이 된다면) '패턴'이 나오고,
패턴에서 (주의를 통해) '예측'이 가능하며, '예측'에서 (그것에 대한 판단을 통해) '정보'가 나오며, 그 정보에서 '가치'란 것이 나온다.
또한, 뇌에 가해지는 반복되는 감각신호는 뇌에 '기억'을 형성하며, 그렇게 저장된 기억은 미래의 자극신호를 예측하는 '지능'을 발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