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세계주의와 국제주의의 차이점은 무엇이죠?
게시물ID : phil_927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2성애자
추천 : 0
조회수 : 1631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4/07/03 21:21:19
위키백과에서 퍼왔습니다.

세계주의(世界主義)는 철학적으로는 이성(理性)을 공유(共有)하는 것으로서, 전 인류를 동포로 보는 입장이다.

퀴닉 학파(소크라테스의 제자 안티스테네스가 시작한 그리스 철학의 일파)는 당시의 국가 대립, 인종·귀천의 차별 등의 불합리한 습관에 대하여 만인은 똑같이 영지(英智)의 법칙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스토아 학파에 있어서도 존재의 본질은 인간이성(人間理性)이고 인간은 이성에 있어서 평등하고 이성의 법칙에 따르고 동일한 권리의무를 갖고 있다고 하였다. 근대에 있어서는 칸트의 보편적 인류공동체의 이념이다.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인류를 이성적 국가 밑에 포섭하려는 사상이다. 그리스도 교의 종교적 세계주의도 모든 민족·국가·혈통·빈부의 차별을 넘어서 하나님 앞에 평등한 것으로서 인간을 본다. 정치적으로 세계주의는 내셔널리즘에 대한 것으로서, 현존하는 여러 국가가 해소(解消) 혹은 개혁되어서 국가간의 대립항쟁이 없어지고, 유일한 세계연방이 실현되어 전 인류가 그 시민으로 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주의를 말한다. 따라서 국가 내지 민족의 횡적 관계에 있어서의 협조를 기초로 하고 인터내셔널리즘과는 구별된다. 


~~~~~~~~~~~~~~~~~~~~~~~~~~~~~ 

국제주의(internationalism, 인터내셔널리즘)은 독립된 주권국가의 공존(共存)을 전제로 하여 국가주권의 제한에 의하여 조직화된 초국가적 사회의 형성을 이상으로 하면서도 그러한 전체사회의 부분으로서의 주권국가의 독립적 기능을 긍정하는 사상이다.

중세적 보편국가(普遍國家)의 점차적인 붕괴와 더불어 성립된 유럽의 주권적 민족국가의 초기에 보여지는 국제주의는 왕조간(王朝間)의 그것이었으나, 그것은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을 거쳐 19세기 전기에 있어서의 신성동맹(神聖同盟)에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사이 시민계급은 서서히 성장하고 있었으나 곧 19세기 중엽 이후 그들을 담당자로 하는 자유주의적 국제주의가 등장한다(유럽 협조). 그러나 그 후 자본주의가 제국주의단계에 돌입하고 양차대전의 경험을 거쳐 형성된 국제연맹 및 국제연합의 현실은 자본주의적 틀 속에서의 19세기적인 국제주의의 발전의 여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것에 대하여 19세기 중엽부터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가 등장하였다. 이것은 각국의 프롤레타리아트의 이해관계는 상호일치·공통한 것이며 그들은 자본주의를 타도함과 함께 사회주의를 건설할 투쟁에 있어서 국제적으로 굳게 단결하고 협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입장을 말한다. 




-------------
저는 저자신을 세계시민주의자라고 칭했는데, 초기 알렉산드로스의 세계시민주의는 전제주의와 비슷했더군요.  다행히 후기 스토아학파의 영향으로 현대의 위 두 항목과 비슷한 사상이 되었다고하여, 아직도 자신을 세계시민주의자라고 부르긴 합니다.

그러나 뒤늦게 오늘 세계주의와 국제주의를 알게되었습니다. 철학 공부하는 학생은 아니고,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둘의 차이점을 가르쳐주세요. 위 위키백과 설명으로는 아직 감이 안 오네요.

꼭 자신을 규정할 필요는 없지만, 위 두 항목이 저랑 맞다면 정정할 필요는 있는 것 같아서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