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BGM. 이작소 : 대체 펭귄드럼이 뭐야?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게시물ID : humorbest_92921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탈핵학교
추천 : 43
조회수 : 2547회
댓글수 : 16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08/10 12:52:11
원본글 작성시간 : 2014/08/10 11:52:41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QK43w
   BGM - OST: 운명의 아이들
  
 
 * 중후반부 스포를 배제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내용을 알아도 이해가 어렵다는 평을 얻는 애니메이션이라, 꼭 필요한 부분, 초반부 위주로 설명합니다.
0.어디서 많이 보던
 
벌레소탕 짤로 오유및 일워에서 애용되는 이 짤은요
 
핑드러무.gif
 
 
바로 이 애니메이션, 돌아가는 펭귄드럼에서 왔습니다.
 
downloadfile.jpeg
                                                      
유려한 작화의 캐릭터 디자인은
무려 BL만화가 출신 순정만화가 호시노 릴리님이 담당하셨습니다.
 
펭귄드럼?
 소위'불친절한'전개로 싫어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사랑스럽고 아픈 이 친구, 소개해드리고 싶어요.
 
1.  왜 지금 핑드럼요?
 
핑드럼은 2011년도에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입니다.
그럼에도 이 만화를, 지금 이때에 추천하고 싶은 이유가 있습니다.
 
올해 커다란 비극 하나가 한국을 덮쳤지요. 
세월호 사건은 사이비종교 집단과 대한민국의 현실로부터 빚어진 비극이었습니다.
 
아래는 애니메이션에 대한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개의치 않으시는 분들만 긁어주세요.
이 애니메이션 핑드럼 속 아이들은,
1995년 벌어진 일본의 사이비종교 집단 살인사건 : 옴 진리교 사건과 연관되어있습니다.
 
큰 슬픔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살아가야 합니다.
그 힘은 무엇일까요. 우리는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 걸까요. 죄인의 죄없는 아이들, 피해자의 유족들은.
핑드럼은 그 질문에 최선을 다해 답합니다. 분명하지 않을 지라도요.
 
 
 
 
 
2. 첫인상 : 예쁘다, 환상적이다, 사랑스럽다.
부엌.PNG방.PNG
 
핑드럼의 강점은 비쥬얼입니다. 그림과 색감이 무척 아름다워요.
특히 주인공 세 남매의 집은 장난감집 처럼 꾸며져있습니다. 주인공 히마리의 방은 동화 속 같죠.
 
병에걸려 죽기 일보직전인 히마리를 위해, 두 오빠가 꾸민 집입니다.
 
1화의 중반부터 의식을 잃고 쓰러진 히마리는, 펭귄모자를 쓰고 불쑥 "생존전략 ㅡ!"을 외치며 깨어납니다.
 그런데 이 아가씨, 히마리하고 성격이 완전히 다르고요. 오빠들 운명의 수많은 지점에서 왔다는 헛소리를 합니다.
 
히마리.jpg토끼눈.jpg
(좌)히마리                                                                                                    (우)변신 후 히마리. 토끼눈에, 성격도 너무 달라요.
 
순정만화? 코믹? 판타지?
주인공이 아프니까 신파? 
 
놉.
 
장르, 알 수 없습니다.
 
 
 
3. 장벽이자 매력 : 뜻밖의 병신미와 수수께끼들
 
3-1 펭귄드럼에 도전한 시청자들이 어마어마하게 부딪히는 첫 번째 벽은 작품 초반의 중2병입니다.
특히 초반 ~8화에 나오는 인물 '링고'는 대단한 사랑의스토커입니다. 링고의 스토킹 행각에 질려 중도하차하는 분들도 더러 계십니다.
downloadfile-1.jpeg
링고의 스토킹장면. 링고가  평화롭게 누워있는 이곳은
스토킹 상대의 집 마룻바닥 밑입니다.ㄷ
 
3-2 게다가 시시때때로 훅 뛰는 다크다크한 분위기와 급전개는
 
심각 2.jpg심각.jpg
 
일상적인 도덕률에도 계속해서 멘붕을 선사하며
이 애니메이션의 정체를 가늠할 수가 없게 만들죠.
 
3-3 지하철이 들어오는 소리와 함께 불쑥불쑥 전개되는 "회상"씬은 왜때문에 계속해서 반복되는 것일까요.
주인공들이 달려나가는 오프닝 지하철의 노선도는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엔드카드.jpg
핑드럼을 끝까지 본다는 것은, 이런 혼란스러움과 질문들을 함께 안고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4. 이해와 즐거움을 위한 몇 개의 이정표
 
4-1 이것을 모르면 절대로 이해할 수 없다- 95년의 일본
95.jpg
핑드럼에서는 끊임없이 '지하철'에 대한 모티브와, 숫자 '95'가 제시됩니다.
 
95년 일본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 를 알지 못하면, 이 애니메이션은 아무런 의미도 가질 수 없습니다.
때문에 이 핑드럼을 보기 전에, 이 책을 먼저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언더그라운드 2_무라카미 하루키
자세한 이야기는 스포일러가 될 수 있어 가립니다. 그런거 상관없어, 난 제대로 이해하고 싶다는 분들만 긁어주세요.
: 95년에는 일본에 사이비종교 '옴진리교'의 독극물 테러 사건이 있었습니다.그리고 이 애니메이션은 그 사건의 가해자들과 연관이 깊습니다.
 <언더그라운드 2>는소외되는 평범한 사람들이 왜 사이비종교에 가담하는가, 에 대한 무라카미 하루키의 르포입니다.
옴진리교 사건 가해자들의 인터뷰가 담겨있습니다.
이 배경에 대한 이해는 <핑드럼> <어린이 브로일러> 등 핑드럼 속 언어들에 대한 이해를 도와줍니다.
 
 
 
 
4-2숫자가 적힌 펭귄들은 삼남매의 캐릭터와 감정을 암시합니다.
핑.jpg
히마리가 아파서 쓰러지면, 리본을 단 펭귄도 혼절하는 식이지요.
칸바와 쇼의 캐릭터가 집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 캐릭터인지 궁금하거나 인물들의 감정선을 따라갈 수 없을때, 펭귄들을 관찰하시면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첫째 오빠 칸바의 펭귄은 걸핏하면 여자들 치마를 들춘다던가하는, 정말 이상한 행동을 하기도 합지만, 이것도 칸바의 '아버지캐릭터'를 극단적으로 표현한 부분이지요] 
 
 
4-3 이 감독이 그 감독이야?!
애니메이션의 감독 이쿠하라 쿠니히코는 [달의요정 세일러문]과 [소녀혁명 우테나]의 바로 그 감독님입니다.
두 작품을 재밌게 보신 분들은, 특유의 독특한 연출을 새삼 다시 확인하며 즐겁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샐러문.jpg
[세일러문]의 변신 포오즈 재현
 
images-1.jpeg
[우테나]특유의 연극적 기이법
 
 
4-4 음악!
핑드럼의 음악들은, 영화 [아멜리에]의 곡들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되었다고 합니다.
오프닝 [노르닐]도 무척 예쁜 곡이지만, 엔딩곡들도 참 좋습니다. 엔딩곡이 매번 바뀝니다.
두개만 링크할게요. 
 
<dear future>감상하러 가기 http://cjswotls1234.blog.me/60139358145
<재의 수요일>감상하러 가기 http://vimeo.com/35266217
 
 
 
5. 이 만화 도대체 어떻게 받아들이면 되나
 
혹시 영화 <클라우드 아틀라스>를 보신 분들 계신가요?
 
영화에 등장하는 여섯 개의 생애는 논리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냥 음악과 함께 각각의 스토리라인을 따라가다 보면 각각의 흩어진 이야기들이 말하는 메시지를 읽어낼 수 있지요.
펭귄드럼의 '전략'이 클라우드 아틀라스와 비슷합니다.
 
그냥 흐르는대로 맡기고 보시면 됩니다.
 
아래는 '핑드럼'에 관련된 스포일 수 있습니다.
'펭귄드럼'의 정체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작품에  제시된 어떤 것도 정확한 '핑드럼'은 아니며, 그것들은 모두 핑드럼의 상징일 뿐입니다.,
 
 작품을 끝까지 본 우리는 어렴풋하게, 그것이 OO가 아닐까..? 하고 추측하는 정도지요.
핑드럼에 관한 마사토끼님의 유명한 리뷰가 있습니다.
 
pen.jpg
뭐가_뭔진_모르겠지만_눈물이_난다.jpg
http://blog.naver.com/masaruchi?Redirect=Log&logNo=110161648594&from=postView
출처: 마사토끼 블로그
 
 
 
그냥, 느끼시면 됩니다.
조그만 위로를....
 
 
 
 
 
 
 
 
 
 
사과.jpg
 
 
  
 
 
 
 
 
 
이 글은 애니메이션 게시판 콘테스트 <이 작품을 소개합니다>의 참가작입니다.
마음에 드셨다면 투표에 참여해주세요!

제 3회 <이작소> 투표하러 가기
투표기간 :: 8월 11일 ㅡ 8월 17일 오후 8시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