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법륜스님 즉문즉설] 세계 100회 강연(79) 구글 Google
게시물ID : lovestory_7103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medIUm
추천 : 0
조회수 : 1118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4/12/26 00:08:37

“Is there anything that Googlers or Google can help you or world peace?”

구글 직원들과 구글이 스님과 세계 평화를 위해 도울 수 있는 일들이 있을까요?


“The problem with modern life in modern society, especially in Silicon Valley, is that you feel overwhelmed all the time. Do you have any advice on how to address the feeling of overwhelmed all the time?” 

현대사회에서 살아가는 현대사회의 문제점, 특히 이 곳 실리콘 밸리에서의 문제점이, 항상 뭔가 압도되는 느낌이 든다는 것입니다. 항상 뭔가 어쩔 줄 몰라하는 이 감정을 어떻게 하면 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One of my favorite modern philosophers said that the three most dangerous human addictions today are heroin, carbohydrates, and a monthly salary. His name is Nassim Taleb. He’s Dr. Doom. So my question for you is most of us here has at least two out of those three addictions, definitely the monthly salary. And every day I ask myself the question of what is the purpose of humans. So as a human, what should be a noble purpose that I should pursue?"

제가 좋아하는 철학자 중 한 사람이 말하기를, 오늘날 가장 위험한 중독 세 가지는 헤로인, 탄수화물, 월급이라고 했습니다. Nassim Taleb이라는 분이 그렇게 얘기했습니다. 제가 묻고 싶은 것은, 여기 있는 저희 대부분이 저 세 가지 중에 두 가지, 특히 월급은 다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매일 제 자신에게 ‘인류의 목적은 무엇일까?‘라고 묻습니다. 인간으로서 어떤 고귀한 목적을 추구해야 할까요?


“I agree many of our sufferings are really due to our mind. This year seems to be especially complicated or hard to follow for me. Earlier this year, starting with the Ukraine crisis, then the conflicts in the Middle East, we have this Ebola outbreak. The entire universe is kind of inching toward the end. We’re closing to the autumn of the universe. What’s going on this year? Do you think this is going to continue? What’s your opinion?”

많은 괴로움이 마음에서 온다는 스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올해는 특히 많이 복잡하고 이해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부터 시작해서 중동의 분쟁, 그리고 에볼라 발생까지, 온 우주가 마지막에 다가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도대체 올해 무슨 일인 겁니까? 스님께서는 이런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고 보십니까? 스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I heard that in some Buddhist traditions women are treated differently. For instance I heard that in order to become a Buddha, woman must first be reincarnated as a man. What do you feel about this? What is your opinion? Do you agree? Do you think this is antiquated? I’m curious."

어떤 불교 전통에서는 여성들이 다르게 대우받는다고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붓다가 되기 위해서는 여성이 우선 남성으로 환생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동의하십니까? 혹은 낡은 전통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스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I went to the trip in 2008 to China and North Korea border and North Korea. Climbing the mountains of Baekdu was very informative and very nice but one of the most memorable moments was on the North Korean border, all the trees were chopped off, every single trees, and there were no trees on the mountains. And also seeing aid from China getting rejected and coming back from North Korean border to China. So my question is that was when Kim Jung-il was still in dictatorship. Is treatment of civilians much better now that Kim Jung-eun is in state or even reunification."

2008년에 중국과 북한 국경에 방문했습니다. 백두산에 오르는 것은 매우 좋은 경험이었지만 제일 기억나는 것 중 하나는 북한 쪽 산에는 나무가 다 잘려 한 그루도 없었다는 것입니다. 중국에서 가는 원조를 거부하고 다시 돌아오는 것도 봤고요. 제 질문은, 그 때는 김정일 독재체제였을 때였는데, 이제 김정은 체제로 바뀌고 나서 일반 주민들의 삶이나 통일에 대한 조건이 더 나아졌는지 궁금합니다.


"In you first answer it was really beautiful you talked about the importance of the how instead of the what. I was wondering as people try to build down this path and look more inwards, how do you advise them in terms of spending their time inwards. Maybe people come to you for the monastic tradition. How do you advise people of career and worldly life vs. more of an inward life? Do you have any advice?" 

첫 번째 답변에서 무엇을 위해서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이 매우 감명 깊었습니다. 우리가 어떻게 내면을 살피며 살아갈 수 있을 지 조언을 해주시겠습니까? 스님께 수도자로써 수행하는 방법을 묻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는데요, 일반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내면을 살피려고 할 때 어떤 조언을 주실 수 있을까요?


"I think the people that I know who are the happiest are actually people who are most selfish. And I observe that they are very happy because they spend all of their time and energy on their own goals and interests and they don’t really help others. On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I see people who are selfless and help other people selflessly but actually because they are neglectful of their own needs, they’re unhappy. How would you suggest striking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addressing other people’s needs and increasing other people’s happiness and our own happiness."

제 생각에는 제 주위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은 사실은 가장 이기적인 사람들인 것 같습니다. 그들이 행복한 이유는 모든 시간과 힘을 자기들의 목표와 이익을 위해 쓰기 때문인 것 같고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잘 돕지 않는 것 같습니다. 또 다른 한 편으로는 자기를 돌보지 않고 다른 사람을 돕지만 자신을 너무 돌보지 않기 때문에 불행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요구와 행복, 그리고 우리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는 데 있어 어떻게 적절한 균형을 찾을 수 있을까요?


“In you answer, you said that we have a lot of problems in the world and it has been like that for a long time. If you look at the companies around Silicon Valley, you see a lot of business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Do you think with this technology innovation are we getting to a better place, as a world? I would like to know your opinions on meanings of this innovational technology in our lives.”

스님께서 이 세상에 많은 문제들이 계속 존재해왔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실리콘 밸리에 있는 많은 회사들을 보면 이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있는 곳들이 많습니다. 스님께서는 기술 혁명이 이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우리 삶에서 이 기술혁신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스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I have a loved one. And there was a misunderstanding. There have been many many years we tried to clear up the misunderstanding. And it just hasn’t cleared up. It’s been difficult for me. So the question is until when do I keep on trying or do I just, for my emotional lightness, do I separate the relationship and move on." 

제가 가족과 오해가 있어서 몇 년동안 오해를 풀려고 노력했지만 잘 되지가 않았습니다. 그 문제로 제가 힘이 듭니다. 계속 노력을 해야할 지, 아니면 제 마음이 가벼워지기 위해서 이 관계를 정리를 하고 그냥 제 인생을 살아가야 할 지 궁금합니다.


“You said that to be happy, we have to remove our greedy-ness, it sounds very simple, but in practice, it is very difficult to remove our greedy-ness. Can you suggest how we can practice in real life to remove our greed?”

행복해지려면 욕심을 버려야한다고 하셨는데요. 말하기는 쉽지만 실제로는 매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우리가 실제 생활에서 욕심을 어떻게 버릴 수 있을지 말씀해주시겠습니까?


http://m.jungto.org/view.php?p_no=74&b_no=65386&page=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