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들에게 새 친구에 관하여 얘기를 하면 그들은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해서는 결코 묻지 않는다. "목소리는 어떠니?,어떤 놀이를 좋아하니?, 나비를 수집하니?" 하는 등의 말은 묻지 않고 "나이는 몇이니? 형제는 몇이니? 몸무계는 얼마니? 그 애 아버지는 얼마나 버니?"하고 묻는다. 그래야만 어른들은 그 친구를 알게 된다고 믿는다. 만약 어른들에게"창가에는 제라늄이 있고 지붕 위에는 비둘기가 나는 아름다운 붉은 벽돌집을 보았다."고 말한다면 어른들은 이 집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상상하지 못한다. "10만 프랑짜리 집을 보았다."고 말해야 "얼마나 훌륭하냐?"고 외친다는 것이다.
생텍쥐페리 - 어린 왕자 중에서.
2.
수능 점수나 토익 점수, 학벌 등은 몇 가지 기준들을 바탕으로 학습 능력이나 성실성을 수치화시킨 것이다. 이는 노동시장에서 인간의 노동력을 평가할 때 자원 분배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만들어졌다. 화폐 또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교환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것들이 높은지 낮은지, 많은지 적은지로 사람을 평가하고 그 사람에 대해 부정 혹은 긍정의 감정을 가진다. 심지어는 마음속에서 그 사람의 사회적 위치를 정한다. 단순히 인간이 편리하기 위해 만든 수단이 다른 인간들을 평가하는 근거로써 사용되는 것이다.
이는 사회의 신분화를 초래한다.
인간은 타인을 그러한 것들로 평가할 수 없다. 칸트가 말하길 순수실천 이성을 가진 인간은 정언명령에 입각해 자율적 자유를 행한다. 따라서 인간은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가지며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 그래서 인간은 인간에게 수단이 아닌 목적이어야 한다. 롤즈에 의하면 인간의 재능과 능력은 우연히 분배된 것이다. 만약 수학을 잘하는 인간이 있다 하여도 그것은 그가 선택한 것이 아니다. 또한 시장경제에서의 가치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가장 성공한 코미디언의 타인을 즐겁게 만들어주는 능력은 현대 사회에서만 평균 노동자의 몇백배에 해당하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가언합의에 의한 중립적 선택만이 정의롭다. 그렇기에 노동 시장에서 인간의 능력 차이를 인정하고 평가하는 것은 평등을 전제할 때만 타당하다.
종합하자면 인간은 평등하며 인간의 존엄을 평가하는 것은 부당하다.
심지어는 사람을 평가할 때 정당하다는 '기준'은 그 기준이 포함하지 않는 '다른 능력'을 수치화 하지 못한다. 또한 능력의 종류 따라 위계를 두는 것은 부당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학을 잘하는 것과 노래를 잘하는 것, 혹은 영어를 잘하는 것과 봄에 핀 꽃을 보며 감명받는 것은 본질적으로 같은 '능력'이다. 사회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으로
인간이 타인의 존엄을 평가하는 것은 그 자체로 비이성적이고 비인간적인 폭력이다.
인간은 인간을 그러한 수치가 아니라 관심사, 취미, 사고방식, 가치관, 세계관, 이념 등으로 평가받아야 하며 그러한 평가도 인간을 위계(位階)화하는 근거로써 사용되는 것은 위험하다. 신분화된 사회는 붕괴의 가능성이 높으며 지속가능하지 못하다. 신분화되어 공동체적 동질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회는 절대로 도덕적일 수 없다. 애국, 애향, 애민등 연대의 도덕은 공동체적 사고방식 하에서만 정당화될 수 있다. 계급이 나뉘고 집단의 베타성을 지닌 사회는 점차 삭막화 되고 비도덕적으로 변한다. 결국 그런 사회는 지속가능하지 못하다.
따라서 민주주의 사회에서 신분제는 절대적으로 부정되어야 한다.
3.
그러나 나도 내가 모르는 사이에 어린 왕자가 말하던 "어른들"이 되어버렸다. 타인을 수치나 외모로 평가하고 마음속에서 그 사람의 사회적 위치를 규정짓고 있었다. 인간은 존엄을 가지며 평등하기에 다양성을 존중하고 다름을 이해하자는 내 생각과 견해는 위선이었다.
이를 인정하자 형용하기 어려운 서러움이 마음속에서 울컥 올라왔다.
http://stgst.tistory.com/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