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차세대 저장장치에대해 주저리..
게시물ID : computer_21275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나라미
추천 : 0
조회수 : 380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5/01/05 03:30:43
스스디가 처음 보급되기 시작했을때의 문화충격은 대단했었죠

성능에서도 가격면에서도 말이죠

일단 달기만 하면 눈에띄는 성능을 누릴수 있었지만

작은용량으로 실체감은 부팅속도나 인터넷정도를 빠르게하는데

수십만원을 들여야했습니다.

그 당시보단 조금 나아졌지만 현제도 ssd는 옵션인상황입니다.

10여만원으로 기본속도 + 자주쓰는 프로그램을 쾌적하게 사용하거나

수십만원으로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빠르게쓰고 대용량저장은 하드로 한다

아니면 깔끔하게 포기하고 하드만 쓴다는 선택지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우선 제가 이생각을 하게된 이유는 베오베에 올라간 

이 글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192107&s_no=192107&page=2 을 보고나서입니다.

인텔이 2mm 1테라낸드를 개발해서 2015년 후반쯤에 상용화 할거라는 기사죠

ssd는 기본적으로 2개이상의 낸드를 레이드로 묶어서 출시하기 때문에 기본용량은 2테라에서 시작한다는겁니다.

이정도 크기라면 ssd 하나면 보통 요즘 쓰는 부팅용 ssd에 저장용 hdd를 포함한 1.5테라 이하 피씨들의 용량을 넘어버린다는겁니다.

그 이야기는.. 

굳이 메인보드에 하드를 달지 않아도 된다는겁니다.

네 눈치빠른분들은 느끼셨겠지만

sata를 연결하지 않고 바로 메인보드에 장착하는 ssd..

m.2타입 ssd 이야기입니다.



애초에는 sata3까지 발전한 sata타입 연결의 속도 한계를 돌파해보려는 시도로 구상된 

PCI-Express 로 저장장체를 직접연결해 사용하는시스템입니다.

현제 제가 쓰는 시스템도 m.2이긴한데 사실상 초기모델이라 sata3과 속도의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아직은 말이죠..

하지만 sata케이블을 통하지 않고 전원연결마저 필요없는 구조는 

향후 속도는 물론 공간의 절약(이부분이 핵심입니다)을 가져올수 있을겁니다.

하드하나 크기가 얼마나 크다고 그러냐고 생각하시면 오산인게

하드는 진동도있고 전원연결도 따로 해주어야하기 때문에 보드에서 얼마간 떨어진 공간에 고정해줘야하지만

스스디는 그냥 램처럼 꼽아버리거나 cpu같이 슬롯처럼 만들어 끼워버릴수도 있습니다.

그런식으로 저장장치를 보드에 꼽아버리면.. 컴퓨터 본체의 큰공간을 차지하는 odd나 하드공간이 통짜로 비울수가있죠

그 효율을 뚫어버리려면 하드는 엄청난 용량 엄청난 가격 스스디의 맞먹는 속도 셋중 하나를 해내야할거같습니다.

몇년안에 하드는 외장으로만 그명맥을 잇게되지않을까 하네요

물론.. 대용량 스스디가 합리적인 가격에 나와야 한다는게 문제..




그건 넘어가고 대용량 스스디가 m.2가 되었든 칩형태가 되었든 한가지 모델로 나오면 다음수순은?

네..

메인보드들이 싹바뀌겠죠... sata를 버리진 않겠지만 슬롯숫자를 줄이고 m.2혹은 ssd 슬롯 메모리 장착형..

그러면서 물흐르듯 인텔이 차세대 cpu를 발표해 버리면..

자연스레 다음세대가 정착할거같네요... 디디알4램들도 슬슬 상용화되겠다..

맞춤형 케이스들도 등장할거같고..

이번 대격변은 설레네요.. 돈이나 모아놔야겠습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