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주마간산 동네탐방] 광명시 소하동 이야기,,,, 상권 그리고 아이템,,
게시물ID : economy_992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보라돌굿맨
추천 : 1
조회수 : 1432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5/01/15 18:24:13
 
 
오늘은 석식후에 산보삼아 동네 산책을 했습니다.
평소에 그냥 걷던 길을 오늘은 소상공인 컨설턴트의 시각으로 걸어봤습니다.
(직업병인가 봅니다.)
 
저의 집에서 아래 A지점 (광명시 소하동 이마트)은 도보로 접근이 가능한 곳이며,
위성지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11.png
 
 
소상공인 컨설턴트의 시각인 분석툴로서는 아래 보시는 바와 같이 이마트를 기준으로 하여 밀도와,,,
도보통행량 인구를 과학적이고 정량적으로 접근을 하게 됩니다.
작금은 BigData의 시대로서 database로 정량적인 사업성 분석을 해야 됩니다.

 
 
EB~1.PNG
%C5%EB~1.PNG

 
 
 
이마트를 주위로 하여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성인발걸음으로 20분이면 다 둘러볼 수 있는 정도의 상권입니다.
 
지도상의 이마트는 아래 보시는 바와 같습니다.
 
 
44.jpg
 
 
먼저 빵/떡집은  4개의 브랜드가
김밥집은 4~5개의 브랜드 / 감자탕집은 2개의 브랜드가 각축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총성만 없지 제 눈에는 전쟁터처럼 보입니다.
 
 
55.jpg
6.jpg
7.jpg
8.jpg
9.jpg
10.jpg
11.jpg
13.jpg
15.jpg
16.jpg
17.jpg
 
정리를 하면,,
 
1) 상권과 입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은 기회를 보는 눈이 있다는 것이다.
 
2) 상권의 좋고 나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상권의 '인구통계'이다. 인구통계는 바로 잠재 고객의 규모를 의미한다.
 
3) 고객의 동선은 단순히 매장 앞을 지나가는 사람의 머릿수를 세는 일이 아니다.
    고객의 동선은 잠재 고객의 흐름이고 매장 앞까지 고객을 끌어 주는 힘이다.
 
4) 상권의 기본적인 데이터와 정보는 물론이고 해당 업종의 전문가, 주변 중개사무소, 상권 내 자영업자 및 지역 거주인 등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재차 확인해야 한다. 크로스체크는 필수
 
5) 상권와 입지의 최종 의사 결정을 위해서는 결국 수익성과 안정성을 냉철하게 점검해야 한다.
 
현실은 어떤가요?
 
 
현재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40대 직장인들도 은퇴 후에는 현실적인 재취업이 어려워졌으며
창업에 눈을 돌릴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창업 2년 안에 절반 이상이 문을 닫고 있으며,
월평균 순이익은 200만원이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사업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구요,,
 
어려움의 가장큰 이유는 단기간 준비하고 단기에 승부를 보려고 하는 창업의 근시안 때문이며,
단계적으로는 가장 먼저 안착을 목표로 해야 하고 대박은 좀 더 멀리 봐야 한다.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상권과 입지, 품질 수준, 마케팅 방법 그리고 창업 준비 과정의 전체적인
로드맵도 달라져야만 합니다..
 
현장에서 만난 자영업자들은 매장을 '감옥'으로 표현하는 분들이 많으며
돈벌이도 시원찮은데 항상 매여 있어야 하고 일하는 동안에도 즐겁지 않으니,
하염없이 시간만 흘려 보내기 때문에 그러할 것이구요,,
 
더욱이  권리금만이라도 회수하기 위해 계속되는 적자를 감수하면서까지 매장을 포기하지
못하고 있는 자영업자들이 수가 상당하며 실제로 많은 가맹점들이 손해를 보고 있음에도
가맹 계약 때문에 가슴을 치면서 영업을 하거나 법적 다툼을 벌이는 경우도 흔하죠,
 
이처럼 생계형 창업은 진입은 상대적으로 용이하나 한번 시작하면 퇴로를 쉽게 허락하지 않습니다.
 
제대로 된 준비없이 그저 근거 없는 자신감과 전문가의 자문에만 전적으로
의지하는 것은 사업을 망치는 지름길이며 평소 준비를 해야 된다는 말이 됩니다.

생계형 자영업은 업체 간의 경쟁 수준이 높고,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에
여러 경쟁 요인에 의해 시장 전반의 수익성이 없거나 매우 열악한게 현실이구요,,,

생계형 창업의 악순환에 빠져들지 않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창업을 시작하지 않는 것이다.' 조바심을 버리고 창업을 하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만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할려면 제대로 해야 한다... 그 방법론은 차차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con4you.net 배상 - 
 
 
* 출처  : con4you.net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