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스페이스 엔진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게시물ID : science_4555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전자기파동
추천 : 22
조회수 : 2644회
댓글수 : 12개
등록시간 : 2015/01/27 06:27:21

scr00038.jpg

우주 시뮬레이터 스페이스 엔진이 0.9.7.2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0.9.7.1버전에서 많은게 바뀌어서 그런지 그 전과 다르게 업데이트가 되지 않고 새로 설치해야 하네요.

사실 업뎃 된지는 오래됐는데...그래픽 드라이버와 충돌이 났는지 제대로 실행이 되질 않아서 못 하다가 최근에 새 드라이버가 나와서 업데이트해보니
이제서야 잘 돌아가게 되어서 이제서야 소개를 해봅니다.

http://en.spaceengine.org/

스페이스 엔진은 이곳에서 받으 실 수 있으며 무료입니다.

scr00000.jpg

이번에도 특이하게 지구가 아니라 외계행성에서 시작을 합니다.
꽤나 커다란 위성 두 개를 가지고 있는 지구형 행성이네요.

scr00001.jpg
scr00002.jpg

지구랑 비교해서 위성이 많은 친구네요.
갈색은 구형을 갖추지 못 한 작은 소행성급 위성이고 노란색은 구형을 갖춘 달급 위성입니다.

인터페이스는 약간 변화가 있으나 그 전과 매우 흡사한데 시각적으로 좀 더 발전했습니다.

scr00003.jpg

달이 두개나 되는데다 가까워서 달이 뜬 하늘이 무척 밝은 부분 그에 반해 달이 뜨지 않은 곳의 밤은 엄청 어둡습니다.

scr00004.jpg

가상외계행성의 달1 
얼음이 많은 위성인데 졸라 두꺼운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극지방엔 오로라도 보이네요.

사실 이번에도 전 버전처럼 이 가상외계행성에서 지구를 찾아가려고 했는데...주변을 둘러봐도 친근한 별이 하나도 없더군요.
전에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이용해서 찾아갔었는데...결국 태양을 검색해보았더니...

scr00005.jpg

태양으로부터 917광년 떨어져있는 곳이었습니다....ㅡㅡ
그건 그렇고...거리 단위가 그 전에는 pc(파섹)이었는데 이젠 ly(광년)으로 바뀌었네요.

파섹보단 광년을 더 많이 쓰기 때문에 거리측정이 더 편리해졌습니다.

scr00007.jpg

거리가 이미 초은하 단위를 찍어내는 너무 먼 거리라 그냥 검색해서 워프해온 지구.
아메리카 대륙과 태평양이 보입니다.

그리고 새 버전의 새 기능

scr00008.jpg

지구의 뒷 편.
이전 버전에서 지구의 밤은 그냥 깜깜했는데 이렇게 도시의 불빛이 표현되었습니다.

1400660566m1duxWQlhowVGGzVTZhiNesXutqQ.jpg

이전 버전의 지구의 밤.

scr00009.jpg

그리고 밤에는 한반도가 삼면이 아닌 사면이 바다인 섬나라가 되는 버그가 있습니다.
...물론 뻥이고 그냥 고증에 맞춰서 북한은 평양만 밝습니다.

scr00010.jpg

달 표면에서 본 지구.
반달 모양의 지구인데 이 거리면 도시의 빛이 안 보입....니다만 제작의 실수인지 스페이스 엔진에선 달에서도 지구의 도시 불빛이 보이네요...

...설마 진짜 보이는데 제가 모르는 건가요...?

scr00011.jpg

목성과 그의 위성 이오(왼쪽에 졸라 작은거)
전 버전에 비해서 목성의 적도부분이 더 부푼 모양을 하고있습니다.

오늘도 대적점은 밤이라서 보지 못 했습니다. 매번 올 때마다 대적점은 밤인거 같네요.

scr00012.jpg

사실 목성에 온 진짜 목적은 이 이오를 보기 위해서입니다.
음...전 버전에 비해서 디테일 해진 모습이죠.

얼마나 디테일 해졌느냐!

scr00013.jpg

이오의 진정한 모습(?)인 화산활동이 표현되었습니다.
왠지 딥다크한 판타지행성 같지만 실제로 이오는 목성과 너무 가까운나머지 목성의 중력때문에 마그마가 시도때도 없이 분출하며
간헐천이 수백km까지 치솟는 격동의 별이라고 합니다.

과학자들이 이오에 처음 근접했을 때 그런 화산활동이나 간헐천을 궤도까지 뿜어대는 모습을 보고 졸라 깜짝놀랐다고 하네요.

scr00014.jpg

뻥안치고 생물이 살지도 모르는 목성의 위성 에우로파
과학자들은 에우로파의 얼음밑의 바다를 몹시 보고싶어하지만 그 곳에 진짜로 생명체가 살 때 지구에서 데려간 병균에대한 항체가 없는 생명들이
급격한 상황변화를 대처하지 못 하고 멸종하는 위험때문에 파내려가지 못 하는 실정입니다.

물론 파내려가려고 해도 그것도 일이지만...

scr00015.jpg

태양계 최고의 미모를 뽐내는 토성쨔응의 섹시한 자태

scr00016.jpg

토성의 위성 타이탄
...타이탄의 특성상 졸라 짙어도 너무 짙은 구름 때문에 이렇게 보면 전 버전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만

scr00017.jpg

옵션에서 구름을 제거하면 타이탄의 대지가 보이는데 보다 더 디테일해졌습니다.
액체메탄으로 이루어진 호수와 강들이 보이네요.

scr00018.jpg

타이탄의 액체메탄호수
구름이 너무 짙어서 타이탄은 어딜가든 하늘이 이렇습니다..

scr00022.jpg

갑자기 돌아와서 수성
전 버전에 비해 밝아졌습니다. 아무래도 광원효과 재작업의 결과인듯 디테일은 전버전과 같습니다.

애초에 수성은 지도가 이미 만들어진 행성이라 이미 전 버전에서도 지도 그대로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scr00023.jpg

그리고 수성에서 본 태양의 모습
이 전 버전과 달리 범상치 않은 태양의 모습을 느낄 수 있습니다.

1409041862soBIMy5o2zTmjf273sCH.jpg

이것은 이전 버전의 수성표면에서 본 태양.
어디서 보든 항성은 이런식으로 보였는데 표현이 조금 바뀌었네요.

scr00024.jpg

새로 바뀐 항성의 표현 (태양)
코로나가 뿜어져 나오는 모습이 새로 표현되었습니다.

이 코로나는 항성의 크기나 등급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표현되어있습니다.

scr00025.jpg
scr00027.jpg

그리고 새로 생긴 기능!
시스템 차트.

그 항성계의 천체들을 크기순으로 나열 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크기로 분류하다보니 원하는 천체만 딱딱 골라낼 수 는 없고 그 사이에 들어가는 천체들이 죄다 보여지게 되네요.

scr00028.jpg

그리고 태양계의 소행성들까지 나열시켰더니 끝이 없습니다...
보시다시피 혜성은 제외시킨 길이...

scr00029.jpg
scr00030.jpg
scr00032.jpg

광원효과의 재작업덕인지 태양이 거리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이게 되었습니다.
위에서부터 금성, 화성, 에리스 순서.

scr00031.jpg

덤으로 심각하게 태양빛을 반사해대던 에리스가 재작업되었습니다.
이제 에리스의 표면을 볼 수 있게 되었네요.

1400408944bmfl9dEnDbHPexdtUdzp25.jpg

전 버전의 에리스

scr00034.jpg

은하 또한 재작업 되었습니다.
우리은하와 소마젤란, 대마젤란

scr00035.jpg

멀리서 본 우리은하.
소마젤란과 대마젤란이 푸른색으로 빛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두 은하는 우리은하를 도는 위성은하로 생각하곤 있지만 그냥 지나가는 중일 수도 있다네요.

scr00037.jpg

우리은하와 닮은 안드로메다 은하.
노란색의 두 은하는 우리은하의 소마젤란과 대마젤란처럼 안드로메다 은하를 도는 위성은하로 보고있습니다.

위성은하까지 두개로 똑같다니 그냥 닮은게 아니라 쌍둥이 수준이네요.

아래에 보시면 작은 은하가 하나 더 있는데 삼각형자리 은하입니다.

scr00036.jpg

초은하단

이것들은 그냥 태양같은 별이 아니라...그런 태양을 수십억에서 수조개씩 갖고 있는 은하들의 집합체입니다.

지금 보이는게 전부 별이 아니라 은하입니다...
밝은 은하들은 실제로 존재하는 이름까지 붙은 은하들이 많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한 번 이용해보세요. 뭣보다 무료인데 퀄리티는 돈받고 팔고도 남을 수준입니다.

메이저한 천체들은 대부분 구현되어있고 나머지는 특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가상으로 생성되어 우주를 채워줍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