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학생들이 역사를 모르는 건 국사시간이 적어져서가 아니다
게시물ID : history_957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이미생겼어요
추천 : 13
조회수 : 643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3/05/29 16:35:37

물론 그 영향도 없잖아 있겠지만,

20년전에 고등학교를 다닌 내 경우를 생각해 보더라도,

그 당시도 국사시간은 일주일에 두 시간이 전부였다.

그나마도 3학년이 되서는 한 시간인가로 줄었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판타지로 배운다던가 하는 일은 없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렇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환경'이 문제가 아닐까 싶다.

예를 들어 각종 기념일.. 내가 어렸을 때만 하더라도 국경일이 되면

여지없이 그와 관련된 TV만화 혹은 인형극 혹은 드라마가 어김없이

각 방송국별로 여러편이 제작되서 나왔다.

 

3.1절? 아침시작을 기념식 방송으로 시작해서 오전에는 3.1기념 특별 만화가

있었고.. 오후에는 3.1기념 드라마 저녁에는 3.1기념 다큐멘터리가 꼬박꼬박

방송국별로 나왔었다.

 

어린이날은 소파 방정환 선생의 만화가 나왔었고 개천절에는 곰이 웅녀로 변한

인형극을 봐야 했고 단군왕검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봐야 했었으며, 아나운서는

뉴스 시작전 '오늘은 서기 19XX년, 단기 24XX년인 10월 3일 개천절입니다'라는

멘트로 시작을 했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

 

요전날 어린이날도 있었지만, 내가 TV를 보는 동안 그 어린이날을 '소파 방정환 선생이

'짓밟히고 학대받고 쓸쓸하게 자라는 어린 혼을 구원하자'라는 생각으로 최초, 5/1일을

어린이날로 정하여 일제시대에 소년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어린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쓰셨고 '어린이'라는 소년잡지를 창간했다라는 내용은 그 어디에서도 안 나왔다.

 

나나 내 또래의 사람들은 이런 것을 처음 TV에서 하는 만화를 보고 알았으며, '방정환이

누구인데 이런 걸 했을까?'라는 생각으로 찾아보다가 우리나라 민족종교의 한 축인

천도교의 3대 교주의 '손병희 선생'의 사위였다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천도교가 구한말

커다란 농민운동의 뿌리가 된 '동학'에서 발달되었다라는 사실을 연쇄적으로 찾아보고

알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어린이날이 되도, 어린이날 특집은 '런닝맨 - 어린이날특집 - 딱지왕'이고

4대악 OUT 광화문 콘서트만 한다.

그 어디에서도 '어린이날이 왜 만들어졌고, 누가 만들었으며, 어떤 역활을 했다'는

알려주지도, 가르쳐 주지도 않는다.

 

만화책, 무협지에 자주 나오는 '천상천하 유아독존'이 세상을 평안케 하려는 부처가

큰 뜻을 품고 어머니 뱃속에서 나오자 마자 일곱걸음을 걷고 손가락으로 하늘과 땅을

가르키며 한 말이라는 것을 부처님이 오신 날임에도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다.

 

이래서는, 그냥 노는 날일 뿐이다.

 

그나마 가끔 하는 다큐멘터리나 기념식조차도 이른 아침, 아니면 늦은 밤에 하기 때문에

학생들보라고 만든 방송들이 아니다.

 

이건 비단 방송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세대는 어린 날의 소일거리가 TV와 친구와 오락실과 만화방 정도가 고작이었지만,

요즘 학생들은 그 외에도 게임에 인터넷이 혼자서도 잘 놀 거리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인터넷과 온라인 게임에서도 각종 국경일과 기념일은 그저 '땜방용 컨텐츠 거리'

하나 만들어 내는 날이고 '캐쉬템 팔 구실'을 위한 날일 뿐이다.

 

시대가 변한 지금, 옛날같이야 할 수 없겠지만, 그래도 최소한의 지식은 알 수 있게

기성세대가 도와야, 이러한 역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탓하는 건, 그 다음에 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한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