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충격> 단한방에 대한민국을 전세계에 알리다.
게시물ID : humorbest_95840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0416remember
추천 : 110
조회수 : 7871회
댓글수 : 26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10/10 22:21:08
원본글 작성시간 : 2014/10/10 11:37:20
세월호참사 시위자에 대한 카톡과 사라진 7시간.


부정선거 가카의 거짓말과 자신의 안위때문에

가카가 말하는 창조경제의 대표적인주자인 토종카카오톡 다망치고

나아가 대한민국 국격을 다말아 먹고있네요.


우리가 아프리카 독재국가 제품을 사겠습니까?

마찬가지로 선진국에서 우리제품을 어떻게 생각하겠습니까?


이걸 저들이 좋아하는 경제 유발효과를 인용한다면.....

이번,사라진7시간에 대한 세계적인 망신은 수백조원 까먹었을겁니다.


"된장.ㅜㅜㅜ"


 

 

 

그러나,

 

 

박근혜 정부 들어 카톡 감청·압수수색 급증 추세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newsview?newsid=20141008201008503&RIGHT_REPLY=R2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지난해 이후 카카오톡 이용자에 대한 정보·수사기관의 감청(대화 내용 실시간 엿보기) 및 압수수색 영장과 통신사실확인자료(이용 내역) 제공 요청이 수천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정보·수사기관이 이동전화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에 이어 메신저까지 범죄수사와 정보수집 대상으로 삼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카카오는 '사이버 검열' 논란이 갈수록 거세질 것으로 보이자 이용자 신뢰를 잃을 것을 우려해 뒤늦게 이런 사실을 공개하고 그동안 숨겨온 것에 대해 사과했다. 카톡 보안을 강화할 추가 방안도 내놨다.

8일 다음카카오가 내놓은 '투명성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카톡 사용자를 대상으로 발부된 감청 영장이 147건에 이른다. 같은 기간 카톡 이용자들의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요청 건수는 2467건에 이르고, 압수수색 영장은 4807건이나 됐다. 영장 한건으로 카톡 사용자 여러명을 대상으로 삼을 수 있어, 실제 감청과 압수수색 및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요청 대상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 감청은 대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엿보는 것이고, 통신사실확인자료는 언제 카톡에 접속해 언제까지 누구와 대화를 나눴는지를 보여주는 자료다. 다음카카오는 "감청 영장의 경우, 카톡에는 제3자가 대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설비가 갖춰지지 않아, 대화 내용을 3~7일 단위로 모아 전달하는 방식으로 집행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사라진 7시간과 대처에 대하여 전세계가 비판.


'산케이 지국장 기소' 파문.. "대통령 명예 지키려고 국가의 명예 추락시켜"

세계 언론·미 정부 “한국 언론자유 우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41009224707462&RIGHT_REPLY=R1


박근혜 대통령의 '사라진 7시간' 의혹을 제기한 산케이신문 가토 다쓰야(加藤達也·48) 전 서울지국장이 한국 검찰에 기소되자 세계 주요 언론은 한국의 언론자유에 의문을 제기했다. 외신들은 9일 "한국 대통령의 행적에 의혹을 제기한 외신기자가 기소당했다"는 소식을 쏟아냈다. 일본뿐 아니라 미국 정부까지 한국 언론자유가 우려된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대통령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한국의 국제적 이미지를 실추시켰다"는 지적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은 가토 전 지국장 기소 소식을 상세히 전하며 "언론이 대통령을 포함한 공직자의 행동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는 벤저민 이스마일 국경없는기자회 아시아지부장의 지난달 성명을 인용했다. "한국에서는 여전히 정부 비판자들을 억압하는 데 국가보안법이 쓰인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AP통신은 "한국의 언론자유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박 대통령이 자신의 이미지를 위해 언론인을 탄압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도 같은 내용을 9일자로 보도했다. 독일 도이체벨레와 로이터·AFP통신 등도 가토 전 지국장 기소 소식을 일제히 타전했다. 미국 정부도 비판에 가세했다. 젠 사키 미 국무부 대변인은 8일(현지시간) "한국 검찰의 수사를 초기 단계부터 주시해오고 있었다"며 "우리는 연설과 표현의 자유를 폭넓게 지지한다"고 말했다.

일본 언론들은 이번 사안을 매우 비중 있게 다뤘다. 마이니치신문은 "비판을 허용하지 않는 박 대통령의 강압적 자세, 대통령의 의향에 충실한 한국 검찰의 체질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평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국제사회의 상식과 매우 동떨어진 조치"라고 말했다. 일본 외무성은 이날 김원진 주일 한국공사를 불러 유감을 표명했다.

이 사건이 불러올 외교적 파장에 대해 우리 정부 안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 외교 관계자는 "한국은 그동안 국제사회에서 짧은 시간 안에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을 이룩한 나라라는 평가를 받아왔는데 이번 사건으로 이 같은 이미지가 크게 깎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한국은 대외관계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외교와 국가 이미지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대통령의 명예를 지키려고 국가의 명예를 추락시킨 결과"라고 말했다.

이번 사건으로 일본이 한국을 비난할 명분을 제공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일관계에 정통한 관계자는 "극우 일간지 산케이를 영웅으로 만들어준 어리석은 조치"라며 "정부가 일본 극우파에 힘을 실어주고 일본 내 혐한 기류를 조장한 셈이 됐다"고 말했다.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정치인에 대한 보도를 법적인 문제로 끌고가 기소하는 것은 다른 언론에 위축·위협 효과를 주기 위한 성격이 있다"며 "국제적인 망신"이라고 말했다.


세월호 특별법 1000만인 서명 바로가기[작은힘이 모여 큰 파도를]

잊지맙시다!!!

서명 주소입니다.

http://sign.sewolho416.org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