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문준용 증거조작’ 파문, 언론은 책임없나
게시물ID : sisa_96237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어지러운세상
추천 : 13
조회수 : 967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7/06/28 11:23:41
옵션
  • 펌글



 
국민의당 기자회견 직후 문준용씨 친구가 해당 인터뷰가 가짜라며 반박 글을 올리기도 했다. 선거 막판 공방내용 진위보다는 이를 모두 네거티브 공방으로 묶어 처리한 기사도 있었다. 다음날인 지난달 6일 한국일보는 “文·洪·安캠프 뒤엉켜 네거티브 공방전”이란 기사를 통해 국민의당의 조작된 인터뷰 공세-문 후보측의 반박과 문씨 동료의 육성증언-자유한국당의 문 후보 공격-민주당의 ‘지라시 연대(안철수+홍준표)’ 비판 등을 열거하며 공방의 양상만 부각했다. 지난달 8일 세계일보 역시 “文·安 ‘文 아들 취업 특혜 의혹’ 막판까지 공방”이란 기사에서 내용의 진위여부가 아닌 공방을 나열하는데 그쳤다.

언론은 자연스럽게, 의혹이 해결되지 않았다는 주장으로 연결됐다. 대선 전날인 지난달 8일 동아일보는 사설 “선거과정 해소 안 된 文 아들 특혜의혹”에서 “민주당 경선 때도 문 후보는 ‘마 이제 고마해’라며 넘어가려 했다”며 “확전을 피하자는 전략이었는지 모르지만 불시는 그대로 남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몇 가지 의혹을 늘어놓으며 “특혜라는 의심을 살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덧붙였다.

해소되지 않은 의혹이라는 점을 빌미로 양비론·정치혐오 주장도 나왔다. 같은날 중앙일보는 “D-1, 끝까지 꼼꼼하게 따져 투표하자”는 사설에서 “점입가경인 문재인 후보 아들 준용씨의 특혜 채용 의혹 공방도 선거혐오를 부추긴다”며 “대선 하루 전까지 이어지는 진흙탕 싸움을 바라보는 유권자들은 착잡할 따름”이라고 주장한 뒤 “민주당은 의혹을 무조건 부인만 할 것이 아니라, 준용씨에게 직접 해명하게 해서라도 유권자의 의문을 풀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는 선거 당시 국민의당이 원했던 그림이고, 녹취조작이 밝혀진 지금 시점에서 볼 땐 언론이 취재원과 거리감을 두지 못해 발생한 실책으로 볼 수 있다.

중앙일보는 양비론의 스탠스를 취했다. “국민의당도 자체 공개한 음성 파일이 ‘가짜’라는 공방에 휘말린 만큼 그 진위 여부를 분명하게 밝혀 논란을 종식시켜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지만 사설의 방점은 네거티브 공방에 찍혀있었다. 



서울신문은 지난달 8일 “국민의당 ‘문준용씨 취업 특혜 증언 파일’ 공개에 ‘조건에 부합한 사람은 나뿐인데 국민의당과 인터뷰한 적이 없다’”는 기사에서 준용씨와 함께 유학했다는 문상호씨의 반박 이메일 내용을 보도했다. 제보자가 가짜일 수 있다는 내용이 핵심이었다.

http://ph.mediatoday.co.kr/news/photo/201706/137573_197146_2747.jpg







출처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7573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