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모르고 쓰는 일본식 한자
게시물ID : freeboard_97320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토미와지나
추천 : 6
조회수 : 523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5/07/07 16:50:07

한/중/일 모두 한자 문화권이어서 언어가 한자에 기본을 두고있지만

각 나라별로 한자를 쓰는 방식은 구분되는것 같습니다.

우리도 모르게 쓰고있는 일본식 한자는 한국식한자로 대체해서 쓰면어떨가 해서 올려봅니다.


=========================================================

# 일석이조(一石二鳥) : 일본의 한 한학자가 번역해 낸 영어 속담이라 한다

 

                                원문은 "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일거양득'이란 말로 대체해 쓰자

 

# 아전인수(我田引水) : 이것도 일본인이 만든 사자성어라 한다 -,,-

 

# 기라성(綺羅星) : '번쩍번쩍'은 일어로 '기라기라(きらきら)',

 

                          여기에 별 성(星)을 붙여서 만든......

 

# 정종(政宗) : 일본 전국시대를 풍미했던 다데 마사무네(伊達政宗)의 가문에서는

 

                    국화주를 담가 마셨는데 술맛이 기막혀

 

                    사람들이 '국정종(菊政宗  きくまさむね)'이라 부르며 칭송했다 한다

 

                    우리가 흔히 정종이라고 하는 것은 마사무네 가문에서 따온 것이므로

 

                    '청주'라고 해야 옳다

 

# 사양(斜陽) : 사양산업..이라 할 때의 이 '사양'은

 

                    1947년 다자이 오사무의 <사양>이라는 소설이 인기를 끌자

 

                    '사양족(斜陽族)'이란 말이 유행하면서 파급된 말이라 함

 

                    그 후, 일정한 집단을 지칭하는 말에 '~族'이란 접미사를 붙이게 됨

 

                    장발족, 히피족, 미시족...하는 말도 그런 흐름 속에서 생겨난 말

 

# 특수(特需) : 중국특수...할 때의 '특수'는 한국전 때, '특별수요'의 단축형으로

 

                    일본에서 만들어낸 말.... 얄미운 넘들이다!

 

# 낭만(浪漫) : 프랑스어 '로망(roman)'을 일본어 발음으로 가장 그에 가깝게

 

                    '로망(ろまん 浪漫)'이라 적은 것을,

 

                    우리식의 한자음으로 읽은 것.  '로망(roman)'이라고 해야 한다

 

그 밖에도......

 

# 십팔번 : '애창곡'이 적합

 

# 윤중제 : '방죽' 또는 '섬둑'

 

# 감안(勘案)하다 : 살피다, 생각하다, 고려하다, 참작하다....등으로 쓰자

 

# 곤색(紺色) : 감색

 

# 구좌(口座) : 계좌

 

# 공소(控訴) : 항소

 

# 급사(給仕) : 사환

 

# 내역(內譯) : 명세, 내용 등으로 바꿔쓰자

 

# 노견(路肩) : 길섶, 길턱

 

# 대절(貸切) : 전세

 

# 대합실(待合室) : ㅜ.ㅜ,,, '대기실'로....

 

# 망년회(忘年會) : 송년회... 익히 알 것이고.

 

# 매(枚) : 장

 

# 발부(發付) : 발급

 

# 부지(敷地) : '터'라고 하자

 

# 상담(相談) : 상의, 의논

 

# 선착장(船着場) : 선창

 

# 세면(洗面) : 세수

 

# 소제(掃除) : 청소

 

# 수순(手順) : 절차, 차례

 

# 수취인(受取人) : ㅜ.ㅜ 이것도.... '받는 사람'이라고 쓰자

 

# 신병(身柄) : 신분, 일신

 

# 애매(曖昧)하다 : '모호하다'로 써야 한단다

 

                          '애매모호하다'는 바른 말이 아니라고 함-ㅅ-

 

# 이서(異書) : '배서'로 쓰자

 

# 인도(引渡) : 건네줌, 넘겨줌...이라 써야 한단다

 

# 인출(引出)하다 : 이것도 '꺼내다', '찾다'로...

 

# 조회(照會) : 대조

 

# 지분(持分) : 몫

출처 http://blog.naver.com/sword25/130000202088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