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레몬시 님을 위한 램 오버클럭 설명(닉언죄)
게시물ID : computer_9769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애기곰
추천 : 2
조회수 : 10645회
댓글수 : 6개
등록시간 : 2013/07/14 22:21:37
정말 간략한 오버 방법이구요. 
막막하실듯 하여 해당 메인보드의 메뉴얼을 참고하여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윈도우 7 운영체제를 설치하셨다는 가정과 (XP 라면 바이오스 화면이 다를수 있습니다.) 바이오스는 들어가실수 있을거라 가정하에 시작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부팅중 바이오스에 진입하신후, 하단 큰 메뉴들에서 O.N.E 탭을 클릭하시면 그림과 같은 화면이 보이실 꺼에요.
UEFI 모습.png

첫째로 해주실 것은 위 화면에서 'Memory Clock Control' 의 항목을 선택하신후 
키보드 숫자 패드에 있는 +/-  키를 이용하여 Auto 설정을 Manual로 바꿔주세요.
그럼 클럭이 1066Mhz, 1333Mhz, 1600Mhz, 1866Mhz, 2133Mhz 중에서 선택하실수 있을텐데, 삼성램이라면 2133을, 여타 다른 램이라면 안전하게 1866Mhz를 선택해 주세요.

둘째로, 중간쯤에 있는 DDR Memory Voltage를 선택하신후 역시 +/- 키를 이용하여, 전압을 1.65V로 맞춰주시기 바랍니다.
*여기서 주의하실게, 제가 실제 해당 바이오스를 만져본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압이 바뀌는 방식이 이중 한 가지 인데, 경우에 따라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1) + 키를 눌렀을때 전압을 고르는 방식이라면 그냥 1.65V를 고르시면 됩니다.
(2) +키를 눌렀을때 숫자가 1.5V(혹은 1.5V 근처 전압)으로 지정이 되있으면 +를 계속 누르고 계셔서 1.65V 만들어 주셔야하구요, 
(3) +키를 눌렀을때 숫자가 +0.0000V 로 시작해서 +0.XXXX 이런식으로 올라간다면 'DDR Memory Voltage' 옆에 써있는 전압을 기준으로 더해진 값이 1.65V가 되게끔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자. 우선은 여기서 F4 혹은 하단 메뉴 SAVE & EXIT를 눌러서 재부팅을 시켜주세요.
메모리 클럭이 2133 이면 99%부팅중에 블루스크린이 뜨거나, 부팅이 안되거나 할꺼에요.
이때 부팅이 안되면 전원을 뺏다 켜주시면 오버클럭 실패했다는 창이 다시 뜨며 바이오스로 들어가지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여기서 부팅이 되는 경우와, 안되는 경우로 나뉩니다. 


1. 부팅이 됬다.
부팅이 완료후, 하단 링크에 따라 TM5 와 PRIME 95를 다운 받아주세요. (여기서 테클을 방지하기위한 말로, 램 안정으로 흔히 쓰이는 링스는 트리니티에서 안정화 툴로 쓰이지 않습니다. 트리니티의 모듈 방식을 링스가 잘 지원하지않아 제대로된 벤치가 되지 않아요)
<TM5 링크>
http://www.coolenjoy.net/bbs/cboard.php?id=pds&no=4588&page=1&num=3&board=pds&ss=1&sc=0&sn=0&keyword=tm5&qa=0&ga=&cat=0&vote=0
<prime 95 링크, 운영체제가 32bit인지 64bit 인지에 따라 구분 하여 받으셔야 합니다.>
http://www.coolenjoy.net/bbs/cboard.php?id=pds&no=5977&page=1&num=16&board=pds&ss=1&sc=0&sn=0&keyword=PRIME&qa=0&ga=&cat=0&vote=0

TM5는 실행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돌며, 5바퀴 이상 도는동안 이상이 없으면 됩니다.(금방 끝납니다.)
PRIME 95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처럼 나올겁니다.
PRIME 95.png



램과 CPU 모두 부하가 걸리는 Blend 모드에 그대로 두시고 OK 누르시고 2시간 돌리셔서 이상없으시면, 프로그램을 통한 램의 안정화가 완료됩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블루스크린이 뜨거나, 프로그램상 오류가 발생하거나, 전원이 꺼진다면, 부팅이 안되는 경우로 넘어갑니다.



2. 부팅이 안되는 경우 OR 부팅후 테스팅중 오류 발생시
아마 부팅이 안되거나, 오류 발생했을꺼에요.
이제 여기서는 램타이밍 풀어주거나 혹은 램의 클럭을 낮추셔야 해요.
램 클럭은 우리가 앞서 골랐던 1033 1333 1600 1833 2133Mhz를 말합니다.
램타이밍은 램의 반응속도, 응답속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선택의 기로에 갈리는데요, 
(1) 램클럭을 낮춘다.
(2) 램타이밍을 풀어준다.
저는 (2)를 강력히 권장해요.
램타이밍을 굉장히 쪼이고, 램클럭이 낮춘것보다
램타이밍을 풀고, 램클럭을 올리는것이 
램과 트리니티 사이의 병목현상 해소에 월등한 도움이 됩니다.(그래픽성능이 훨씬 좋아진다는 뜻입니다.)

램타이밍을 푸는 방법은
UEFI 모습.png

맨 위에서 보셨던 사진인데, 여기서 
'DRAM TIMING Configuration' 에 진입하시면 됩니다.
진입후 
 DRAM TIMING mode 를 선택하셔서 +/- 로 Auto설정을 Both 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종류가 Auto/DCT0/DCT1/BOTH)가 있는데 DCT0, DCT1은 각 메모리 체널에 따른 설정값 변화입니다. 
램이 2개 사용하실테며, 듀얼 체널 설정을 하셨을 테구요. 우리는 양쪽 램의 타이밍을 같이 맞춰주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both로 설정합니다.
both로 설정하면, 램타이밍들이 쭉 뜰거에요. 

이중에 건드리실 핵심 램타이밍들은
2TCMD
CL
tRCD
tRP
tRAS
정도입니다.
여기서 
2TCMD는 2T로 설정해주시고,
나머지 부분들은 숫자를 크게 해주는것이 램오버에 도움이 됩니다.( 최고의 성능이 아닌, 쉽게 오버가 되는 경우입니다.)
원래대로라면, 램타이밍들을 하나씩 아주 조금씩 올리면서 매번 부팅, 안정화툴을 돌리는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이렇게 되면 아주 적은 성능차를 위해서 하루 넘는 시간이 소모되고 맙니다.
저는 그래서 점수 몇십 몇백점이 중요한 벤치마커가 아니시라면 모든 램타이밍을 많이 풀어주고 설정하는걸 추천드릴게요
삼성램과 2133클럭으로 설정했을 경우
2TCMD - 2T
CL - 13
tRCD - 14
tRP - 13
tRAS - 33
정도로 설정하시면, 무난히 부팅후 안정화 툴이 돌아갈거에요.
여기서도 에러가 뜬다면 위에서 건드리지 않은 램타이밍들을 포함하여
램타이밍들을 더 풀어보고, 그래도 안된다면 최후의 수단으로 램클럭을 낮추셔야 합니다.
다행이 에러가 안뜬다면 그대로 쓰시거나, 혹은 좀더 욕심을 내어 램타이밍들을 쪼여보시면 됩니다.

분명 컴게 고수님들이 보실때 부족함이 많은 램오버 설명글이며, 테크닉적으로도 부족하고, 두리뭉술하게 넘어가는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다만, 램 오버가 너무 막막하신 분들이 종종 보였는데, 오늘 제가 시간이 좀 남고, 레몬시 님이 도움을 요청하시길레 글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다양한 테클과, 부족한 글에 대한 첨언 환영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