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주차할 때 변속레버 P의 기능에 대해서
게시물ID : humorbest_98403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아이잭토스트
추천 : 112
조회수 : 17967회
댓글수 : 94개
베스트 등록시간 : 2014/12/04 16:22:53
원본글 작성시간 : 2014/12/04 14:07:43
이전 페이지에 사이드브레이크와 변속레버P 중 어느 게 먼저냐는 질문글에 당혹스러운 댓글들이 많이 달려서 씁니다;;




외부이미지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기본적으로 레버 자체의 기계적 구조에 의해 변속되는 게 아니라 전자신호에 의해서 변속이 되죠. 그런데 P의 경우엔 레버 자체의 기계적 구조에 의해서 변속기에 달린 Parking Pawl이라는 부품이 움직이게 됩니다.

외부이미지

외부이미지

외부이미지

외부이미지



요런 식이에요

외부이미지

구조 설명하는 모식도 자료에 '변속레버 P 상태에만 의존하여 주차하면 parking pawl 기능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해 놨죠.



http://en.wikipedia.org/wiki/Parking_pawl#Recommendations 에서

Most vehicle manufacturers[3] and auto mechanics[4] do not recommend using the transmission's parking pawl as the sole means of securing a parked vehicle, instead recommending it should only be engaged after first applying the vehicle's parking brake. Constant use of only the parking pawl, especially when parking on a steep incline, means that driveline components, and transmission internals, are kept constantly under stress, and can cause wear and eventual failure of the parking pawl or transmission linkage. The pawl might also fail or break if the vehicle is pushed with sufficient force, if the parking brake is not firmly engaged. Replacement can be an expensive operation since it generally requires removing the transmission from the car.


'변속레버 P는 사이드브레이크를 완전히 채운 다음에 하도록 권장된다'가 정답입니다. P기능은 말하자면 최후의 보루에요. 사이드브레이크의 마찰력을 이기고 차량이 움직이려는 상황이 예외적으로 벌어질 때 기계적으로 변속기 자체를 고정시켜버려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인데, 형태만 보셔도 알 수 있듯이 네모지게 아예 움직이는 일이 없도록 만들어 놓은 부품이 쓰입니다. 경사로에서 풋브레이크와 사이드브레이크 없이 저 네모진 부품을 넣었다 뺐다 하는 건 수백kg의 힘이 저 부품에 가해지는 상황에서 억지로 손힘으로 잡아빼고 넣는 것입니다. '한번쯤 걸쇠가 튕겨나가봤는데 큰 문제 없더라'며 개인적인 일회성 경험담으로 괜찮다고 주장하시면 안 되죠. 움직이는 일 없도록 만들어진 부분에 힘을 가하면서 움직여대면 반복적으로 손상이 가해질 수밖에 없고, 반복적으로 손상이 가해지면 결국 변속기 자체를 들어내서 수리해야 하는 걸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2014-12-04 14:10:52추천 101
경사로에서 주차시 변속기와 걸쇠에 가장 부담이 안 가는 조작순서는

1) 풋브레이크를 계속 밟고 있는다
2) 사이드브레이크를 충분히 당긴다
3) 풋브레이크를 살짝 떼어서 사이드브레이크만으로 충분히 고정되는지 확인한다
4) 변속레버를 p에 위치시키고 시동을 끈다

입니다
댓글 0개 ▲
2014-12-04 14:25:42추천 32
1 좋은정보감사합니다.
항상 경사로에서 P에 놓기만 해서 D로 옮길때 덜컥하는 소리났었는데
저 방법으로 주차해야겠네요 ㅎㅎ
댓글 0개 ▲
2014-12-04 15:20:13추천 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전 반대로 사용하고 있었네요. p 후 풋브레이크 떼기전 핸드브레이크 후 페달에서 발뗌. 걍 느낌상 파킹에 놓을 때 차가 약간 움직이며 충격이 가는게 싫어서 하던 버릇인데 정확한 이유와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댓글 0개 ▲
2014-12-04 15:25:32추천 16
평지에서 후진 주차시 바닥의 턱에 의지할 경우 살짝 차가 턱을 물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전 N에서 브레이크를 때서 턱에 걸리는 힘을 빼준후 사이드 -> P로 갑니다.
댓글 0개 ▲
2014-12-04 15:26:58추천 1
아...감사합니다. 좋은 정보네요 정말.
댓글 0개 ▲
2014-12-04 15:27:05추천 21
저도 풋브레이크 밟고 파킹 넣고 사이드 채웠는데 사이드가 먼저군요!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2014-12-04 15:55:10추천 0
오~ 오 정말 좋은 정보네요
주차 후 풋브레이크 밟은 상태에서 사이드 채우고 P에다 넣고 시동 끄란 말씀이지죠?
댓글 0개 ▲
2014-12-04 16:04:29추천 8
헐..대박..완전 머리에 망치 맞은 기분.
너무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베스트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4-12-04 16:26:28추천 4
베오베감이군요.
댓글 0개 ▲
2014-12-04 16:27:28추천 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2014-12-04 16:28:18추천 6
결국, 평소에 주차를 할때는 P에 두지 말고 N에 두고 사이드를 채우는게 좋은건가요?
댓글 0개 ▲
2014-12-04 16:28:55추천 1
출발할때는 사이드 먼저 내리고 P를 조작하면 되는거죠? 출발할때는 순서 상관없나요?
댓글 0개 ▲
2014-12-04 16:29:54추천 2
경사가 넘 심하거나 핸드브레이크가 약할시에는
풋브레이크밟고 있는상태서 핸드브레이크 채우고 파킹넣고
풋브레이크 아주살짝살짝 때주면 차가밀려도 파킹걸릴때 부드럽게 걸려용
댓글 0개 ▲
2014-12-04 16:30:29추천 86
헐... 사이드가 먼저였다니...
댓글 0개 ▲
2014-12-04 16:30:55추천 0
헐 문화컬쳐!!!
와 나가 아는 사람 중에 사이드 먼저하고 P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널리 퍼뜨려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본인삭제]이놈이다
2014-12-04 16:33:51추천 1
댓글 0개 ▲
2014-12-04 16:34:02추천 2
이야....지금껏 당연히 P가 먼저인줄 알았는데;;
댓글 0개 ▲
2014-12-04 16:34:37추천 66
왜 운전학원에선 반대로 알려준걸까요??
댓글 0개 ▲
2014-12-04 16:34:52추천 2
정말 좋은 정보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항상
p먼저 넣은다음
사이드넣고
풋브레이크에서 발을 떼거든요

이게 무리를 줄수도 있는것이군요...

습관자체를 바꿔야겠습니다!!
사이드 우선!
풋브레이크 떼고
p넣기!

ㅎㅎ감사합니다~
댓글 0개 ▲
2014-12-04 16:39:51추천 9
평지에서는 사이드 안하셔도 괜찮습니다. 간혹 추운 겨울에 사이드가 얼어 붙어 차가 안가는 경우도 있구요.ㅎㅎ
댓글 0개 ▲
2014-12-04 16:40:37추천 0
헐 이사실을 이제야 알다니..

쇼킹문화컬쳐!!
댓글 0개 ▲
[본인삭제]보캅
2014-12-04 16:42:41추천 0/6
댓글 0개 ▲
2014-12-04 16:45:16추천 1
질문있어요!!
스틱차량은 내리막에서는 후진기아에!!
오르막에서는 1단 기아에 기어를 박고 사이드 브레이크를 올리는데
그건 괜찮은건가요??
댓글 0개 ▲
2014-12-04 16:46:20추천 2
오호. 파킹 -> 사이드  인줄 알았는데.. 이제 사이드 -> 파킹   기억해야겠네요.  감사요~~~
댓글 0개 ▲
2014-12-04 16:46:55추천 2
사이드 채워진 상태에서 기어 조작하라는 거 맞죠?

그러니까 출발 시에는 p에서 d로 변속 후 사이드 풀기

주차 시에는 사이드 채운 후에 d에서 p로 변속

여태 이렇게 알고 있었는데. . 맞나요?
댓글 0개 ▲
2014-12-04 16:48:33추천 0
저는 풋 잡은 상태에서 사이드 걸고 풋 높으면 차가 조금 움직일때가 있는데 이 후에 p로 딱
댓글 0개 ▲
2014-12-04 16:48:44추천 0
제차는 변속기를 변경하면 사이드 브레이크가 풀려요.. 중립에서 사이드 브레이크를 채워두 P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풀리거든요;;
댓글 0개 ▲
2014-12-04 16:59:14추천 4
익산구미호// 저 운전면허 시험 볼 땐 그렇게 안 했다고 감점시키더군요;;; 교육할 땐 그런 방법에 대해서 일언반구도 없었는데...

오토차량에만 있는 걸쇠가 수동차량엔 없으니 아예 수동차량의 기어 자체를 오토차량의 P걸쇠처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합리적인 방법이긴 한데 혹시라도 정차중에 외력이 가해져서 움직였을 경우 그 힘의 부담을 P걸쇠가 아니라 변속기의 1단기어 톱니들이 직접 받게된다는 위험은 있다는 거...
댓글 0개 ▲
2014-12-04 17:06:24추천 1
사이드를 먼저할때 변속레버가 d에요? n이에요?
ㅇ....엔이겠죠?
댓글 0개 ▲
2014-12-04 17:30:10추천 14
십오년 운전했는데...
혼란에 빠졌다.....
댓글 0개 ▲
2014-12-04 17:33:18추천 0
아하!
댓글 0개 ▲
2014-12-04 17:35:46추천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자동변속기 차량 몰아본지 10년이 다 되어가는데도 모르고 있었어요.
댓글 0개 ▲
2014-12-04 17:58:25추천 3
태클은 아닌데 제가 알고 있는 상식으로는 풋브래이크 유지시에는 파킹을 먼저 하던 핸드브레이크를 이용 하던 큰 관계 없는 걸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
댓글 0개 ▲
2014-12-04 18:12:36추천 1
D 주행도중 풋브레이크 밟고 n후 사이드 p인가요??
댓글 0개 ▲
2014-12-04 18:15:03추천 2
11//경사로에서 풋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살짝 움직이면 파킹폴에 걸릴때까지 살짝 움직일수도 있어서 그 움직임이 순간적으로 파킹폴에 부하를 가합니다.
댓글 0개 ▲
2014-12-04 18:39:32추천 1
시카고&대선// 풋브레이크를 단단히 밟고 있다면 D이든 N이든 차이가 없습니다.
초망//파킹폴 걸쇠에도 유격이 있긴 있으니 큰 차이가 없긴 한데, 고정부품 간에 약간의 움직임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죠
댓글 0개 ▲
2014-12-04 19:00:31추천 2
저위 댓글 정리대로라면 제차는d상태에서 사이드 채우고 풋브레이크 놓으면 앞으로 가서요...
댓글 0개 ▲
2014-12-04 19:23:19추천 0
옛날에 차가 완전정차도 안혔을때 p에놨다가 기어가 갈리는듯한 소리에 겁내 놀라서 구조가 궁금했었는데..
지금은 n에 둬서 완전정지 확인후 풋브레이크를 다시밟으며 밀리는가 확인해보고 사이드 풀로땡기고 최후에 p에 놓는 버릇을 들였죠
근데확실히 이거보니까 기어가 걱정됨..
댓글 0개 ▲
2014-12-04 19:54:45추천 10
비슷한예인데,
요새 주차장에 멈춤턱이 있습니다.
보통 여기에 닿으면 풋브레이크 밟고
P 넣고, 사이드 채우는데,

스탑퍼에 닿으면 기어 중립, 풋브레이크 풀고
차가 스토퍼에서 떨어지면 파킹넣고 사이드 당기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언덕길에서 순서를 안지키셨다고 해도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저기 저 기어 이빨들 형상도 대충만드는게 아니라, 풀림과 잠김 차이를 고려해서 만듭니다..
쉽게 이빨 안나갑니다..
퉁 튕겨나오는 충격은 전해지지만 몇번 정도로는 파손안되도록 계산합니다.

실제 설계치는 아마 시속 10km 던가.. 그정도에서 강제로 채워지는걸 고려합니다..
물론 설계는 그리했어도.. 설계대로 다되면 세상에 교통사고 사망자 없겠죠..ㅎㅎ
댓글 0개 ▲
2014-12-04 20:17:27추천 8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humor&no=176236&ismobile

작년?에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던 영상인데 언덕길에서 P(주차)로 놓고 사이드 안땡겨둔 차량에서 뚝 하는 소리와 함께 차가 미친듯이 굴러와서 대형사고 터질뻔 했었죠. 나중에는 쉬프트락이 제대로 안걸려있었다고 나오긴 했는데 저 동영상 직접 본 사람들 모두가 parking pawl 손상되고 광란의 질주를 한거같다고 추정했었죠. 무언가 부러지는듯한 따악 하는 그 소름끼치는 소리를 정말 들으셔야 하는데....아무래도 그때만 신나게 인터넷 여기저기 뿌려대다가 합의하고 영상 내렸나보네요.

절대 언덕길에서 P만 해두지 마세요. 반드시 주차브레이크 쓰셔야합니다;;
댓글 0개 ▲
베오베 게시판으로 복사되었습니다!!!
2014-12-04 21:52:22추천 0
그럼 다시 주행할땐 어찌하나요?

p 빼고  사이드 풀고  하는  역순대로 하면 되나여?
댓글 0개 ▲
2014-12-04 21:54:59추천 1
나두 항상 사이드 넣고 p놨는데 그게 맞는거였구만 ㅋㅋ
댓글 0개 ▲
2014-12-04 21:57:59추천 0
근데 사이드브레이크 올린상태서 주행했는데 어떻게 되나요
댓글 0개 ▲
2014-12-04 22:05:52추천 6
급경사에서도 파킹에만 의존했는데 뺄때 텅 하더라구요... 풋 사이드라 거의 안 썻는데 큰일날뻔했네요.
좋은 정보 감사함니다
댓글 0개 ▲
2014-12-04 22:06:00추천 0
근데 오토에서 브레이크 안밟아도 변속레버 움직일 수 있어요?
댓글 0개 ▲
2014-12-04 22:13:37추천 0
면허학원에서 안알려준거 같은데 ㅡㅡ;
일단 까먹을까봐 스크랩 해놨어용
댓글 0개 ▲
2014-12-04 22:15:56추천 0
차 처음 운전할때 풋 브레이크라 그냥 사이드 채운채로 운전했었죠... 경고음 계속나도 풋 브레이크라 사이드
없는줄 알고.... 결국 사이드 고장납니다.
그후로 몇년간 고장난 채로 다녔죠...
댓글 0개 ▲
2014-12-04 22:16:50추천 2/4
벤츠나 도요타라면 파킹을 먼저하고 사이드를 당겨도 폐차할때까지 별반 차이를 못느끼겠지만 횬다이를 탄다면 반드시 사이드부터 당기고 파킹을 해야겠지요 폐차하기전에 기아를 손보게 될테니까요
댓글 0개 ▲
2014-12-04 22:17:02추천 0/3
이분 말씀이 틀린 건 아닌데
이대로 할려면 R을 넣을때 마다
그전에 사이드브레이크를 체결해야 합니다
의미없는 원칙인것 같아요
댓글 0개 ▲
2014-12-04 22:19:10추천 0
요새 브레이크가 오락가락 하던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오늘도 스크랩 목록은 늘어만 가네요 ㅎㅎ
댓글 0개 ▲
2014-12-04 22:20:26추천 0
저같은 소심쟁이는 경사로에 주차할때 돌맹이 하나구해와 바퀴뒤에끼어놓구 간답니다.
댓글 0개 ▲
2014-12-04 22:20:44추천 0
수동이라 P가 없습니다. ㅠㅠ
댓글 0개 ▲
2014-12-04 22:21:50추천 0
사이드 풋브떼고 파킹
댓글 0개 ▲
[본인삭제]씁씁후후
2014-12-04 22:26:43추천 1
댓글 0개 ▲
2014-12-04 22:28:16추천 0
.
댓글 0개 ▲
2014-12-04 22:29:58추천 0/6
현직 정지 기사인대... 몰랏던 이론을 알암숩니다..
다마누실사용즁 자동차는... 파킹기어보다는
변속관련된 부품이ㅜ먼저 아작납니다...
아무리 신경 써주어도요....

파킹이 작살나서 파킹 채웠는대ㅜ차가 굴러갓다는 이야기는 못둘었어요.


변속이 무거눠요 팅겨요 암되요는 들어봣죠...
댓글 0개 ▲
2014-12-04 22:30:36추천 0
헐...... 이거 진짠가요?

사이드 후 파킹?
댓글 0개 ▲
2014-12-04 22:32:30추천 0
군대에서도 파킹하고 사이드 당겼는데
이거슨 혁명인가!!
댓글 0개 ▲
2014-12-04 22:39:41추천 2
영국에서 운전배우고 면허 딴 사람인데요, 전 당연히 풋브레이크 밟은 상태에서 사이드브레이크 올리고 P기어로 바꾸는 걸로 알았는데 한국에선 안그런분들이 더 많다니 놀랬네요. @ .@
댓글 0개 ▲
2014-12-04 22:44:06추천 1
그냥 하던대로 해야겠네요 ㅋ

이제와서 바꾸기엔 너무 늦은감이
댓글 0개 ▲
[본인삭제]11진짜못생김
2014-12-04 22:52:15추천 0
댓글 0개 ▲
2014-12-04 22:53:29추천 0
전 평지 주차할때 p로 주차하고 사이드는 그냥 안잡습니다 사계절 내내요
경사로에 주차시엔 사이드 잡고요
상관없겠죠
댓글 0개 ▲
[본인삭제]시르코R-line
2014-12-04 23:11:46추천 18/5
댓글 0개 ▲
2014-12-04 23:13:36추천 0
저장용
댓글 0개 ▲
pvp
2014-12-04 23:26:22추천 17
11  댓글 읽고 보니  뭘 먼저 해야될지 또 헷갈림...
댓글 0개 ▲
2014-12-04 23:41:21추천 2
예전차 몰때는 면허딸때 배운대로 p에넣고 상다 채웠는데
프리우스로 바꾸고 매뉴얼에 사이드먼저 넣고 p로 바꾸라고 되어있어서
매뉴얼 본 이후로 쭈욱 사이드 먼저 넣고 p로 바꿨는데
이게 맞다고 생각한 이유가 예전 p넣고 사이드 넣은채로 브래이크에
발을떼면 차가 한번 덜컹거리며 고정이 되었었는데
사이드먼저 넣고 p로 바꾸면 덜컹거림이 전혀없이 바로 고정되는걸 보고 이게 맞구나 싶었음..
특히 언덕에 주차할땐 p로 먼저넣고 사이드 채웠을때 덜컹거림이 타이트한 주차시엔 꽤 신경쓰였는대 사이드 먼저 채운뒤로는 문제없음.
댓글 0개 ▲
2014-12-04 23:56:05추천 0
첫번째 순서 이전에 변속레버를 n으로 놓고 있어야 되는거 아닌가요???
댓글 0개 ▲
2014-12-04 23:58:01추천 0
20년전 면허학원 강사님이 V 기억하라고. 시동  그다음 사이드 그다음 기어봉. 이게 그당시 차는 구조가 그랫더랫죠. ㅎㅎ 시동끌때는 V를 역순으로 하라고 배웠어요.
댓글 0개 ▲
2014-12-05 00:00:11추천 0
11 n으로 놓는건 아무 의미 없어용

근데 사이드는 평소 안쓰던 분들은 잘 쓰셔야 합니다.
평소 안쓰던걸 채워놓게 되면 사이드 걸어둔채 D에 놓고 엑셀 밟는 경험을 여러번 하게 됩니다.
그럼 점점 사이드가 맛이 가서 나중엔 사이드가 걸려 있어도 스무스 하게 달리는 차를 보게 되십니다
댓글 0개 ▲
2014-12-05 00:20:56추천 0
보통은 사이드브레이크를 아끼려고 안당기는데 사이드를 쭉쭉 당겨야겠네요..ㅡㅡ;;
댓글 0개 ▲
2014-12-05 00:24:17추천 0
어이쿠 이렇게 관심 많이 가져주실 줄이야...;;

대-선//
저위 댓글 정리대로라면 제차는d상태에서 사이드 채우고 풋브레이크 놓으면 앞으로 가서요...
>>브레이크를 놓을 때 힘이 덜 가해지려면 n으로 하는 게 맞겠네요. 하지만 가만히 놓는다고 해서 사이드가 제역할을 못하고 앞으로 간다면 사이드브레이크가 헐거워진 상태인 게 아닐까요? 평소에 너무 세게 올리시거나 아니면 노후된 게 아닐지요...

파워풀정어리//이분 말씀이 틀린 건 아닌데
이대로 할려면 R을 넣을때 마다
그전에 사이드브레이크를 체결해야 합니다
의미없는 원칙인것 같아요
>>R을 넣을 때는 파킹폴(걸쇠) 움직임이 무관하지 않나요? 왜 그렇게 생각하셨는지 의아하네요. 후진과는 상관없습니다.
댓글 0개 ▲
2014-12-05 00:25:26추천 0
경사로 P에서 뺄때 Clunk noise 안나게 하려면
풋브레이크 떼기전에 사이드 채우면 됩니다.
사이드 먼저냐 P 먼저냐는 관계 없습니다.
그리고 P기어는 다른기어와 달리 그림처럼 단순한 톱니에 걸쇠이고 고장날 일이 없습니다.
편하게 쓰면 되고 굳이 사이드 채우고 P 이런거 필요럾어요
전세계 수십억대 자동차 각 유저들이 지 꼴리는대로 사용하는데
P기어 망가진 사례가 얼마나될까요?
댓글 0개 ▲
[본인삭제]mamamoo
2014-12-05 00:30:52추천 0
댓글 0개 ▲
2014-12-05 00:32:00추천 2
시르코R-line//
오토차량에서 싸이드브레이크(핸드브레이크)는 어디까지나 보조 수단입니다
또 핸드브레이크 와이어는 소모품이고요
그 와이어는 운전자의 이용 습관과 계절적 요인으로 늘어나기도 해서 주기적으로 점검 하고 교체합니다
>>핸드브레이크 와이어가 소모품이고 상황에 따라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씀은 맞는 말씀이지만 그 소모품으로 이루어진 제동장치만으로 차를 잡고 있을 수 있어야 하고 그럴 수 있도록 관리를 해 줘야 하는 것 아닐까요?

우리가 차를 소유하는 것은 수리비가 적게 들기 위한것이 아니라 안전하고 편하게 쓰기 위해서입니다
>>잘못된 조작으로 차량의 부품에 손상이 가도록 하는 일이 없어야 안전하고 편하게 쓸 수 있습니다.
가장 안전한 주차방법은 정차후 기어P, 그다음 싸이드 브레이크,시동정지 순입니다
>>사이드브레이크를 기어P 앞 순서로 놓는다고 해서 딱히 덜 안전해지지도 않습니다. '직관적으로 익숙한/편한 방법'이라면 몰라도 왜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대비되는지 이해할 수 없네요. 물론 그렇게 해도 안전합니다만, 내리막/오르막 경사가 심할 때는 사이드브레이크를 채운 후에 약간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고 그 움직임이 걸쇠가 걸린 상태에서 발생한다면 걸쇠에 약간의 부담이 가해지기 때문에 첫 댓글에 굳이 저렇게 쓴 것입니다. 걸쇠에 부담이 가장 없는 방법이라는 뜻에서 쓴 거지 이렇게 하지 않으면 사고난다는 뜻에서 쓴 건 아닙니다.

본문 내용이 차량에 부담이 안가는 방법이 맞을진 몰라도 안전한 방법은 아닌듯합니다
>>안전하지 않을 이유가 있나요? 헷갈리기 때문에? 잘 모르겠네요.
댓글 0개 ▲
2014-12-05 00:34:21추천 2
정말 내차는 소중해 주의하면
경사로 주차시 Parking pawl 과 기어가 부딪히지 않도록
1 브래끼 밟아 정지
2 사이드채움
3 풋브레이크해제 (차가 움찔함)
4 P

1243은 의미없어요
1243 이나 1423이나 차이 없구요
댓글 0개 ▲
2014-12-05 00:35:29추천 0
저는 항상 풋브레이크 밟은 상태에서 P로 놓고,
풋브레이크에서 발 떼고.

평지면 그냥 시동끄고 내리고,
조금이라도 경사 있으면 사이드 올렸는데 지금껏 이상은 없었네요.
댓글 0개 ▲
[본인삭제]cowboy
2014-12-05 00:40:55추천 0
댓글 0개 ▲
2014-12-05 00:52:39추천 2
대부분의 독자분들께 드리는 말씀 // 첫 댓글에 상세하게 순서를 적어놓은 건 반드시 이렇게 해야만 한다고 주장하려는 게 아니라, 본문에 P 기능의 구조적 원리를 설명해놨으니 그 지식을 응용해서 생각해보면 '걸쇠에 부담이 가장 안 가는 방법은 이렇다'는 것입니다.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할 줄 알고 적어놓은 첫 댓글이 마치 그동안 몰라왔던 필수적인 안전수칙으로 인식돼서 여러 유저분들이 충격을 받으셨다니 제가 죄송할 따름입니다ㅠㅠ 첫 댓글의 순서대로 하면 변속기와 걸쇠에 가장 부담이 안 가는 게 맞지만, 굳이 꼭 P에 넣기 전에 N 상태에서 사이드를 채워야만 하고 사이드를 나중에 채우면 안 된다는 건 아닙니다.(P에 넣고 나서 풋브레이크를 떼 버리고 사이드를 넣는 건 차에 나쁩니다)

"이직"님이 정리해주셨듯//
[[그리고 언덕길에서 순서를 안지키셨다고 해도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저기 저 기어 이빨들 형상도 대충만드는게 아니라, 풀림과 잠김 차이를 고려해서 만듭니다..
쉽게 이빨 안나갑니다..
퉁 튕겨나오는 충격은 전해지지만 몇번 정도로는 파손안되도록 계산합니다.
실제 설계치는 아마 시속 10km 던가.. 그정도에서 강제로 채워지는걸 고려합니다..
물론 설계는 그리했어도.. 설계대로 다되면 세상에 교통사고 사망자 없겠죠..ㅎㅎ]]

...경사로에서 사이드 채운 후 사이드브레이크 체인의 유격 때문에 살짝 움직이는 현상이 있는데, 그 정도의 움직임으로 변속기와 파킹폴(걸쇠)의 결합이 쉽게 손상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경사로 주차시 P에 먼저 놓고 나서 사이드를 채우고 풋브레이크를 떼면 살짝 움직이니 걸쇠에 부담이 살짝 가해지긴 하겠죠. 그 정도의 부담으로 큰일이 나느냐 하면 제 생각에도 그건 아닌 것 같네요.

제가 말씀드린 방식대로 조작할 때 장점을 굳이 꼽자면, 만약 사이드브레이크가 충분히 당겨지지 못했거나 체인이 낡아서 제 역할을 못할 때 그걸 모르고 지나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 정도입니다.

본문에서 충분히 강조하지 못한 것 같은데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주차시 사이드 없이 P기능만으로 충분하며, 파킹폴에 부하가 크게 가해져서 텅 소리나며 빠지더라도 별 문제 없다"는 댓글을 반박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P기능을 쓸 때 내가 변속기의 톱니에 걸쇠를 걸고 있다는 인식은 하고, 구조를 알고 사용하자는 취지입니다.

첫 댓글에
1) 풋브레이크 유지
2) 사이드브레이크 당김
3) 풋브레이크 해제
4) 변속레버를 p에 위치
5) 시동 끔
순서로 써놨는데, 예를 들어

1) 풋브레이크 유지
4) 변속레버를 p에 위치
2) 사이드브레이크 당김
3) 풋브레이크 해제
5) 시동 끔
순서로 진행해도 별 무리는 없습니다. 다만

1) 풋브레이크 유지
4) 변속레버를 p에 위치
3) 풋브레이크 해제 (!)
2) 사이드브레이크 당김 (혹은 사이드 생략)
5) 시동 끔
순서로 진행하면 경사로에선 걸쇠와 톱니에 부담이 크게 가해지고 이런 습관이 반복되면 변속기 부품에 손상이 올 수 있다는 겁니다.

맨 마지막 부분만 꼭 기억해 주세요.
댓글 0개 ▲
2014-12-05 00:53:12추천 0
면사랑님 제가 하고픈 말을 미리 해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댓글 0개 ▲
2014-12-05 01:09:02추천 0
koko // 현대고 기아고 벤츠고 소용없다니까 거 참.....이게 국산차 한정인줄 아세요? 저기 위에 제가 올려둔 링크글 차량이 뭔줄은 아시려나;;
님이 신봉하는 벤츠미션 쓴 코란도투리스모고 쟤가 파킹기어 파손으로 경사로에서 굴러내려와 일가족 들어있던 텐트 덮쳤다니까 뭔....
에휴. 제발 상식적으로 생각합시다. 쩜영 중형세단만 해도 공차중량이 1.4톤 근처에서 노는데 RV나 SUV는 2톤 가뿐히 넘죠?
그걸 미션안의 파킹기어랑 parking pawl 두개로 지탱하고 있는데 저게 언제 고장날지 누구도 몰라요.

면사랑// 저기 위에 제 댓글에 있는 링크 보이시죠? 2013년발 사고입니다. 이로서 P기어와 parking pawl 파손으로 인해 경사로 굴러 떨어지는게 아예 불가능하지 않다는걸 알게되었는데 대체 그 누가 절대적인 안전을 담보할수 있을까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2&aid=0002353041
기사찾아보니까 한두건이 아니라서 공동대응까지 했었네요. 제가 처음 건 링크도 맨 처음에는 딱하는 뭔가 부러지는 큰 소리가 들리더니 미친듯이 굴러 내려온걸 보면 parking pawl 파손이 유력하다는 평이었으나 사업소 입고한 이후 동영상과 관련글 싹 지워버리더니 이후 애들이 쉬프트락 풀어서 미션조작한거라고 기사떴었죠.

근데 이런거 한두건입니까? 차량 자체 결함이나 구조적 문제에 따른 사고를 신차+@로 보상해줄테니 기사 내리고 글 내리라고 하는게 한두번이 아니잖아요. 사이드 먼저 채우는게 뭐 그렇게 어려운것도 아니고 문제가 있는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파킹 안놓는것도 아닌데 별로 어렵지 않은거니 그렇게 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댓글 0개 ▲
2014-12-05 01:30:44추천 0
채우는 순서 말고 풀때는 어떻게 해야하죠??
풋-P-사이드 이 순서인가요? 풀때 가해지는 충격도 있을 것 같아서..
댓글 0개 ▲
2014-12-05 01:33:12추천 0
두개다 동시에 하는 나는 뭐지..??;;

1) 풋브레이크 유지
2) 사이드브레이크 당김 과 동시에 4) 변속레버를 p에 위치
3) 풋브레이크 해제
5) 시동 끔
댓글 0개 ▲
2014-12-05 01:43:08추천 0
헐 사이드가 먼저였다니...
댓글 0개 ▲
2014-12-05 02:45:32추천 0
국수공장사장//풀 때는 풋브레이크 유지한 채로 P빼고 사이드 풀고 순서인데 역시 풋브레이크 잘 밟고 있다면 사이드 먼저 풀고 P 빼도 별 차이는 없습니다

나란상남자//사이드브레이크랑 변속레버가 반대쪽에 있는 차인가요? 아니면 오른손에 기생수라도;;
댓글 0개 ▲
PX
2014-12-05 02:50:59추천 0
와... 난 스틱 쓸래
댓글 0개 ▲
2014-12-05 02:53:00추천 0
사이드를 밟는 형태의 차도있어요

구sm520도 한 예
댓글 0개 ▲
2014-12-05 03:02:58추천 0
벤츠e클 엘레강스도 좌측에 밟는 형태의 사이드
댓글 0개 ▲
[본인삭제]도망쳐라
2014-12-05 08:21:20추천 0
댓글 0개 ▲
2014-12-05 09:20:56추천 0
전자식 사이드는 P로가면서 R을 거쳐서인지 사이드를 먼저 채워도 저절로 사이드가 풀리던데요 이런경우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댓글 0개 ▲
2014-12-05 09:23:54추천 0
평지에서도 꼭 저렇게 해야하는지 알려주세요!!!!!!!!
댓글 0개 ▲
2014-12-05 10:22:54추천 0
구얀//사이드를 자동조작해서 그렇게 하도록 설계된 차도 있었군요...그런 차는 경사로에서 부담 가해지는 것까지 생각해서 만들었겠죠? 평소 쓰던대로 쓰시면 될 거 같네요

매초풍//평지에서는 사이드 먼저든 P 먼저든 걸쇠에 딱히 부담 가해지는 일 없습니다. 경사로에서 살짝 움직이는 현상 때문에 말씀드린 거에요.
댓글 0개 ▲
2014-12-05 11:06:03추천 1
구얀//저는 작성자님과 생각이 약간 다른데요(결론은 같습니다만..) 경사로에 부담 가해지는것까지 생각해서 만들었다는건 아닌것같아요. 여기서 알아야될것은 P모드와 사이드브레이크의 순서가 아니라 왜 사이드브레이크를 먼저 해야되는가 이잖아요? 사이드브레이크를 먼저 한다는것은 차가 이동하는걸 막은 다음 P모드로 가야한다는것 이기때문에 경사로라고 하더라도 브레이크 상태에서 P모드로 가시고 사이드브레이크를 하면 되는거죠
댓글 0개 ▲
2014-12-05 11:34:51추천 0
수동기어 쓰고있어서 경사로에선 항상 기어를 넣는답니다. ㅋ
댓글 0개 ▲
2014-12-05 12:00:29추천 0
글쓴님에게 답글 남깁니다
사이드체결후R이라는건 파킹 폴 보다 충격에
약한 부품은 당연히 후진기어(유성기어)니까
파킹폴 보호라는 이유로 윗방법대로 하는 건 사실상
의미가 없다는 말씀을 드린겁니다
어차피 반대 먹을거지만
차량정지후 조작을 한다면 어느것이나 차이가 없는것인데
읽는 분들께 과한 의미를 부여하는것 같아 남겼습니다
댓글 0개 ▲
2014-12-05 12:35:27추천 0
저는 경사로에서 파킹 기어 넣고 사이드 올리면 차가 조금 밀리면서

다시 드라이브 기어 넣을때 턱 하는 소리가 나는게.. 뭔가 걸려서 고장날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항상 경사로에서 기어 중립 후 사이드 올리고 브레이크를 뗀 후 차가 안밀리면 파킹 기어 넣음..

뭐 평소에 평지에서는 기어 중립 후 사이드만 올려 놓음..
댓글 0개 ▲
2014-12-05 12:41:31추천 1
제가 하고있는 방법이 맞는 방법이었군요 ^^

간혹 카센터나, 타이어교체하러 가서 직원들이 차 움직이고 파킹 팍 놓고 사이드 안채우고 내리는거보면서 극혐 ㅡㅡ; 짜증. 이빠이 납니다...
댓글 0개 ▲
2014-12-05 13:19:58추천 0
파워풀정어리//후진기어를 넣기 전에 완전히 정지하고 풋브레이크 유지하면서 그냥 후진기어 넣으면 '단단한 부품과 부품이 서로 고정된 상태에서 움직임에 의한 외력' 같은 건 전혀 발생하지 않는데요? 사이드가 왜 필요한지 여전히 이해할 수 없습니다. 파킹폴보다 유성기어 부품이 충격에 약하다는 말씀은 맞지만, 그 충격(또는 부하)이라는 게 경사로에서 브레이크 없이 파킹폴만 채웠을 때 발생하는 거지, 후진을 시작하는 상황에선 발생하지 않습니다.
댓글 0개 ▲
2014-12-05 17:57:18추천 1
파워풀정어리 // 파킹폴은 락이 걸려서 경사로등에서 P에만 두고 주차하면 움직이지 않지만 대신 파킹폴에 모든 힘이 다 가해져서 파손되는거죠?
근데 R은 다릅니다. 차 머리가 내리막에 속하는 경사로라서 앞으로 굴러가려고 하면 중립으로 기어가 빠져버리죠. (미션프로그램 자체가 그렇게 되어있습니다. 앞으로 밀리는 상태에서 악셀 살짝 밟아보세요. 기어 다시 맞물리면서 뒤로갑니다.)

그래서 완전정차 상태에서 브레이크 발 떼고 악셀링해서 후진하는건 문제가 없다는겁니다. 기어에 무리가 갈 정도로 앞으로 굴러버리면 미션보호를 위해 TCU가 기어를 빼버리니까요.
댓글 0개 ▲
2014-12-06 04:17:31추천 0
그런거 안따져도 전세계 사람들 둘중 어느거 하나는 먼저함.
그런다고 차가 부서지거나 팔때까지 이상 생기던가 안합니다.
그게 문제가 되었다면 다 중고로 팔기전에 작살이 나고 문제가 생겻어야죠
편한데로 하시면 됨.
댓글 0개 ▲
2014-12-06 20:53:47추천 1
1 암요 타이밍벨트 안갈고 잘타는 사람도 있고 중간에 늘어지거나 해서 털컥털컥 소리나는 사람도 있고 타이밍벨트 끊어져서 엔진스왑 하는 경우도 있고 다 다르죠. 사이드 올려놓고 몇키로씩 달리다가 발견해서 탄내나고 케이블 늘어져서 제대로 기능 못하는 사이드 채웠다가 언덕길 구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몇키로 달리고서도 정상작동하는 사람도 있고 그렇잖아요?
어떤 여사님은 출고타이어로 6만인가 뛰어서 사계절용타이어를 레이싱용 타이어마냥 완전평면으로 만들고도 잘만 타고 다녔는데 그렇게 따지면 다 케바케죠.

벤츠 미션도 문제가 생기는 판에 어떤 미션이라고 안전할거다 주변사람들 다 그렇게 타고 다녔는데도 괜찮더라 하는것도 이해를 못하는건 아닌데 전 제차라면 그렇게 안타고 다니렵니다. 누구든 목숨은 하나고 중형세단도 1톤 중반근처 무게를 갖는 철덩어리인데 저기 위 링크처럼 굴러가서 어디 집이라도 덮쳐서 사람 상할까봐 겁나서요.
댓글 0개 ▲
2014-12-06 22:19:17추천 1
Radiance//
링크한 쌍용리콜 기사는 이 문제가 아니고
쉬프트락이 브레이크 안밟아도 강제로 해바 당기면 풀린다는 것임

P를 먼저하던 사이드를 먼저하던 상관 없다는데
굳이 사이드 먼저 안채우면 큰일나는 것처럼 호도하지 말기 바랍니다
댓글 0개 ▲
2014-12-11 16:58:16추천 0
스크랩
댓글 0개 ▲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