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이 땅의 최대적폐는 천안함사건을 조작한 軍이다.
게시물ID : sisa_98700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청량산
추천 : 4
조회수 : 696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7/10/01 20:47:03

이 땅의 최대적폐는 軍이다...


천안함 사고 다음날인 3월27일 새벽 조선일보등은 미처 구조되지 못한 승조원 중 일부 사망자의 시신을 수습,

가까운 병원으로 이송, 안치했다는 해군관계자의 말을 전했었다. 


이들 사망자들은 나중 4월초부터 시작된 함미 수색과정에서 발견된 사망자들과는 다른 승조원 시신들로,  

나중에 산화자로 명명된, 찾지못했다는 실종자 6명이 바로 그들이다. 


그들은 지금 아마 이름없는 묘지에 묻혀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국군은 바로 이런 것들이다...



[해군 "침몰 초계함 승무원 중 사망자 있어" 

구조 승무원 58명 대부분 백령.대청 군부대서 치료 

2010.03.27.02.12]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726535&plink=OLDURL&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해군 "침몰 초계함 승무원 중 사망자 있어"구조 

승무원 58명 대부분 백령.대청 군부대서 치료


2010.03.27 02:12 


26일 오후 9시45분께 서해 백령도 서남방 해역에서 침몰된 해군 초계함에서 구조된 승무원 58명 중 대부분이 백령.대청 군부대의 의무중대로 옮겨져 치료 중이다. 


해군과 해경 등에 따르면 이들 가운데 초기에 구조된 7명은 인천시 옹진군 대청 보건지소로 이송됐으나 이 중 부상 정도가 심한 2명은 헬기를 이용해 국군수도통합 병원으로 이송 중이다. 


한편, 현지의 한 주민은 "승무원 중 사망자가 있다는 소리를 들었다"고 말했으며, 해군 관계자도 미처 구조되지 못한 승무원 중 일부 사망자의 시신을 수습해 인근 병원으로 이송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군은 27일 오전 1시 현재 초계함이 완전히 침몰했다고 밝혀, 사망자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해군과 해경은 통상 영상 8∼10도의 수온에서 사람이 물에 빠진 채 3시간이 지나면 생존 가능성이 적다고 보고 있으나, 단 한명이라도 더 구조하기 위해 밤샘 구조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726535&plink=OLDURL&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0/03/27/0200000000AKR20100327013300065.HTML

http://news.khan.co.kr/kh_news/cp_art_view.html?artid=20100327021659A&code=950100


천안함 조작이 밝혀질 날이 가까워온다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277743&s_no=277743&kind=member&page=1&member_kind=bestofbest&mn=511384




'軍 댓글공작' TF "靑 보고문서 462건 실체···첫 확인" 

 2017-10-01 12:02

軍사이버사댓글TF···청와대 보고문서 462건 복원
댓글수당 5만원→25만원···국정원 관여여부 조사

【서울=뉴시스】김성진 기자 = 국방부 '사이버사령부 댓글사건 재조사TF'는 1일 530심리전단 '케이직스(KJCCS)' 복원을 통해 청와대 국방비서관실, 경호상황실, 국가위기상황센터 등에 발송된 문서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청와대 보고와 관련된 진술은 있었지만 보고서 실체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케이직스'는 각군의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전산시스템으로 대외 보안이 필요한 비밀내용을 송·수신하거나 저장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조사TF는 이날 중간 조사결과 발표에서 "이번에 발견된 청와대 보고 문서는 462건으로, 2011년 1월8일부터 2012년 11월15일까지 530단 케이직스를 통해 청와대 국방비서관실, 경호상황실, 국가위기상황센터에 발송된 문서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재조사TF는 "이번 조사 진행과정에서 사이버사령부(530단)에서 청와대로 케이직스와 국방망을 이용해 530단에서 작성한 보고서를 보고했다는 진술이 있었다"며 "이러한 진술을 토대로 지난 9월21일 케이직스 서버를 복원해 청와대로 보고한 문서를 다수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TF는 이어 "발송된 보고서는 대부분 일일 국내외 사이버 동향보고서로, 사이버방호작전·인터넷·SNS 여론 동향 등을 정리한 보고서다. 이 보고서에는 유명인들에 대한 SNS동향이 일부 포함돼 있다"며 "이외에도 4.27 재보궐선거 당선 결과와 광우병 촛불시위 관련 동향 보고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말했다.


또 "530단에서 청와대(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경호실)로 보낸 국방망(인트라넷) 메일 목록을 확보해 확인한 결과 발송 메일이 다수 발견됐다"며 "메일 내용 확인을 위해서 9월 21일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국방망에 대해서 압수수색을 하여 현재 분석 중에 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복원된 문서에 대해 "대부분이 일일 국내외 사이버 동향보고서가 대부분이고 1장 정도가 댓글결과 보고서"라며 "'예전에 댓글이 몇 퍼센트(%)였는데 우리(사이버사령부)가 대응했더니 몇 퍼센트로 바뀌었다'라고 표시돼 있는 댓글작전 결과를 내포하는 보고서"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보고서가) 복원이 된 것이지 이 기간에 케이직스로만 보냈다는 것은 아니다"며 "삭제된 케이직스를 복원해서 보니 이 기간 동안 이 문서(댓글결과 보고서)가 복원돼서 나왔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TF는 "당시 사이버사령부 530단 근무자에게만 지급되었던 자가대외활동비(댓글수당)는 2010년 3만원(신설), 2011년 5만원, 2012년 25만원으로 인상됐다"며 "자가대외활동비는 댓글 횟수 등을 기준으로 산출됐고 댓글활동을 하지 않을 경우 삭감되는 수당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자가대외활동비는 국방부에 편성된 정보예산이나, 국정원에서 조정·승인하고 국정원에서 감사하는 예산"이라며 "2012년도에 증액된 경위(5만원→25만원)와 국정원 관여 여부는 추가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TF는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 심리전 대응결과 보고 받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과거 수사기록에서 530단 상황일지와 대응결과 보고서로 추정되는 문서들이 편철돼 있음을 발견했다"며 "당시 수사과정에서도 (김관진) 장관에게 보고했다는 진술이 다수 있었음을 확인했다. 관련자들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TF는 김 전 장관이 서명한 '2012년 사이버 심리전 작전지침'과 사이버사 심리전단 비밀문서, 2013년 2월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 관련 지지 댓글작업(3000여 건), 고(故) 김석중씨 PC에 저장돼 있는 댓글 작업문서와 사망의혹, '사이버사령부 관련 BH 협조 회의 결과', '이미지·합성비방물 제작' 등과 관련해서도 내용을 확인 중에 있거나 조사 중에 있다고 밝혔다.

TF 관계자는 "이번에 확보된 댓글 보고서 등 자료는 민간 검찰 요청시 제공할 예정"이라며 "민간 검찰과 원활한 공조 하에 수사를 계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3&aid=0008209342&date=20171001&type=1&rankingSeq=7&rankingSectionId=100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