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위안부건립사업 왜 안되었는지 이해 안되시나요?
게시물ID : sisa_58505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sbskorea
추천 : 0
조회수 : 332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5/04/09 18:58:08
전에 글남겼는데 오해가 생겨 비공 많이
먹었네요.

 저는 여성부가 다른부서를 하는일을 하기때문에
 폐지해야한다는입장입니다.  

  다시 한번더 조사해보고 이야기 드리는데
 이사회와
이명박정부 예산축소로 안되었던것입니다

 
 
대체 예산축소 됐다는데 이것만큼 예산은 주고
 이상한데 쓰는데는 없애야죠. 왜
조사를 안한건지... 예산을 어디다 쓰는지
투명성 공개해주면 좋을텐데 안그런가요?

 
  그리고 계속 말하는

   장하진 전 여성부 장관은 누구시냐면 
 노무현 전대통령의
최장수 제3대여성부장관 ,초대 여성부장관을
역임하였습니다.

 그리고 장하진 여성부 전 장관님 다음
누구신지 아세요?
2008년
 바로 변도윤 전 여성부 장관입니다
 생쥐를 튀겨먹으면 맛있다라는 말을
해서논란이 있었죠  그리고
군가산점 명백한 위반이라고 발언한 인물입니다.
이런데 과연 비교 될까요??

 
일단   제대로된  뉴스  참조
【서울=뉴시스】김동현 기자 = 지난 2007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참여정부에서 추진한 위안부 기념관 건립사업이 당시 독립기념관 이사회의 반대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6일 독립기념관측에서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독립기념관 이사회는 지난 2007년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 건립 사업과 관련해 별도의 전시관을 조성에 반대한다고 의결했다.   참여정부 마지막 여성가족부 수장인 장하진 장관은 당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념관 건립 사업과 관련해 8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약 1650㎥(약 500평)의 단층 건물을 신축한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독립기념관 이사회의 이 같은 결정으로 위안부 피해자 기념관 건립 사업은 대폭 변경·축소됐다.   사업 주최인 여성부는 2008년 이명박 정부로 정권이 바뀌자 예산 확보 등의 이유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토로했고 결국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 신축 건립사업은 무산됐다.   이후 여성부는 당초 계획한 위안부 피해자 기념관의 10분의 1 정도로 규모로 독립기념관 전시관 내 일본군 위안부 관련 전시물을 확충·보강했다.   당시 이사회 회의록을 살펴보면 "여성위안부는 희생자이고 독립운동의 주체가 아니다", "위안부회관은 안된다. 여성독립운동관을 짓는 문제는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성독립운동과 피해시설과는 구분돼야 한다"는 등의 의견이 나온 것으로 조사돼 향후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조 의원은 "위안부 할머니들은 일본의 역사왜곡을 규탄하며 일본 곳곳을 다니셨고, 매주 수요일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서 수요 집회를 열어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으려고 노력하고 계신다"며 "여성가족부 측에서 예산이 없는 것도 아닌데 계획을 무산시킨 것은 위안부 문제를 축소하거나 덮어두려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우리의 무관심 속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이제 겨우 59분 남아 계신다. 이제라도 정부가 나서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역사를 제대로 기억할 수 있도록 정부가 주도해서 위안부 기념관을 만들어야 한다"고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email protected]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